산세권
부동산 세권 | |
---|---|
역세권 | 역 근처의 지역 |
견세권 | 반려견을 기르기 좋은 지역 |
고품아 | 고등학교를 품고 있는 아파트 |
공세권 | 공원 근처의 지역 (일명 팍세권) |
녹세권 | 녹지가 많은 지역 |
다세권 | 다수의 세권이 있는 지역 |
더블 역세권 |
역이 2개 있는 지역 |
도세권 | 도로가 많은 지역 |
도세권 | 도서관 근처의 지역 |
락세권 | 오락시설이 있는 지역 |
몰세권 | 쇼핑몰 근처의 지역 |
맥세권 | 맥도널드 근처의 지역 |
백세권 | 백화점 근처의 지역 |
버세권 | 버스 정류장 근처의 지역 |
병세권 | 병원 근처의 지역 |
뷰세권 | 뷰(view)가 좋은 지역 |
산세권 | 산 근처의 지역 |
삼세권 | 삼성전자 근처의 지역 |
수세권 | 물 근처의 지역. (일명 물세권) |
숲세권 | 숲 근처의 지역 |
스세권 | 스타벅스 근처의 지역. (일명 별세권) |
슬세권 | 슬리퍼를 신고 다닐 수 있는 지역 |
쓱세권 | 이마트 쓱(SSG) 배송이 가능한 지역 |
옆세권 | 신도시 옆에 있는 지역 |
영세권 | 영어학원 근처의 지역 |
영세권 | 영화관 근처의 지역 |
옥타 역세권 |
역이 8개 있는 지역 |
올세권 | 여러 '세권'이 모두(all) 있는 지역 |
올세권 | 올리브영 근처의 지역 |
왕세권 | 왕이 살던 궁궐이나 왕릉이 있는 지역 |
욕세권 | 욕을 많이 먹는 지역 |
유품아 | 유치원을 품고 있는 아파트 |
의세권 | 의료시설 근처의 지역 |
주세권 | 술집이 많은 지역 |
주세권 | 주차장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역 |
중품아 | 중학교를 품고 있는 아파트 |
지품아 | 지하철역을 품고 있는 아파트 |
천세권 | 하천 근처의 지역 |
초역세권 | 역이 아주 가까운 지역 |
초초 역세권 |
역이 아주아주 가까운 지역 |
초품아 | 초등학교를 품고 있는 아파트 |
콰트로 역세권 |
역이 4개 있는 지역 |
쿠세권 | 쿠팡의 로켓배송이 가능한 지역 |
킥세권 | 킥보드를 이용하기 좋은 지역 |
트리플 역세권 |
역이 3개 있는 지역 |
파세권 | 파리바게트 근처의 지역 |
펜타 역세권 |
역이 5개 있는 지역 |
편세권 | 편의점 근처의 지역 |
학세권 | 학교와 학원 근처의 지역 |
해세권 | 해변 근처의 지역 |
햄세권 | 햄버거 상점 근처의 지역 |
헥사 역세권 |
역이 6개 있는 지역 |
헵타 역세권 |
역이 7개 있는 지역 |
호세권 | 호수 근처의 지역 |
흙세권 | 흙이 많은 자연친화적인 지역 |
산세권은 '산'과 '세권'이 합성된 부동산 신조어로 산이 인접해 있어 자연 친화적이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는 주거지역을 이르는 말이다. 비슷한 말로 공세권, 녹세권, 숲세권 등이 있다.
배산임수
배산임수(背山臨水)는 등질 배(背)에 내려다 볼 림/임(臨)을 사용하여 산을 등지고 물을 내려다본다는 뜻이다. 예로부터 풍수지리상의 명당으로 여겨진 지형으로 실제로 등진 산이 차가운 북서 계절풍을 막아주고 마을 앞 하천으로 득수가 용이하며 하천으로 인한 충적지가 펼쳐져 있어 생활하기에 좋은 점이 많아서 한국의 지형 계절풍 기후 조건 등과 밀접한 역학관계를 이루면서 취락 입지에 큰 영향을 주었다.
풍수는 신앙의 문제가 아니라 예부터 전해 내려온 삶의 실용이고 문화다. 터를 잡아서 건물을 짓고 주변에 나무를 심어 가꾸며 집 안을 인테리어 하고 방을 배치하는 이 모든 것이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합쳐진 종합과학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실천해보면 편안함과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건물과 풍수지리
서울을 만들기 위해서 음인 용(산맥)은 백두산에서부터 천리를 넘게 온갖 변화를 하면서 행룡(行龍)해왔고, 양인 물 역시 남한강 북한강이 천리 밖에서부터 흘러나와 양수리에서 합류하여 한강을 이루고 서울을 휘어 감아 주니 산수교합 즉 음양교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졌다고 한다. 한양(옛 서울)도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명당 입지이다. 일본, 대만, 싱가포르에서는 현공풍수라 하여 왕산왕향이라고 칭하고 있다.
명당으로 보는 이유로 서울의 내청룡(內靑龍)은 삼청터널 위로 혜화동, 동숭동, 이화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병원이 있는 낙산까지 이어지는 능선인데 내백호(內白虎)는 북악산 우측으로 창의문(자하문), 인왕산, 무악재를 지나 금화터널 위로 이어지는 능선이며, 안산(案山)은 백호 능선이 이어져 북악산을 바라보고 서있는 남산이다.
경복궁 혈지를 중심으로 북쪽은 백악산(342m), 서쪽은 인왕산(338.2m), 남쪽은 남산(262m), 동쪽은 낙산(111m)이 둘러싸고 있어 내사산(內四山)을 이룬다. 또 외사산(外四山)은 북쪽에 서울의 진산인 북한산(810.5m), 동쪽에는 외청룡인 면목동의 용마산(348m), 서쪽에는 외백호인 행주의 덕양산(124.8m), 남쪽에는 서울의 조산인 관악산(629.1m)이 겹으로 둘러쌓여 큰 명당보국을 이루고 있다고 전해진다.
서울은 산세뿐만 아니라 물도 수태극(水太極)의 명당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데 내당수인 청계천은 서북쪽인 북악산과 인왕산 사이에서 득수하여 서울을 감싸 안아주면서 동쪽으로 흘러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대강수인 한강과 합류하여 서울 전체를 감아주어 태극의 형상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태극은 용의 생기를 가두어 밖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할뿐 아니라 여의도와 밤섬은 한강수의 유속을 조절하고 보국 안의 생기를 보호하는 섬으로 외수구(外水口)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고 이처럼 서울은 풍수지리적으로 천하의 명당으로 한나라의 수도의 요건을 모두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적 도시 요건으로도 큰산과 큰 강을 끼고 있어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조금도 손색이 없는 곳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명당보국으로 회자되는 얘기 중에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이라는 말이 있는데 「살아서는 진천, 죽어서는 용인」이라는 뜻이다. 흔히 사람들은 이 말을 「살기에는 진천이 좋고, 죽어서 묻힐 장소로는 용인이 최고」라는 뜻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잘못 알려진 얘기로 사거용인(死居龍仁), 사거용인(死去龍仁), 사후용인(死後龍仁) 등 얘기하는 사람마다 한자가 다르듯 용인의 자연환경이 수려하고 풍수적으로 명당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지역적인 해석일뿐 의미가 전혀 다르다.
진천에 사는 부인과 용인에 사는 부인이 나눠 있듯 판관의 명쾌한 결정에 따라 남자가 살아야 하는 곳이 정해졌다는 얘기로 용인, 진천에 내려오는 설화이다. 그래서 「생거진천 사거용인」은 용인의 대표적인 설화로 세 유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용인사람이 죽어 진천사람에게 접신하여 진천에 살다 죽은 유형, 두 번째는 용인 남편이 죽자 진천사람에게 재혼하여 진천에 살다 죽은 유형, 세 번째는 용인사람이 죽어 진천사람에게 접신하여 용인에 살다 죽은 유형이다. 더구나 개발로 「생거진천 사거용인」은 옛말이 된 지 오래다. 용인, 그중에서 수지는 동으로는 경기 광주, 북으로는 서울 분당, 남서로는 수원, 도심의 지하철로 서울 강남과 직접 연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천재가 태어날 명당 터, 명당이 많다는 용인에 비결로 전해지는 문헌으로 「만산도」(萬山圖) 란 책이 있다. 풍수지리설에 따라 전국에서 명당이라고 할 만한 곳을 그림으로 그려서 보여 주고 명당이 되는 이유를 설명한 책인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기도 용인의 우측에 고총(古塚)의 땅이 있는데 묘 입수(卯入首)에 묘좌(卯坐)이다. 병수 신파(丙水 辛破)인데 내룡의 기세가 매우 좋고 청룡과 백호가 뻗어 내려 서로 만났으니 신동이 태어나고 명재상이 끊이지 않을 땅이다.' 이처럼 용인은 법화산・부아산・백운산 등에 많은 명당터가 있어 고관대작들이 서로 다투어 조상의 묏자리를 잡아 '생거진천 사거용인'이란 말이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건물과 배산임수
건물을 짓거나 묘를 조성할 때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는 것을 '배산임수(背山臨水)'라 한다. 이렇게 해야 후손이 복록(福祿)을 누리고 행복해진다고 한다. 만약 반대로 물을 등지고 산을 바라보면 '배수진(背水陣)' 형국이다. 이 경우 땅의 기운을 제대로 타기 어려워 원인 모르게 삶이 고되고 불행해진다고 풍수에선 설명한다.
도시에서 건물의 입지가 배산임수의 터인지 또는 배수진을 친 터인지를 알아보는 방법은 의외로 쉽고 간단하다. 건물의 앞면이 아닌 건물 뒤쪽으로 가서 지세를 살피면 알 수 있다. 건물 뒤쪽이 산비탈이거나 산 구릉이면 '전저후고(前低後高)'의 지형이다. 이런 터에 지어진 건물은 배산임수라고 할 수 있다. 지기에 순응하기 때문에 건물 입지로서는 괜찮은 편이다. 말을 탈 때 말 머리의 갈퀴 쪽을 붙잡고 뛰는 것처럼 자세가 안정되고 잘 달릴 수 있다.
배수진을 친 건물은 건물 뒤쪽에 돌이나 콘크리트로 축대를 쌓아 경사면을 평지로 조성한 뒤 건물을 짓는다. 따라서 건물 뒤쪽에 축대가 있는 건물은 지기의 흐름에 역행한 건물이다. 지기 역시 약하다고 보면 된다. 말꼬리를 붙잡고 뛰는 것처럼 자세가 불안정하고 땅에 떨어져 몸을 다칠 수도 있어서다.
풍수에서는 물을 재물로 본다. 따라서 배수진을 쳤다면 재물을 등진 건물이기 때문에 재물 운이 나쁘거나 흉하다. 건물이 배수진을 쳤더라도 덜하고 심한 정도의 차이가 있긴 하다. 전고후저의 경사가 완만하면 건물 뒤쪽에 축대가 낮아 재물 운도 그리 나쁘지 않다. 축대가 높으면 그만큼 재물이 도망가거나 흘러나간다. 지형이 평지에 가까우면 축대가 낮거나 없는 경우도 있어 흉함은 그만큼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아파트는 어떻게 봐야 할까. 건물의 정면을 알아야 하는데 현관과 발코니 쪽 중 어느 방향을 정면으로 봐야 할까. 실내(거실)의 중앙에서 창밖을 내다봐 가장 멀리 가장 넓게 바라 보이는 쪽이 정면이다. 그러므로 아파트라면 발코니 쪽이 그 집의 향이 된다는 결론이다.
배산임수 아파트
아파트에도 명당이 존재한다. 풍수지리상 명당의 기본 조건으로 여겨지는 배산임수(背山臨水) 지형을 비롯해 금계포란(金鷄抱卵), 영구음수(靈龜飮水) 등의 형상을 갖춘 아파트 대부분이 지역 랜드마크로 거듭나면서 분양시장에서도 부와 명예를 얻을 수 있는 길지(吉地)라는 점을 전면에 내세우는 풍수지리 마케팅이 확산되고 있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땅의 형세에 따라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이 영향을 받는다는 풍수지리를 통해 음양이 조화를 이루는 명당에 자리를 잡아 왔다. 현재까지도 고위공직자나 재계인사들은 주거지나 사업 터전을 선택하는 데 있어 풍수지리를 중요한 조건으로 꼽는다. 이에 따라 분양시장에서도 풍수지리를 도입해 아파트가 들어서는 입지의 명당 여부를 살피는 경우가 늘고 있다.
풍수지리상 명당으로 일컬어지는 곳은 대대손손 좋은 기운을 불러오는 것 이외에 입지 조건만으로도 인기가 좋다. 주로 산과 강, 하천 등 자연이 풍부하고 앞이 탁 트인 조망을 갖춘 살기 좋은 입지이다 보니 주변으로 교통, 학군, 편의시설 등 생활여건이 잘 조성된다. 생활 편의성과 주거 쾌적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만큼 가치 평가도 높다.
일례로 서울 강북지역 중 배산임수 명당으로 꼽히는 종로구 평창동에 위치한 '삼성' 아파트의 경우 매매가 상승세가 가파르다. 이곳은 1998년 상반기 사용 승인됐고 단지 규모도 176가구로 크지 않음에도, 지난 2017년 최고 3억5,500만 원에 실거래됐던 전용 59㎡는 2021년 10월 7억 원에 손 바뀜됐다. 불과 5년 만에 2배 이상 뛴 셈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보면 2019년 1월 '한남더힐' 전용 244㎡가 84억원(3층)에 거래되며 2019년 최고 매매가를 기록했다. 이 단지는 뒤로는 남산, 앞으로는 한강을 둔 배산임수 지형에 거북이 물을 마시는 형태인 영구음수(靈龜飮水)에도 해당해 대대로 재물이 모이는 터로 여겨진다.
경기 수원시 광교신도시에 위치한 '힐스테이트 광교'는 광교산의 생기가 모이는 금빛의 닭이 알을 품은 금계포란(金鷄抱卵) 형국으로, 재물이 모이고 귀한 인물이 배출된다는 명당이다. 이 단지의 전용 107㎡는 2018년 12월~2019년 12월 일 년간 실거래가가 1억원 이상 오르며 꾸준한 시세 상승을 보이고 있다.[1]
각주
- ↑ 김동호 기자, 〈“배산임수에 살어리랏다” 풍수가 좋으니 집값도 ‘껑충’〉, 《서울경제》, 2020-04-24
참고자료
- 〈배산임수〉, 《위키백과》
- 김동호 기자, 〈“배산임수에 살어리랏다” 풍수가 좋으니 집값도 ‘껑충’〉, 《서울경제》, 2020-04-24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