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서동탄역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동탄역(Seodongtan station, 西東灘驛)은 대한민국 경기도 오산시 세마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전철역이자 종착역이다. 이 역부터 남영역까지 지상 구간이고 한국철도공사 구간이다. 심야에 3편성이 주박한다.

역사[편집]

개요[편집]

이 역은 동탄신도시의 서쪽에 접한 경기도 오산시 세마동에 있는 역이다. 병점차량사업소에 역사가 있으며, 오산시가 땅을 제공하고, 화성시가 역사 건축비를 제공 한 것으로 인근 동탄1신도시 시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된 역이다.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광운대까지 운행한 일부 전동차가 이 역을 시·종착역으로 운행한다. 심야에 3편성이 주박한다.

역 번호[편집]

역 번호는 병점역에 달린 분기지선의 의미로 P157-1이다. 역 번호 맨 앞에 붙은 P는 분기선에 부여된 것인데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장항선 가산디지털단지역~신창(순천향대)역 구간의 역들은 P1○○ 형태의 역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 역은 이 구간에서 다시 분기된 노선에 있는 역이다. 그래서 역 번호가 P159인 병점역에서 따로 분기된 후 만난 첫 번째 역이란 의미에서 P159-1을 역 번호로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제로 이 역은 P146-1번인 광명역과 함께 대한민국에서 역 번호가 가장 긴 전철역이다.

역 구조[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다.

배선도[편집]

서동탄역과 병점차량사업소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승강장[편집]

병점역
| 21 |
솔빛나루역
1~2 수도권 전철 1호선 동탄역 방면

병점(한신대)·수원·안양·금천구청·구로·용산·광운대 방면

역명 논란[편집]

역의 위치가 화성시오산시 경계에서 오산시 쪽으로 들어와 있었기 때문에, 역명결정 당시 두 지자체 간 갈등이 있었다.

오산시는 역이 속한 부지 거의 대부분이 오산시 외삼미동에 속해 있으므로 역명을 삼미로 주장했다.

이에 화성시는 오산시가 비용분담을 거절하면서 사업추진 시 지자체 분담금을 화성시가 단독으로 부담(총 360억 원 중 한국토지주택공사 200억 원, 화성시 160억 원했단 정황을 들어 동탄신도시의 이름을 딴 서동탄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종적으로 역명심의를 맡은 한국철도공사2009년 10월 14일 화성시의 의견을 수용해 역명을 서동탄역으로 결정했고, 이에 반발한 오산시 시민단체에서 서동탄역 역명 지정을 취소해 달란 소송을 제기한 사건도 있었다.

승차량 변동[편집]

노선 승차 인원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호선 936 1113 1238 1318 1470 1575 1623 1609 1698 3431 1268 1288

인접한 역[편집]

병점기지선
P159 병점역
의정부역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완행
P159-2 솔빛나루역
동탄역 방면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서동탄역 문서는 수도권 지하철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