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조명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전조등===
 
===전조등===
 +
[[전조등]]은 자동차 또는 열차의 위치를 먼 곳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자나 승무원이 전방을 주시할 수 있는 앞을 비추는 차량 전면에 설치된 등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A1%B0%EB%93%B1 전조등]〉, 《위키백과》</ref> 유럽 국가에서 내수용으로 팔리는 자동차들은 비나 눈이 잦고 겨울 내내 해가 뜨지 않는 날씨 등의 이유로 시동을 걸면 저절로 켜지는 주간주행등이 의무 장착이며, 국내에서도 2015년 7월 이후 새 차에 한해 의무 적용된다.<ref>〈[https://namu.wiki/w/%EC%A0%84%EC%A1%B0%EB%93%B1 전조등]〉, 《나무위키》</ref> 전조등은 크게 유닛가동형 전조등과 반사경가동형 전조등으로 나눌 수 있다. 유닛가동형 전조등에는 조립형, 세미실드빔형, 실드빔형, 메탈백 실드빔형, 프로젝트형이 있다. 초기에는 렌즈·전구·반사경이 각각 조립된 조립형이 대부분이었으나 습기나 먼지에 의해 조명 효율이 감소하여, 최근에는 일체식 구조로 된 실드빔형이 많이 사용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9815&cid=40942&categoryId=32358 전조등]〉, 《두산백과》</ref>
  
 +
===상향등===
 +
상향등은 차 앞 100m 거리에 있는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장거리용 조명이다. 등화류 중 운전자들에게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 상향등이다. 문제는 상향등을 켜고 다니는 운전자는 본인이 상향등을 켜 둔 상태인지 모를 때가 많다는 것이다. 최근에 출시된 차량은 광량이나 조도가 이전 차량보다 훨씬 더 밝고 날카로워졌기 때문에 마주오는 운전자나 앞서 달리는 운전자들에게 끼치는 피해도 훨씬 더 커졌다. 상향등으로 전방을 비추는 상황은 거의 정해져 있다. 가로등 불빛이 약하고 전방에 차량이 없으며, 시야가 확보되지 않았을 때 주변 사물이나 도로를 확인하거나 혹은 표지판을 확인해야 할 때이다. 이외의 상황에서는 상향등을 사용해야 할 이유가 없다.<ref> 〈[https://allways.smotor.com/%EC%83%81%ED%96%A5%EB%93%B1-%EC%95%88%EA%B0%9C%EB%93%B1-%EA%B2%BD%EA%B3%A0%EB%93%B1-%EC%9E%90%EB%8F%99%EC%B0%A8-%EB%9D%BC%EC%9D%B4%ED%8A%B8-%EC%83%81%ED%99%A9%EB%B3%84-%EC%82%AC%EC%9A%A9%ED%95%98/ 상향등? 안개등? 경고등? 자동차 라이트, 상황별 사용하는 법]〉, 《쌍용자동차 공식 블로그》, 2017-10-30</ref>
  
===상향등===
 
 
===안개등===
 
===안개등===
 
===경고등===
 
===경고등===

2021년 11월 26일 (금) 10:05 판

조명등은 밝게 비추는 데에 쓰는 이다.

자동차 조명등

방향지시등

방향지시등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주위 차량에게 알리는 램프이다. 좌측, 우측으로 방향을 표시할 수 있으며, 후방에서 뒤따르는 차량 또는 반대 차선의 차량에 자신의 주행 방향을 알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차량의 전면, 후면에 램프가 장착되어 있고 별도로 사이드미러나 도어캐치, 몰딩 등 램프가 적용된 제품을 이용해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1] 교통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장치이며,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구조, 작동 등에 관한 규칙이 정해져 있다. 좌·우회전 및 차선 변경 등을 하는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하며, 어길 경우 3만 원의 범칙금이 부과된다. 방향지시등의 색상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주황색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북미 지역만 유일하게 후방에 한하여 적색도 겸용하고 있다.[2]

전조등

전조등은 자동차 또는 열차의 위치를 먼 곳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자나 승무원이 전방을 주시할 수 있는 앞을 비추는 차량 전면에 설치된 등이다.[3] 유럽 국가에서 내수용으로 팔리는 자동차들은 비나 눈이 잦고 겨울 내내 해가 뜨지 않는 날씨 등의 이유로 시동을 걸면 저절로 켜지는 주간주행등이 의무 장착이며, 국내에서도 2015년 7월 이후 새 차에 한해 의무 적용된다.[4] 전조등은 크게 유닛가동형 전조등과 반사경가동형 전조등으로 나눌 수 있다. 유닛가동형 전조등에는 조립형, 세미실드빔형, 실드빔형, 메탈백 실드빔형, 프로젝트형이 있다. 초기에는 렌즈·전구·반사경이 각각 조립된 조립형이 대부분이었으나 습기나 먼지에 의해 조명 효율이 감소하여, 최근에는 일체식 구조로 된 실드빔형이 많이 사용된다.[5]

상향등

상향등은 차 앞 100m 거리에 있는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장거리용 조명이다. 등화류 중 운전자들에게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 상향등이다. 문제는 상향등을 켜고 다니는 운전자는 본인이 상향등을 켜 둔 상태인지 모를 때가 많다는 것이다. 최근에 출시된 차량은 광량이나 조도가 이전 차량보다 훨씬 더 밝고 날카로워졌기 때문에 마주오는 운전자나 앞서 달리는 운전자들에게 끼치는 피해도 훨씬 더 커졌다. 상향등으로 전방을 비추는 상황은 거의 정해져 있다. 가로등 불빛이 약하고 전방에 차량이 없으며, 시야가 확보되지 않았을 때 주변 사물이나 도로를 확인하거나 혹은 표지판을 확인해야 할 때이다. 이외의 상황에서는 상향등을 사용해야 할 이유가 없다.[6]

안개등

경고등

패싱라이트

각주

  1. 방향지시등〉, 《네이버 지식백과》
  2. 방향지시등〉, 《나무위키》
  3. 전조등〉, 《위키백과》
  4. 전조등〉, 《나무위키》
  5. 전조등〉, 《두산백과》
  6. 상향등? 안개등? 경고등? 자동차 라이트, 상황별 사용하는 법〉, 《쌍용자동차 공식 블로그》, 2017-10-30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조명등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