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고갈'''(枯渴. Depletion)은 어떤 일의 바탕이 되는 돈이나 물자, 소재, 인력 따위가 다하여 없어짐을 말한다. == 자원 고갈 == 18세기 산...) |
잔글 (→같이 보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 * [[자원고갈]] | ||
* [[자원]] | * [[자원]] | ||
* [[소재]] | * [[소재]] | ||
41번째 줄: | 42번째 줄: | ||
* [[환경오염]] | * [[환경오염]] | ||
− | {{ | + | {{환경|검토 필요}} |
2023년 1월 10일 (화) 09:32 기준 최신판
고갈(枯渴. Depletion)은 어떤 일의 바탕이 되는 돈이나 물자, 소재, 인력 따위가 다하여 없어짐을 말한다.
자원 고갈[편집]
18세기 산업혁명과 동시에 활발한 경제성장으로 세계 인구는 매일 24만 명씩 늘어나고 있으며 2014년 기준으로 총 약 72억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인구폭발'이라 할 만큼 사람은 늘어가는 데에 비해 자원은 한정되어 있다 보니 쌀, 밀, 보리 등의 주식 작물과 사탕수수, 천연고무, 커피 등 원료 작물, 에너지, 석탄, 천연가스와 같은 지하자원까지 고갈될 위험에 당면했고 이를 대처할만한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문가들은 2050년에는 세계 인구가 91억 만 명을 넘어서며 지금보다 더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할 것이고, 이를 위해 하루 빨리 자원 고갈 및 기후 변화에 대비한 방안 마련이 준비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2018년 8월 1일은 지구 용량 초과의 날이었다. 이는 지구가 1년 동안에 재생시킬 수 있는 만큼의 천연자원을 다 써버린 시점을 의미한다.
인류의 세계 자원 사용을 계산하는 국제 비영리단체 글로벌 생태 발자국 네트워크에 따르면 2018년의 첫 7개월 동안 인류는 식량, 의복, 자동차 연료 등의 생산을 위해 물, 면과 같은 섬유 등 한 해치의 천연자원을 고갈시켰다. 인류의 자원 소비 속도가 지구의 재생 속도를 넘어선 1970년대 이후, 올해는 지구 용량 초과의 날이 가장 빨리 찾아온 해가 되었다.
"현재 우리는 지구의 미래자원을 끌어다 현재의 경제를 가동시킴으로서 생태적 빚을 지며 살아갈 수 있다. 지금은 이럴 수 있지만, 빚더미가 쌓여갈수록 결국엔 다 무너져내릴 수밖에 없다." 글로벌 생태 발자국 네트워크의 CEO 마티스 바커나겔이 허프포스트에 전했다.
걷잡을 수 없는 삼림 파괴, 심각한 민물 부족, 어업 붕괴와 엄청난 종다양성 상실을 통해 인류의 자원 과용의 영향을 지금도 느낄 수 있다.
환경 캠페인 단체 'The Story of Stuff'의 마이클 오히니는 여기엔 인적 대가도 따른다고 말한다. "지구의 지속가능 능력과 조화를 이루고 살지 않으면 사람들이 다치게 된다. 가난한 사람들이 주로 피해를 입는 지역에서 생태계가 붕괴하고 있다. 남반구 사람들이 피해를 본다."
지구 전체가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지만, 최빈국의 타격이 가장 크다는 연구가 있다. 그러나 생태적 빚을 가장 많이 만드는 국가들은 가장 부유한 국가들이다. 글로벌 생태 발자국 네트워크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가 현재의 미국인들처럼 살 경우, 소비 수준 유지를 위해서는 지구 5개가 필요하다. 반면 전세계 인구가 인도처럼 살았다면 지구가 0.7개만 있어도 매년 필요한 자원 수요에 맞출 수 있다.
세계적으로 우리는 지구의 생태계의 재생 속도보다 1.7배 빠른 속도로 자연을 사용하고 있다. 즉 지구 1.7개분의 자원을 소모하고 있다는 뜻이다.
- 대책
글로벌 생태 발자국 네트워크는 생태적 용량 초과를 줄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차량 사용을 절반으로 줄이기, 식단을 간소화하기(예를 들어 육식을 줄이는 등), 밀집도가 높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도시 디자인 도입하기 등이다.
"이것은 소비자 개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체계 전체에 걸친 문제다. 자원을 잡아먹고, 이 자원을 사용해 제품을 만들고, 오래가지 않는 제품을 뱉어내고, 사람들이 쓰다버릴 물건을 만든다. 병에 든 물을 생각해 보라. 25년 전에는 플라스틱 병에 든 물이 없었어도 다들 잘 살았다." 오히니의 말이다.
기업들은 우리에겐 병에 든 물 같은 것이 필요하다고 믿게 만들었고, 국가들은 천연 자원 보호에 있어 점점 더 큰 실패를 거듭해왔다고 오히니는 말한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고 걷잡을 수 없는 자원 소비에 의존하는 '공룡 경제'에서 지속가능한 소재를 사용하고 재생가능 에너지를 사용하는 경제로 이행하는 것이 궁극적 해결책이라 한다.
참고자료[편집]
- 〈인류가 지구 자원을 너무 빠른 속도로 고갈시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구 용량 초과의 날〉, 《허프포스트코리아》, 2018-08-08
- KORES, 〈자원 고갈, 세계는 지금 어떤 대비를 하고 있을까?〉, 《네이버 블로그》, 2015-06-30
- 이민준 기자, 〈모래 자원 고갈의 위기... 피할 방법은?〉, 《케미컬뉴스》, 2022-05-02
- 김명화 기자, 〈"물 고갈 시대 온다"…전 세계 4분의 1 메말라〉, 《환경미디어》, 2019-08-07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