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주머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종류)
5번째 줄: 5번째 줄:
  
 
== 종류 ==
 
== 종류 ==
 
+
# 귀주머니(줌치) : 꾸밈새는 남녀용이 같은데 가장 닳기 쉬운 양쪽 귀와 중앙부 아래쪽 배꼽 부분을 따로 감싸듯 한 겹 더 대고, 가장자리는 곱게 상침해 주머니 원형에 부착시켰다. 주머니 입술에도 상침을 놓고 폭을 3등분하여 양 솔기를 중앙을 향해 접어 오므려 육모주름을 잡고 안단을 댄 목 위치에 2개의 송곳자리를 내어 주머니끈을 꿰었다. 끈을 뒤에서 앞으로 꿰고 매듭을 맺어 주머니의 앞면을 장식하였다.
 +
# 두루주머니(염낭)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지니는 주머니였고 색조는 귀주머니와 같으나 모양이 둥글다. 입술에 잔주름을 잡고 양편에서 서로 엇바꾸어 끈을 꿰고 각각 도래매듭·국화매듭·나비매듭 등을 맺어 늘어뜨린다.
 +
# 어깨주머니 : 두루주머니에서 어깨를 떼어 낸 모양이며 주머니 입술에는 주름 잡을 여분이 적고, 귀주머니와 같이 육모주름을 잡아 주머니 중심부에 구멍을 2개 뚫고 뒤에서 앞으로 끈을 꿰어 매듭을 맺는다.
 +
# 황낭(黃囊) : 일반적으로 주머니에 노랑색은 쓰지 않으나 혼례 때만은 노랑색으로 주머니를 만들었다. 자주색 매듭끈을 꿰고 아들 아홉과 딸 하나를 두라는 덕담으로 팥알 9개와 씨 박힌 목화 한 송이를 넣었다. 신랑이 장가갈 때 옷 속에 차고 가는 풍습이 있었다.
 +
# 향낭(향주머니) : 규방·내실에서 또는 궁의 나인[內人]이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형태가 다양하고 호사도 대단하여 귀족적 취향을 표현하였다. 수향낭은 장신구로 옷 밖에 차고, 갑사향낭은 대개 겉옷 안에 찼다. 향은 주로 사향을 썼는데, 주머니에 넣지 않고 사용하는 줄향·비취발향과 같은 장신구도 있었다. 줄향은 홍·백·녹·황 등 4가지 색으로 하여 실에 꿰어 염주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궁궐 내의 상궁들이 치마 속에 찼다고 한다.
 +
# 진주향낭 : 나비 21cm, 길이 14.5cm의 대형향낭으로 홍색운문단(紅色雲文緞)에 금실로 수를 놓고, 그 위에 4mm 정도의 진주 263개를 앞뒤에 가득히 박고, 입술 양편에 7개씩 주름을 잡았다. 끈은 쪽빛 원다회를 끼워 도래매듭·생쪽매듭·가지방석매듭을 맺고 낙지발술을 달았다. 속에는 잘게 다진 향과 고운 가루향이 가득 들어 있어 옛 여인들의 호사스러운 생활을 알 수 있는데, 주로 궁중에서 쓴 것으로 추측된다.
 +
# 매미수향낭 : 다홍과 쪽빛 단(緞)으로 나비 6cm, 길이 7.5cm의 매미 모양으로 만들었는데, 매미의 머리는 금실·온실로 구름무늬를 수놓아 두르고 눈알은 꽃자주색실로 도독하게 수놓았다. 날개는 은실과 색실로 양색이 나게 수를 놓고 매미의 입에는 육모주름을 잡고 가느다란 노랑색 원다회를 끼웠으며, 연두·자주·노랑·연보라의 4가지 색의 봉술을 앞뒤에 쌍으로 두줄씩 늘어뜨린 주머니이다.
 +
# 사향낭(紗香囊) : 평상시에 항상 몸에 지는 소형 주머니인데, 별 장식 없이 귀주머니·두루주머니·어깨주머니로 접은 홍갑사 민주머니이다. 왕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홍갑사 향낭의 한가운데에는 금실로 '明'자를 수놓았고, 다홍빛 원다회로 도래매듭·생쪽매듭·국화매듭·잠자리매듭을 맺었다.
 +
# 수(繡)수저집 : 시집가는 색시가 손수 수놓아 마련하는 혼수 품목이었다. 행복과 기쁨을 상징하는 다홍색 양단·공단·모본단에 십장생이나 화조를 수놓고 안쪽에 옥양목을 여러 겹 붙이고, 백지를 배접해 안을 대고, 남색 숫실로 사를 뜨며 주머니 입술에는 상침을 놓아 매듭을 맺고 술을 달았다. 보통 은수저 2벌을 넣을 수 있는 크기로 만든다.
 +
# 십장생수 안경집 : 옛날에는 멋으로 쓰던 풍안(風眼)이라는 안경이 있었는데, 이것은 경주남석을 갈아 안경알을 만들고 대모·물소뿔로 테를 만들었다. 이러한 풍안이나 돋보기를 넣기 위해 안경집을 만들고 그 위에 십장생무늬를 수놓아 화려하게 꾸몄다.
 +
# 필낭(筆囊) : 붓 종류를 넣는 주머니이다.
 +
# 약낭(藥囊) : 구급약·환약 등을 넣은 주머니이다.
 +
이 밖에 부시와 부싯돌을 넣는 부시쌈지와 담배를 넣는 담배쌈지 등이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88873&cid=40942&categoryId=32087 주머니의 종류]〉, 《네이버 지식백과》 </ref>
 
{{각주}}
 
{{각주}}
  

2021년 11월 30일 (화) 09:23 판

주머니(pocket)은 작은 물품을 담기 위한 도구이다. 가방이나 옷에 봉투 모양으로 덧댄 호주머니를 일컫기도 한다.[1]

개요

주머니는 물건을 담기 위해 만들어진 하나의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주로 손에 휴대하기 어려운 작은 물건을 담는 용도로 사용된다. 가방 혹은 의류에 붙어있는, 일정한 곳에 헝겊을 달거나 덧대어 돈, 소지품 따위를 넣도록 만든 주머니는 호주머니라고 칭하며 편의성이 일반 주머니보다 쉽다는 장점이 있다. 본래의 주머니는 옷과는 따로 만들어진 것을 끈을 달아 허리춤에 차고 다니는 식으로 사용되었으나, 소매치기 같은 도난의 위험이 있었기에 옷에 따로 을 덧대어 만들어진 것이 호주머니의 시초이다. 한마디로 본래는 돈 같은 귀중품을 넣어서 다니는 용도였다. 이후 편이성이 중시되는 노동자 계급의 활동복에 적용되기 시작하며 널리 보급되게 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청바지나 카고바지이다. 다만 노동이라는 것은 남성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주머니는 남성복에만 달리는 경향이 있었다. 현재도 여성복의 바지 등에 달린 주머니는 남성복보다 매우 작게 나오고 있고, 스키니 진 등의 실루엣을 중요시하는 의류에서는 아예 생략되거나 실제로 물건을 넣을 수는 없는 봉제선뿐인 가짜 주머니가 달려서 나오기도 한다. 전통적인 주머니는 복주머니, 귀주머니, 오방낭 등과 같이 옷에 달리지 않은 별개의 물건이다. 자질구레한 물품 따위를 넣어 허리에 차거나 들고 다니도록 만들어진, 천이나 가죽 등으로 된 것이다. 요즈음에는 주머니 하면 보통 호주머니를 생각하지만, 한복에는 주머니가 달리지 않는다. 그래서 이후 북방에서 들어왔다고 '호(胡)'주머니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유명하다. 대신, 한복의 겉옷 소매가 주머니 역할을 하는 때가 많았다. 특히 격식 있는 형태였던 넓은 소매가 이 용도에 걸맞았다. 소매치기가 여기에서 유래했으며, 소매 넣기 역시 소매치기의 반대말로 생긴 신조어인 만큼, 그 기원은 한복에서 물건을 보관하던 부위이다.[2]

종류

  1. 귀주머니(줌치) : 꾸밈새는 남녀용이 같은데 가장 닳기 쉬운 양쪽 귀와 중앙부 아래쪽 배꼽 부분을 따로 감싸듯 한 겹 더 대고, 가장자리는 곱게 상침해 주머니 원형에 부착시켰다. 주머니 입술에도 상침을 놓고 폭을 3등분하여 양 솔기를 중앙을 향해 접어 오므려 육모주름을 잡고 안단을 댄 목 위치에 2개의 송곳자리를 내어 주머니끈을 꿰었다. 끈을 뒤에서 앞으로 꿰고 매듭을 맺어 주머니의 앞면을 장식하였다.
  2. 두루주머니(염낭)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지니는 주머니였고 색조는 귀주머니와 같으나 모양이 둥글다. 입술에 잔주름을 잡고 양편에서 서로 엇바꾸어 끈을 꿰고 각각 도래매듭·국화매듭·나비매듭 등을 맺어 늘어뜨린다.
  3. 어깨주머니 : 두루주머니에서 어깨를 떼어 낸 모양이며 주머니 입술에는 주름 잡을 여분이 적고, 귀주머니와 같이 육모주름을 잡아 주머니 중심부에 구멍을 2개 뚫고 뒤에서 앞으로 끈을 꿰어 매듭을 맺는다.
  4. 황낭(黃囊) : 일반적으로 주머니에 노랑색은 쓰지 않으나 혼례 때만은 노랑색으로 주머니를 만들었다. 자주색 매듭끈을 꿰고 아들 아홉과 딸 하나를 두라는 덕담으로 팥알 9개와 씨 박힌 목화 한 송이를 넣었다. 신랑이 장가갈 때 옷 속에 차고 가는 풍습이 있었다.
  5. 향낭(향주머니) : 규방·내실에서 또는 궁의 나인[內人]이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형태가 다양하고 호사도 대단하여 귀족적 취향을 표현하였다. 수향낭은 장신구로 옷 밖에 차고, 갑사향낭은 대개 겉옷 안에 찼다. 향은 주로 사향을 썼는데, 주머니에 넣지 않고 사용하는 줄향·비취발향과 같은 장신구도 있었다. 줄향은 홍·백·녹·황 등 4가지 색으로 하여 실에 꿰어 염주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궁궐 내의 상궁들이 치마 속에 찼다고 한다.
  6. 진주향낭 : 나비 21cm, 길이 14.5cm의 대형향낭으로 홍색운문단(紅色雲文緞)에 금실로 수를 놓고, 그 위에 4mm 정도의 진주 263개를 앞뒤에 가득히 박고, 입술 양편에 7개씩 주름을 잡았다. 끈은 쪽빛 원다회를 끼워 도래매듭·생쪽매듭·가지방석매듭을 맺고 낙지발술을 달았다. 속에는 잘게 다진 향과 고운 가루향이 가득 들어 있어 옛 여인들의 호사스러운 생활을 알 수 있는데, 주로 궁중에서 쓴 것으로 추측된다.
  7. 매미수향낭 : 다홍과 쪽빛 단(緞)으로 나비 6cm, 길이 7.5cm의 매미 모양으로 만들었는데, 매미의 머리는 금실·온실로 구름무늬를 수놓아 두르고 눈알은 꽃자주색실로 도독하게 수놓았다. 날개는 은실과 색실로 양색이 나게 수를 놓고 매미의 입에는 육모주름을 잡고 가느다란 노랑색 원다회를 끼웠으며, 연두·자주·노랑·연보라의 4가지 색의 봉술을 앞뒤에 쌍으로 두줄씩 늘어뜨린 주머니이다.
  8. 사향낭(紗香囊) : 평상시에 항상 몸에 지는 소형 주머니인데, 별 장식 없이 귀주머니·두루주머니·어깨주머니로 접은 홍갑사 민주머니이다. 왕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홍갑사 향낭의 한가운데에는 금실로 '明'자를 수놓았고, 다홍빛 원다회로 도래매듭·생쪽매듭·국화매듭·잠자리매듭을 맺었다.
  9. 수(繡)수저집 : 시집가는 색시가 손수 수놓아 마련하는 혼수 품목이었다. 행복과 기쁨을 상징하는 다홍색 양단·공단·모본단에 십장생이나 화조를 수놓고 안쪽에 옥양목을 여러 겹 붙이고, 백지를 배접해 안을 대고, 남색 숫실로 사를 뜨며 주머니 입술에는 상침을 놓아 매듭을 맺고 술을 달았다. 보통 은수저 2벌을 넣을 수 있는 크기로 만든다.
  10. 십장생수 안경집 : 옛날에는 멋으로 쓰던 풍안(風眼)이라는 안경이 있었는데, 이것은 경주남석을 갈아 안경알을 만들고 대모·물소뿔로 테를 만들었다. 이러한 풍안이나 돋보기를 넣기 위해 안경집을 만들고 그 위에 십장생무늬를 수놓아 화려하게 꾸몄다.
  11. 필낭(筆囊) : 붓 종류를 넣는 주머니이다.
  12. 약낭(藥囊) : 구급약·환약 등을 넣은 주머니이다.

이 밖에 부시와 부싯돌을 넣는 부시쌈지와 담배를 넣는 담배쌈지 등이 있다.[3]

각주

  1. 주머니〉, 《위키백과》
  2. 주머니〉, 《나무위키》
  3. 주머니의 종류〉,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주머니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