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재생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재생산'''(再生産)은 아래와 같은 두가지 의미가 있다. == 재생산(remanufacturing) == 재생산(remanufacturing)은 기존 제품을 완전히 분해한 후 제...)
 
잔글 (재생산(remanufacturing))
 
2번째 줄: 2번째 줄:
  
 
== 재생산(remanufacturing) ==
 
== 재생산(remanufacturing) ==
재생산(remanufacturing)은 기존 제품을 완전히 분해한 후 제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요소를 추가하는 과정이다. 여기서는 제품의 재구성의 의미에 가깝다. 제품의 재구성은 재활용, 재가공, 재생산 활동을 통칭한다. 재가공의 모든 과정에는 부품 업그레이드가 뒤따른다. 이를 통해 제품 사양을 높이고, 현재 시장에 나온 제품 중 최고 수준 상품에 버금가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ref>존 피어스,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2018/ac/magazine 재활용 재가공 재생산… 불황기 돈을 부른다]〉, 《디비알》, 2009-07</ref>
+
'''재생산'''(remanufacturing)은 기존 제품을 완전히 분해한 후 제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요소를 추가하는 과정이다. 여기서는 제품의 재구성의 의미에 가깝다. 제품의 재구성은 재활용, 재가공, 재생산 활동을 통칭한다. 재가공의 모든 과정에는 부품 업그레이드가 뒤따른다. 이를 통해 제품 사양을 높이고, 현재 시장에 나온 제품 중 최고 수준 상품에 버금가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ref>존 피어스,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2018/ac/magazine 재활용 재가공 재생산… 불황기 돈을 부른다]〉, 《디비알》, 2009-07</ref>
  
스트라우벨 CEO는 전기차 배터리 재생사업에서 가장 위험스러운 부분은 '예측의 어려움'을 꼽았다. [[전기차]] [[배터리]] 원자재에 대한 수요는 크지만 그 규모가 어느정도일지 예상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규모 투자를 통해서 생산능력을 키우고 있지만 이것이 충분한지 알수가 없는 상황이다. 스트라우벨 CEO는 "배터리 생산 원가에서 원자재의 비중이 50~70% 달하는데 이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이라면서 "원자재 가격이 올라가면 전기차 보급확대에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재활용으로 만들어진 배터리는 탄소배출이 80%, 물 사용량이 60% 감소한다"면서 "앞으로 모든 전기차는 [[역생산]](unbuild)되고, 배터리는 재생산(remanufacturing)되는 것이 보편적이 될 것"이라고 했다.<ref>이덕주 기자, 〈[https://www.mk.co.kr/news/world/10834894 테슬라 공동창업자 “배터리 공급부족 불보듯…미래는 ‘이것’에 달려”]〉, 《매일경제》, 2023-09-21</ref>  
+
스트라우벨 CEO는 전기차 배터리 재생사업에서 가장 위험스러운 부분은 '예측의 어려움'을 꼽았다. [[전기차]] [[배터리]] 원자재에 대한 수요는 크지만 그 규모가 어느정도일지 예상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규모 투자를 통해서 생산능력을 키우고 있지만 이것이 충분한지 알수가 없는 상황이다. 스트라우벨 CEO는 "배터리 생산 원가에서 원자재의 비중이 50~70% 달하는데 이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이라면서 "원자재 가격이 올라가면 전기차 보급확대에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재활용으로 만들어진 배터리는 탄소배출이 80%, 물 사용량이 60% 감소한다"면서 "앞으로 모든 전기차는 [[역생산]](unbuild)되고, 배터리는 재생산(remanufacturing)되는 것이 보편적이 될 것"이라고 했다.<ref>이덕주 기자, 〈[https://www.mk.co.kr/news/world/10834894 테슬라 공동창업자 “배터리 공급부족 불보듯…미래는 ‘이것’에 달려”]〉, 《매일경제》, 2023-09-21</ref>
  
 
== 재생산(reproduction) ==
 
== 재생산(reproduction) ==

2024년 4월 29일 (월) 15:11 기준 최신판

재생산(再生産)은 아래와 같은 두가지 의미가 있다.

재생산(remanufacturing)[편집]

재생산(remanufacturing)은 기존 제품을 완전히 분해한 후 제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요소를 추가하는 과정이다. 여기서는 제품의 재구성의 의미에 가깝다. 제품의 재구성은 재활용, 재가공, 재생산 활동을 통칭한다. 재가공의 모든 과정에는 부품 업그레이드가 뒤따른다. 이를 통해 제품 사양을 높이고, 현재 시장에 나온 제품 중 최고 수준 상품에 버금가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1]

스트라우벨 CEO는 전기차 배터리 재생사업에서 가장 위험스러운 부분은 '예측의 어려움'을 꼽았다. 전기차 배터리 원자재에 대한 수요는 크지만 그 규모가 어느정도일지 예상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규모 투자를 통해서 생산능력을 키우고 있지만 이것이 충분한지 알수가 없는 상황이다. 스트라우벨 CEO는 "배터리 생산 원가에서 원자재의 비중이 50~70% 달하는데 이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이라면서 "원자재 가격이 올라가면 전기차 보급확대에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재활용으로 만들어진 배터리는 탄소배출이 80%, 물 사용량이 60% 감소한다"면서 "앞으로 모든 전기차는 역생산(unbuild)되고, 배터리는 재생산(remanufacturing)되는 것이 보편적이 될 것"이라고 했다.[2]

재생산(reproduction)[편집]

재생산(reproduction)은 소비재의 생산과 생산재의 생산이 병행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사회의 생산이 전체적으로 반복되어가는 과정을 말한다. 이 재생산을 반복하는 경우에 전번에 사용한 금액(가치)과 동일한 자본으로 해나가는 것이 단순 재생산이다. 매출 이윤의 일부를 자본에 추가하여 보다 큰 규모로 생산을 되풀이 하는 것을 확대재생산이라고 하며 반대로 적자가 되거나 하여 전회보다도 적은 자본으로 재생산을 해나가는 것을 축소재생산이라고 한다.[3]

어떠한 형태의 사회에서도 사회가 존속하기 위해서는 소비가 끊임없이 계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 또한 계속되지 않으면 안 된다. 생산의 반복과 그것에 따르는 소비의 반복과정을 사회적 재생산과정이라고 한다. 즉 재생산은 생산이 끊임없이 반복, 갱신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재생산이 동일한 규모로 행해질 때 그것을 단순재생산이라고 부르고, 확대된 규모로 이루어질 때 확대재생산이라고 부른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본적인 생산관계는 자본가 계급과 노동자 계급간의 관계(자본관계)이며 자본주의적 재생산과정은 이 자본관계의 재생산과정을 가리킨다. 자본가는 투하한 자본 중 일부를 생산수단으로, 다른 일부를 노동력으로 형태전환한 후 이들 두 생산 요인을 결합하여 생산한 생산물 전체를 자기 수중에 넣는다. 이 생산물 가운데는 생산수단에 투하된 불변자본가치와 노동력에서 형태 전환된 가변자본가치 이외에도 잉여가치가 포함되어 있다. 그것을 판매함으로써 자본가 계급은 투하한 자본을 회수하는 동시에 자본을 축적한다.

한편 노동자 계급은 노동력을 자본가에게 판매한 대가로 임금을 받고, 그 돈으로 자본가 계급으로부터 소비 자료를 구입, 소비하여 가족과 자신의 노동력을 재생산한다. 그러나 노동자 계급이 자본가 계급으로부터 구입하는 소비 자료는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으로 생산한 생산물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더욱이 노동력이 재생산됨과 동시에 소비 자료는 소비되어 버리기 때문에 노동자는 다시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판매해야 하는 처지에 빠지게 된다. 노동력은 이러한 방식으로 재생산된다. 그렇기 때문에 생산수단도 소비 자료도 갖지 못한 무산의 임노동자가 존재하는 것이야말로 자본주의적 생산이 이루어지기 위한 사회적 전제조건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 전제조건 자체가 자본주의적 재생산과정에서 부단히 생산되고 재생산되는 것이다.

한국근대문학에서 노동자 계급의 소외 문제는 20~30년대 카프문학에서, 그리고 1970~80년대 노동문학에서 크게 부각된 바 있다. 특히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978)은 자본가 계급과 노동자 계급의 대립구조와 자본관계의 재생산 문제를 탁월하게 제시한 성공작으로 꼽힌다.[4]

사회적 재생산(social reproduction)

첫째, 사회가 사회제도와 사회구조를 재생산하는 과정을 말한다(생물학적 재생산과 사회화 과정을 포함).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사회적 재생산뿐만 아니라 사회변혁의 요인들에 의해 수반되는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가정할 수 있다. 둘째, 마르크스주의 진영에서는 사회적 재생산을 특정한 사회에서 사회관계의 유형과 기존의 생산양식이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자본주의에서 이것은 지속적인 재생산과 자본의 확대재생산, 그리고 이데올로기에 의존함으로써 기존의 사회ㆍ경제관계가 유지되는 것으로서 파악된다.[5]

생산 관계의 재생산

마르크스는 상품의 재생산 과정은 동시에 생산 관계의 재생산 과정이기도 하다고 말한다.

자본주의적 생산 과정은, 하나의 연결된 전체 과정 즉 재생산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상품이나 잉여가치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자본 관계 자체를, 즉 한편으로는 자본가를 다른 한편으로는 임금 노동자를 생산하고 재생산한다.(1권 604/786-7)

자본주의적 생산은 상품이나 잉여가치를 재생산하면서 동시에 생산 관계도 재생산한다. 생산물을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자본가는 재투자를 통해 생산 수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노동력을 구입할 수 있는 능력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력을 유지할 수 있는 비용만을 임금의 형태로 받기 때문에 생산 수단을 구입할 수 있는 자본을 축적할 수 없다. 따라서 생산물의 재생산의 과정에서 자본주의적 생산 관계, 즉 자본가와 노동자의 관계도 그대로 재생산되는 것이다.[6]

각주[편집]

  1. 존 피어스, 〈재활용 재가공 재생산… 불황기 돈을 부른다〉, 《디비알》, 2009-07
  2. 이덕주 기자, 〈테슬라 공동창업자 “배터리 공급부족 불보듯…미래는 ‘이것’에 달려”〉, 《매일경제》, 2023-09-21
  3.  〈재생산〉, 《매일경제》
  4.  〈재생산〉, 《문학비평용어사전》, 
  5.  〈사회적 재생산〉, 《사회학사전》, 
  6.  〈생산 관계의 재생산〉, 《마르크스 『자본론』(해제)》,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재생산 문서는 환경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