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배산임수

위키원
Junwoen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20일 (화) 15:2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배산임수 형태의 농촌 촌락 입지

배산임수(背山臨水)는 지세(地勢)가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에 면하여 있음을 의미한다.

개요

배산임수 촌락의 입지

배산임수는 뒤에는 산이 있고, 앞에는 물이 있는 것을 뜻하는 숙어다. '산을 등지고 물을 마주보고 있다'는 의미로, 대한민국 전통 취락의 입지 특징이다. 즉, 한국의 전통적으로 취락이 입지하는 조건으로, '산을 뒤로 하고 앞으로는 하천을 마주보고 위치한다'는 의미이다. 우리나라의 전통 민간사상풍수지리와 관련되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적응한 조상들의 실용적인 지혜로 여겨진다. 배산임수는 뒤쪽은 산으로 에워싸여 있고, 앞으로는 하천이 흐르는 곡구나 산록 사면의 입지를 말하는 것으로, 풍수 지리적으로 볼 때 명당에 해당된다. 배산임수 지형에 입지한 촌락은 겨울에 차가운 북서풍을 차단해 주는 배후의 산지가 있고, 산지로부터 연료 획득이 유리하다. 그리고 앞으로 하천이 흘러 풍부한 생활 및 농업 용수의 확보가 가능하고, 하천이 형성한 범람원이 있어서 경지 확보가 유리하며, 취락의 입지가 남향을 이루어 일조에 유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배산 임수 촌락의 입지는 자연 환경에 적응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배산(背山) : 산을 등지고 위치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의 겨울철 기후를 지배하는 북서계절풍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중위도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 위치하여 연교차가 크고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데, 그 중 춥고 긴 겨울이 서민들의 생활이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과거에 춥고 긴 겨울을 나는 것은 삶과 직결된 문제였으므로 겨울철 추위를 지배하는 북서계절풍을 막아주는 뒷편의 산이 매우 중요했던 것이다. 따라서 산을 등지는 것은 북쪽방향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일조량 확보를 위해 집을 남향으로 설정하는 것과도 관련이 된다. 또한 뒷편의 산은 과거 농경사회 주 연료원이었던 뗄감 확보와 더불어 각종 임산물의 제공처가 되기도 했으며, 지형에 따라 외적의 방어에도 도움이 되었다.
  • 임수(臨水) : 물을 마주 보는 위치가 중요한 이유는 농업에 필요한 용수의 확보 때문이다. 벼농사를 중심으로 했던 우리나라는 특히 물을 많이 필요로 했기 때문에, 다른 농경문화권에 비해서도 물의 확보가 거주지 선택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생활용수 공급 측면에서도 물은 중요했다. 한편 대부분 전통 취락들이 물가 근처에 있는 것이 아니라 거리를 두며 다소 지대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데, 이는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서이다. 우리나라 여름철은 강수량이 많고 집중되어 있어 오늘날에 비해 수리시설이나 홍수방지 시설 등이 부족했던 과거에는 홍수가 더 빈번했고, 거주지 선택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위와 같은 이유로 배산임수는 대한민국의 자연환경, 특히 기후 특성에 적응한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지혜가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현대에 와서는 지리학 사상 중 하나인 환경결정론의 한 사례로 언급되기도 한다. 한편, 한국 전통 민간사상인 풍수지리설에서도 배산임수는 택지(宅地)를 정할 때의 가장 이상적인 배치로 보고 있다. 집 뒤의 산은 집에 생기를 불어넣는 지맥이 있는 곳으로 보며, 집 앞의 물은 산으로부터 흘러온 땅의 기운이 모이는 곳으로 땅의 기운이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따라서 배산임수는 산의 기운인 음(陰)과 물의 기운인 양(陽)이 서로 합해지는 곳으로, 산천의 생기를 북돋우어 만물이 잘 자라게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풍수설에서는 배산임수를 양택(良宅)풍수라 하여 양기풍수(마을이나 도읍 터), 음택풍수(묘지)와 함께 가장 중요한 풍수의 원칙으로 여기고 있다.[1][2]

예부터 살기 좋은 위치로 통했는데, 서울 강북 지역이 대표적인 배산임수 형태이다. 북쪽에 있는 산이 겨울에는 찬 북풍을 막아주며, 남쪽에 있는 한강에서 식수를 얻기 쉽기 때문이다. 다만 서울 중심가는 북쪽으로 북악산, 서쪽으로 인왕산, 동쪽으로 낙산, 남쪽으로 남산이 둘려싸여 있는 분지형 지형으로 여름에는 더 덥고, 겨울에는 더 춥다. 정확히는 용산구가 배산임수 지형에 딱 맞다고 보면 된다. 북쪽으로 남산과 북악산이 있고 바로 앞에 한강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부합하는 동네가 바로 서울의 부자 동네 중 한 곳인 한남동이다. 독립기념관도 배산임수 형태이다. 현대에는 도시개발 과정에서 복개되는 하천이 많아짐에 따라 집 앞을 흐르는 실개천이 많이 없어지고 대개 큰 하천만 남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보니 원래는 물길 앞이었는데 지금은 물길이 한참 떨어지게 된 명당 자리도 많다. 현재는 물길을 도로가 대신하고, 고층 빌딩이 산을 대신하여 본다고도 한다. 기후상 비슷한 역할을 하기도 하고, 현재 도시 지역에서 아스팔트가 깔린 곳들은 웬만하면 옛날 실개천들 위해 복개한 곳이 많기도 하다. 특히나 도로 아래로는 배수관이 지나고 있어 예전처럼 식수를 얻기에도 용이하다. 한강 바로 앞의 집들은 오히려 풍수지리학상으로 안 좋다는 얘기도 있긴 하다.[3]

개설 및 역사

뒤로 산을 등지고 앞으로 물을 내려다보는 지세를 갖춘 터로서, 풍수에서 여기는 마을이나 건축 조영물이 들어설 이상적인 지형이다. 배산임수의 '배산(背山)'은 뒤로 산을 등지고 있다는 뜻이고, '임0수(臨水)'는 앞으로 강, 시냇물, 연못 따위의 물을 내려다보거나 물에 닿았다는 뜻이다. 배산면수(背山面水)·배산임소(背山臨沼)·배산면락(背山面洛)·배산임락(背山臨洛)·배산임계(背山臨溪) 등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며, 배산면양(背山面陽)으로도 표현된다. 산을 음(陰)으로 보는 것에 대해, 물을 양(陽)으로 보기 때문이다. 배산임수한 터는 또한 산하금대(山河襟帶)·산수회포(山水回抱)·산수환포(山水環抱) 등과 같은 뜻으로 형국의 크기, 지형 조건에 따라 달리 표현된다. 한국의 마을이나 건축 조영물은 일반적으로 산의 경사가 완만하게 아래로 내려오다가 시냇물을 끼고 들판으로 바뀌는 산기슭에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지형을 이룬 터를 배산임수하고 있다고 말한다. 산이 많은 지형에 살고 있는 한국인들은 예로부터 마을이나 건축 조영물이 배산임수한 지형에 자리 잡고 있으면 그 터는 풍수가 좋다고 여겨왔다. 이러한 터는 농경생활을 하기에 적합하면서 생태적이고 친환경적인 특성을 지닌다.

배산임수한 지형은 이미 조선시대에 사람이 살기에 이상적인 터라고 언급되었다. 이산해(李山海, 1539∼1609)는 『아계유고(鵝溪遺稿)』에서 팔선대(八仙臺) 인근 서촌(西村)의 "민가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데 모두 배산임수하고 있으며 샘이 달고 땅이 기름지고 수목이 울창하고 곡식이 무성하여 매우 좋다(民居相望 皆背山臨水 泉之甘 土之沃 樹木之鬱密 禾穀之茂盛 甚可喜也)."고 하였다. 홍만선(洪萬選, 1643∼1715)이 『산림경제(山林經濟)』에서 "치생을 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먼저 지리를 가려야 한다. 지리는 물과 땅이 아울러 통하는 곳을 최고로 삼는다. 그러므로 뒤에 산이 있고 앞에 물이 있으면 곧 훌륭한 곳이 된다(治生必須先擇地理 地理以水陸並通處爲最 故背山面湖乃爲勝也)"라며 배산면호(背山面湖)한 터를 말한 것이나, 정조(正祖)가 『홍재전서(弘齋全書)』에서 "옛말에 일백 가구의 마을과 열 집의 저자라도 반드시 산을 의지하고 시내를 끼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古語不云乎 百家之聚 十室之市 亦必依山帶溪者是也)"라고 하며 의산대계(依山帶溪)한 터를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배산임수한 터는 풍수와 깊은 관계가 있다. 풍수에서 말하는 좋은 터는 뒷산에서 흘러들어온 기(氣)가 모인 곳이다. 기는 물을 만나면 움직이는 것을 멈추고 한 곳으로 모이는데, 이를 두고 중국동진(東晋)의 곽박(郭璞, 276∼324)이 찬하였다고 하는 『장서(葬書)』에 "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을 경계로 하면 멈춘다. 옛 사람이 기를 모아 흩어지지 않게 하고, 기가 다니게 하다가 멈추고자 하여 이를 풍수라 불렀다.(氣乘風則散 界水則止 古人聚之使不散 行之使有止 故謂之風水)"라고 설명하였다. 배산임수한 터는 이러한 지세를 한 곳이다.

배산임수한 터에 건물을 앉힐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건물의 좌향(坐向) 잡기와 안대(案對)의 선택이다. 좌향 잡기는 터에 건물을 어떻게 앉힐 것인가를 살펴 결정하는 일을 말한다. 좌향의 '좌'는 터에 건물이 앉는 방위를 말하고, '향'은 건물이 앞을 내다보는 방향을 이른다. 건물이 잘 앉혀지면 그 터는 거기에 사는 사람들에게 편안하고 안정된 느낌을 준다. 향은 집 앞으로 바라보이는 산인 안대와 관계된다. 건물의 향을 정할 때는 안대의 선택을 우선으로 한다. 같은 마을에 있는 집들이라도, 안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집들은 향을 달리 한다. 안대의 형상은 바로 그 집에 사는 사람들의 심상을 좌우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배산임수한 국면을 경관과 외부공간을 구성하는 관점에서 보면, 터 뒤를 받치는 주산(主山), 소조산(少祖山), 조산(祖山)은 산 뒤에 산이 있는 형상을 이루며 겹겹으로 터를 둘러쌈으로써 터를 받치는 경관이 깊이감이 있도록 한다. 터 앞으로 흐르는 시내 건너 평활하게 트인 전경(前景)은 그 방향의 안산(案山), 조산(朝山)이 터의 대경(對景), 차경(借景)이 되도록 해서 터 앞으로 멀리 내다보는 원경의 중심을 형성하도록 한다. 배산임수한다는 것은 마을이나 건물이 들어선 터가 그러하다는 뜻이지만, 그러한 터에 살거나 생활하는 사람도 배산임수하게 된다. 터와 사람이 함께 산을 등지고 물을 내려다보며 밖을 내다보는 것이다. 사람이 거주하는 장소는 터와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묶여 있음을 뜻한다.[4]

의의와 평가

일반적으로 배산임수한 터는 그 주위로 산이 둘러싸고 있어서 외부에 잘 노출되지 않아 방어에 유리할 뿐 아니라, 터가 경사지고 앞으로 트여있기 때문에 일조량이 많고 양명하며 배수에 유리하다. 또한, 겨울철에는 터 뒤로 등지고 있는 산이 그쪽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을 막아주고, 여름철에는 앞으로 흐르는 시냇물과 들판을 통해 흘러들어오는 시원한 바람을 마을로 받아들이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마을 뒷산은 땔감과 목초 등 일상생활과 생업에 필요한 자원을 수월하게 취할 수 있는 곳이고, 마을 앞으로 흐르는 개천은 마을에서 나오는 하수를 처리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마을 앞 경작지에 필요한 관개용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배산임수한 터는 기후·지형·생업·생태적으로 좋은 여건을 갖추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선호되었다. 겨울이 춥고 여름이 더운 기후 조건, 산지가 많은 지형 조건에서 배산임수한 터는 예로부터 한국인들에게 삶의 터전을 잡는데 필요한 조건을 제공하였다. 배산임수는 삶의 체험으로부터 개념화되고 체계화된 것이며, 자연 속에서 인간이 취해 온 매우 구체적인 삶의 방식의 하나이다.[5]

건물과 배산임수

건물을 짓거나 묘를 조성할 때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는 것을 '배산임수(背山臨水)'라 한다. 이렇게 해야 후손이 복록(福祿)을 누리고 행복해진다고 한다. 만약 반대로 물을 등지고 산을 바라보면 '배수진(背水陣)' 형국이다. 이 경우 땅의 기운을 제대로 타기 어려워 원인 모르게 삶이 고되고 불행해진다고 풍수에선 설명한다. 도시에서 건물의 입지가 배산임수의 터인지 또는 배수진을 친 터인지를 알아보는 방법은 의외로 쉽고 간단하다. 건물의 앞면이 아닌 건물 뒤쪽으로 가서 지세를 살피면 알 수 있다. 건물 뒤쪽이 산비탈이거나 산 구릉이면 '전저후고(前低後高)'의 지형이다. 이런 터에 지어진 건물은 배산임수라고 할 수 있다. 지기에 순응하기 때문에 건물 입지로서는 괜찮은 편이다. 말을 탈 때 말 머리의 갈퀴 쪽을 붙잡고 뛰는 것처럼 자세가 안정되고 잘 달릴 수 있다.

배수진을 친 건물은 건물 뒤쪽에 돌이나 콘크리트로 축대를 쌓아 경사면을 평지로 조성한 뒤 건물을 짓는다. 따라서 건물 뒤쪽에 축대가 있는 건물은 지기의 흐름에 역행한 건물이다. 지기 역시 약하다고 보면 된다. 말 꼬리를 붙잡고 뛰는 것처럼 자세가 불안정하고 땅에 떨어져 몸을 다칠 수도 있어서다. 풍수에서는 물을 재물로 본다. 따라서 배수진을 쳤다면 재물을 등진 건물이기 때문에 재물 운이 나쁘거나 흉하다. 건물이 배수진을 쳤더라도 덜하고 심한 정도의 차이가 있긴 하다. 전고후저의 경사가 완만하면 건물 뒤쪽에 축대가 낮아 재물 운도 그리 나쁘지 않다. 축대가 높으면 그만큼 재물이 도망가거나 흘러나간다. 지형이 평지에 가까우면 축대가 낮거나 없는 경우도 있어 흉함은 그만큼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아파트는 어떻게 봐야 할까. 건물의 정면을 알아야 하는데 현관과 발코니 쪽 중 어느 방향을 정면으로 봐야 할까. 실내(거실)의 중앙에서 창밖을 내다봐 가장 멀리 가장 넓게 바라다 보이는 쪽이 정면이다. 그러므로 아파트라면 발코니 쪽이 그 집의 향이 된다는 결론이다.[6]

관련 기사

배산임수 입지…'더샵 광양라크포엠' 수요자 관심

예로부터 명당으로 꼽히는 지역은 부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부촌으로 거듭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아파트를 선택할 때도 설계나 브랜드, 상품성 이외 풍수지리에 큰 관심을 두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풍수지리상 명당의 기본 조건으로 여겨지는 입지는 '배산임수'다. 배산임수는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는 형상으로, 집 뒤로 산이 있어 바람을 막아주고 앞에는 강이나 천 등이 있어 물을 쉽게 얻어 길지로 꼽힌다. 이러한 배산임수 입지가 현대에서도 통하는 이유는 자연이 가까이에 있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추고 있는 데다 탁 트인 조망권까지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곳이 서울 용산구 한남동 일대다. 북한산을 등지고 한강을 바라보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지형으로 정재계와 유명인사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특히 한남동에 위치한 '한남더힐'의 경우 2022년 5월 전용면적 240㎡가 110억 원(3층)에 매매되며 처음으로 100억 원이 넘는 가격에 팔리기도 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분양시장에서 배산임수 입지로 주목을 받은 단지들은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는 경우도 많다. 일례로 2022년 9월 대전 대성지구에서 분양된 '은어송 하늘채 리버뷰'는 단지 바로 앞으로 대전천이 자리하고 동쪽으로는 식장산이 자리 잡고 있는 입지로 주목을 받으며 1순위 청약에서 최고 경쟁률 65:1을 기록해 성황리에 청약을 마감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쾌적한 주거환경이 주거지를 선택할 때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면서 배산임수 입지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전남 광양에서도 배산임수 입지를 갖춘 아파트가 들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포스코건설이 공급하는 '더샵 광양라크포엠'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9층, 9개동, 전용 84~159㎡, 총 920가구의 대단지 아파트로 조성되며, 10월 28일부터 11월 2일까지 6일간 정당계약이 진행된다.[7]

동영상

각주

  1. 배산임수〉, 《두산백과》
  2. 배산임수〉, 《학생백과》
  3. 배산임수〉, 《나무위키》
  4. 배산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D.95.9C.EA.B5.AD.EB.AF.BC.EC.A1.B1.EB.AC.B8.ED.99.94.EB.8C.80.EB.B0.B1.EA.B3.BC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6. 배산임수〉, 《위키백과》
  7. 한국목재신문 편집국, 〈배산임수 입지…'더샵 광양라크포엠' 수요자 관심〉, 《한국목재신문》, 2022-10-21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배산임수 문서는 부동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