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목 (행정구역)
소목(蘇木, 몽골어: сум 솜, 중국어 간체자: 苏木, 병음: sūmù 쑤무)은 몽골,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에서 사용되고 있는 행정구역 단위이다. [1]
개요
- 몽골 - 몽골에서 소목은 주(아이막, Aimag)와 마을(바그, Bag) 사이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으로 군에 해당한다. 현재 몽골에는 347개의 소목이 있으며 인구는 각각 3,000명 정도로 추산된다.
- 중화인민공화국 - 네이멍구자치구에서 소목은 향급 행정 구역으로 분류된다. 내몽골 자치구의 소목은 기(旗)와 촌(村) 사이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다. 몽골족 이외의 소수 민족이 다수를 차지하는 소목은 "민족소목"(民族蘇木)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내몽골 자치구와 동등한 행정 구역에 존재하는 민족향(民族鄕)과 동일한 행정 구역이다.
- 러시아 - 투바 공화국에서는 "수몬"(러시아어: Сумон), 부랴트 공화국에서는 "소몬"(러시아어: Сомон)이라고 부른다. 수몬과 소몬 모두 러시아어로 "셀소베트"(selsoviet)라고 부른다.
중국 행정구역 체계
- 성급행정구 / 省级行政区(1급 행정구, 33개) - 직할시(直辖市), 성(省), 자치구(自治区), 특별행정구(特别行政区) - 규모는 제안된 고려민주연방공화국의 남북한 지역정부, 위상으로는 한국의 특별시·광역시(직할시), 도(성), 특별자치도(자치구), 대한민국 정부의 북한 정권에 대한 입장(특별행정구)에 상당한다.
- 지급행정구 / 地级行政区(2급 행정구, 334개) - 부성급시(副省级市), 지급시(地级市), 자치주(自治州), 지구(地区), 맹(盟) - 규모는 도 정도, 위상으로는 특례시 정도.
- 현급행정구 / 县级行政区(3급 행정구, 2,852개) - 현급시(县级市), 현(县), 자치현(自治县), 시할구(市辖区), 기(旗), 자치기(自治旗), 특구(特区), 임구(林区) - 한국 시(현급시), 군(현), 구(시할구) 정도이나 좀 더 인구가 많음.
- 향급행정구 / 乡级行政区(4급 행정구, 40,466개) - 가도(街道), 진(镇), 향(乡), 민족향(民族乡), 소목(苏木), 민족소목(民族苏木), 虚拟镇 - 한국 읍(진), 면(향), 동(가도) 정도.
- 촌급행정구 / 村级行政区(5급 행정구, 704,386개) - 촌(村), 알사(嘎查), 사구(社区) - 한국 리(촌), 통(사구) 정도.
중국 행정구역은 단계에 따라 5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1단계(법인격 필수), 4단계 이하(법인격 비필수)를 뺀 2~3단계는 자치권이 있는 행정구역(지급시, 주, 현급시, 현, 기)과 자치권이 없는 행정구역(지구, 맹, 시할구)이 혼재되어 있다. 촌급 행정구역은 단순하게 도시사구와 농촌사구로 번역하기도 한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머리만 아프니 해당 행정구역을 대표하는 행정단위에는 강조 표시를, 내몽골에만 있는 팔기군에서 유래한 행정구역은 기울임 표시를 해놓았다.
행정구역마다 당위원회(당위), 정부가 있으며 현급행정구부터는 인민대표대회(인대), 정치협상회의(정협)이 존재한다. 권력 서열은 명목상으로는 당위>인대>정부>정협 순이지만 실질적인 서열은 당위>정부>인대>정협 순이다. 정부의 수장은 당위원회의 부서기를 겸하는 경우가 많으며 소개할 때에도 당위 부서기 타이틀이 정부 직함의 앞에 나온다.
성급보다 높은 대행정구(大行政区)도 존재하였다. 대행정구 관할구역을 베이징 기준 방위로 정해, 예를 들어 베이징 기준 방위가 같은 화중과 화난이 중난으로 묶여 있다. 폐지되었지만 현재도 지방구분 용도로 사용한다. 제일 널리 쓰이는 예시가 바로 동북(东北)3성이다.
역사적인 이유로 두 행정구역 등급 사이에 행정구역이 끼어있는 경우가 매우 드물게 존재한다.
- 현할구(县辖区) - 말 그대로 현이 관할하는 구다. 과거에는 향급행정구 여러개(대개 4~5개)를 구로 묶어 이를 상위 현급행정구가 관할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후 향급행정구를 합병하며 거의 사라져 현재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줘루현(涿鹿县) 난산구(南山区)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슈가르지구 저푸현(泽普县) 쿠이이바거구(奎依巴格区) 딱 2개가 잔존해있다.
- 통상적으로 민족자치주(民族自治州)는 지급행정구에 속하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는 3개 현급시와 지급행정구에 해당하는 2개 지구(地区)를 관할하는, 어떻게 보면 부성급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지위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리주의 행정구역 등급에 대해선 여전히 논쟁이 남아있다.[2]
네이멍구자치구
네이멍구자치구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부에 위치한 자치구이다. 몽골어로는 "외뷔르 몽골"이라고 표기하는데 "외뷔르"는 몽골어로 "남쪽, 안쪽, 앞쪽"을 뜻한다. 즉 "외뷔르 몽골"은 한국어로 직역하면 "내몽골"이라는 뜻을 갖게 된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세 번째로 큰 행정 구역으로, 총 면적은 1,183,000㎢로 총 면적의 12%를 차지한다.
행정구역
네이멍구자치구는 12개의 지급 행정구역, 103개의 현급 행정구역(23개의 시할구, 11개 현급시, 17개의 현, 49개의 기, 3개의 자치기)을 관할한다.
- 시할구 -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시할구」는 직할시나 대도시(지급시)의 시가에 설치된 현급 행정구이다. 시할구 아래의 구획은 향급 행정구에서, 대도시와 개발이 진행된 지구에서는 주로 가도(街道), 공업화·도시화의 발달 과정 중의 도시에서는 진(鎭)이나 향(郷)이 주가 되고 있다. 시할구가 다른 현급 행정구와 다른 것은 그것이 도시의 실질 영역 부분에 속해 있다는 것이다. 즉 인구밀도가 높고, 유동 인구가 집중되고 있어, 도시 인구비율은 높고, 문화·경제·무역이 발달해 있다.[3]
- 현급시 - 현급시(縣級市)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단위로 현과 같은 구분에 있는 시이다. 1980년대 이후 급격한 중국의 발전이래 공업화로 인한 발전과 도시화에 따라 대다수의 「시」가 현을 폐하고 시로 승격하였다. 대만에서는 현에 속하는 행정 구역 단위로서 「시」가 있다. 1983년 지급행정구획으로 개혁된 이후, 지할시는 현급시로 이름을 바꾸었다.[4]
- 현- 고대에 춘추전국시대의 중국에서부터 현이 있어왔는데 처음에는 군보다도 위 행정구역이었지만 이후 그 위치가 역전되어버렸다. 전국시대에 각 나라들이 새로 정복지를 마련하면 기존의 현 대신에 군이라는 새로운 행정구획을 설정했는데 이는 땅은 넓지만 인구는 적었기 때문에 현보다 위계가 아래였지만 군내에 인구가 늘고 그 산하에 현을 두기 시작하면서 군이 현에 우위를 점하기 시작했던 탓이다. 진시황대에 통일한 전국을 36군으로 나누며 그 밑에 현을 두는 것으로 군현제가 확립되었고 이후 현은 내내 최하급 행정구역의 위치를 차지했다. 처음에 현은 인구수에 따라 급을 정해서 한(漢)대에는 1만호 이상의 현 장관을 령(令), 이하는 장(長)이라 불렸고 이후에 급의 수나 장관의 명칭은 변천되었다. 2003년 12월 31일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는 전부 1470현과 소수민족의 117 자치 현이 있다. 현급 행정구는 지급 행정구에 속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하이난성의 경우 등 성에 직속하는 경우도 있다.[5]
- 자치기 - 중화인민공화국의 민족 구역 자치행정체의 일종이다. 전국에 3개의 자치기가 있다. 자치기는 내몽골 자치구에만 있는 민족 구역 자치행정체이다. 자치기와 자치현의 차이는 명칭뿐이다.[6]
- 기-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의 행정 단위이다. 기는 청나라 때 도입된 것으로, 만주 팔기군에 속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몽골족을 기로 편성하였다. 각각의 기들은 숨(Sum)이라는 하위 행정 구역으로 세분되었다. 내몽골에서 몇몇 기들은 맹(盟)을 구성했다. 나머지 외몽골과 신장, 칭하이에서는 아이막(Aimag)이 가장 큰 행정 단위였다. 청나라는 몽골인들이 다른 기로 넘어가는 것을 제한하는 한편, 중국 본토에서의 인구 유입으로부터 몽골족을 보호하였다. 현재 52개(3개 자치기 포함)가 있다.[7]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 〈소목 (행정구역)〉, 《위키백과》
- 〈중국 행정구역〉, 《나무위키》
- 〈시할구〉, 《위키백과》
- 〈현급시〉, 《위키백과》
- 〈현(행정구역)〉, 《위키백과》
- 〈자치기 (행정구역)〉, 《위키백과》
- 〈기 (행정구역)〉, 《위키백과》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