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맹 (행정구역)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어: 盟, 몽골어: ᠠᠢᠢᠮᠠᠭ, Aimag 아이막)은 몽골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의 행정구역이다. 맹은 다시 (旗)와 소목(蘇木)으로 나뉜다.[1]

개요[편집]

맹 은 청나라 때부터 통치 기구로서 존재해왔다. 맹의 장은 그 맹에 속하는 기(旗)의 기장 또는 살라로부터 선택되었다. 원래의 맹은 철리목(哲里木), 소조달(昭鳥達), 탁색도(卓索圖), 석림곽륵(錫林郭勒), 오란찰포(烏蘭察布), 이극소(伊克昭) 6개이다. 나머지 맹은 몇 세기 이후에 추가된 것이다. 현재 맹은 중국의 지급 행정구의 일종으로 1970년대에 존재한 맹 9개 가운데 6개는 지급시로 재편되었다.

중국은 지방 행정을 4계층의 수직 구조로 나누어 통치하고 있다. 최상층을 제1급 행정구역이라고 부르고, 중화인민공화국의 광대한 영역을 22개의 성, 5개의 자치구, 4개의 직할시에 수평 분할하고 있다. 특별행정구는 엄밀하게는 제1급 행정구역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는 그것과 동등하게 다루고 있다.

제2계층의 지급의 행정 단위는 지급시, 자치주, 지구 등이 있다. 현재, 중국은 과 현·현급시의 중간에 위치하는 지급시로 재편되고 있다. 지급시는 시라고 칭하지만, 도시지역과 주변의 농촌부를 포함한 비교적 큰 행정 단위이다. 자치주나 지구는 영어에서는 prefecture 로 번역되어 지급시는 prefecture-level city 로 번역된다.

제3계층의 행정 단위가 현과 현급시이다. 중국의 현은 영어에서는 county로 번역된다. 일본과 비교했을 경우, 현에서 군에 가까운 규모이다. 또 영어에서는 county-level city로 번역되는 현급시가 일본의 시에 가까운 존재이다.

제4계층에 해당되는 것이 향급의 행정 단위로, 향(鄕)이나 진(鎮) 등으로 불린다. 영어에서는 향은 township, 진은 town으로 번역된다.

각 계층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성급행정구 / 省级行政区(1급 행정구, 33개) - 직할시, 성, 자치구, 특별행정구
  • 지급행정구 / 地级行政区(2급 행정구, 334개) - 부성급성시(副省级城市), 지급시, 자치주, 지구, 맹
  • 현급행정구 / 县级行政区(3급 행정구, 2852개) - 현급시, 현, 자치현, 시할구(市辖区), 기, 자치기, 민족구, 특구
  • 향급행정구 / 乡级行政区(4급 행정구, 40466개) - 진, 향, 민족향, 현할구(县辖区), 가도, 소목, 민족소목, 虚拟镇
  • 촌급행정구 村级行政区(5급 행정구, 704,386개) - 촌민위원회(촌민소조, 촌, 嘎查), 사구거위원회(사구社区, 거민구居民区)

분단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타이완도 자국령이라고 헌법에 명시하고, 마찬가지로 중화민국 정부도 중화인민공화국이 가진 전체 영역을 자국의 영토로 헌법에 명시하여 영토주권에 대해 대립하고 있다.[2]

내몽고자치구[편집]

내몽고자치구는 중국의 자치구다. 구도(수부)는 후허하오터시(呼和浩特市)로, 몽골어로는 후흐허트(Хөх хот), 전통적으로는 코크코타(ᠬᠥᠬᠡᠬᠣᠲᠠ)라 불렸다.

만리장성고비사막 사이에 위치한 중국의 5대 자치구 중 하나며 역사, 문화적으로 몽골과 관련이 깊다. 북쪽으로는 몽골(외몽골), 러시아와 접경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만리장성을 경계로 간쑤성,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허베이성, 섬서성, 산서성, 닝샤후이족자치구 등 수많은 중국 내 성들과 접하고 있다.

북쪽 국경지대에 몽골, 러시아와 인접해 있다. 면적은 1,183,000km². 국경선이 무려 4,220㎞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몽골과 접경선이 3,192㎞, 러시아와 접경선은 약 1,000㎞이다.

내몽고자치구 중 다싱안링 산맥(大興安嶺山脈/大兴安岭山脉, 대흥안령 산맥)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은 넓은 의미의 만주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 일대를 동 4맹(東四盟/东四盟)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에 속하는 행정구역은 츠펑시(赤峰市, 구 자오우다맹 昭烏達盟/昭乌达盟 ), 퉁랴오시(通遼市/通辽市, 구 저리무맹 哲里木盟 ), 후룬베이얼시(呼倫貝爾市/呼伦贝尔市, 구 후룬베이얼맹), 싱안맹(興安盟/兴安盟)이다. 여기서 '맹(盟)'은 몽골과 내몽골자치구에만 있는, 한국의 도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단위인 아이막(키릴문자: Аймаг, 몽골 문자: ᠠᠶᠢᠮᠠᠭ, 로마자: Aimag)을 한자로 음차한 것인데 현재 행정구역 개편이 되어 본래의 동4맹 중 3개가 시로 승격되었다. 현재도 이 네 곳을 묶을 땐 예전 행정구역을 따서 동4맹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바뀐 행정구역에 맞춰 3시 1맹(三市一盟)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몽골 지역은 고비사막을 기준으로 남몽골과 북몽골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법은 명나라 때에는 중국에서도 통했던 분류법이지만, 청나라의 몽골지배 시절 때부터 수도인 베이징을 기준으로 (중기까지 청나라 국경이던) 고비사막보다 바깥에 있는 몽골은 '와이(外)멍구'이고, 고비 사막보다 안쪽에 있는 몽골 지역은 '네이(内)멍구 자치구'라고 이름을 지었다.

현재 내몽골자치구 인구의 80%는 한족 이주민으로 채워져 있어 몽골어보다는 중국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또한 내몽골에 사는 몽골족은 중국 내 소수민족이므로 "몽골인"이 아닌 "몽골족"으로 분류된다. 오늘날 "몽골인"이란 단어는 독립국가인 몽골국의 국민을 지칭하며, 내몽골인은 국적상 중국인으로 분류된다. 문화적인 부분, 특히 음악 쪽에서 중국과 혼합된 형태를 이어나가고 있다.

내몽골의 몽골 정체성이 상당히 희석된 것 같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키릴문자를 쓰는 몽골국의 몽골인과는 달리 내몽골에서는 여전히 몽골문자를 실생활에서 사용하며, 몽골국 전체 인구수(300만)보다 내몽골의 몽골족 한정 인구수(400만)가 훨씬 더 많다. 역사적으로 내몽골의 차하르가 청나라에게 가장 먼저 복속되긴 했지만, 복속된 이후에도 당대 그 누구도 막남몽골 차하르들을 '만주인'이라 하지 않았고 '몽골' 또는 '달단'이라 하여 만주인이나 한족과 엄격히 구분했다.

동북 3성 못지 않은 혹한 지역이다. 영하 20°C인 날이 흔하며 영하 40°C 이하도 자주 기록되며 역대 최저기온은 북부 tulihe에서 기록된 영하 58°C이다. 이는 중국 내 최저기온이다.[3]

네이멍구자치구의 맹[편집]

아라산맹/알샤아이막(阿拉善/ᠠᠯᠠᠱᠠ ᠠᠶᠢᠮᠠᠭ)[편집]

내몽골자치구의 맹이며 동쪽으로 우하이시, 어얼둬쓰시 및 바옌나오얼시, 서남쪽으로 간쑤성, 남쪽으로 닝샤 후이족 자치구, 북쪽으로 몽골과 접한다. 내몽골 자치구에서 제일 적은 인구를 가진 지역으로, 유일하게 구 및 현, 현급시 등의 중국식 행정구역이 아예 없는 지급행정구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북방민족의 거주지였으며, 한나라 무제가 이 곳에 장액군(张掖郡)을 설치하고 통치하면서 중국사에 들어온다. 후한기 서해군(西海郡)이 설치되고 남북조시대까지 해당 명칭이 유지되다가 당나라 대에는 안북 도호보(安北都护府)의 통치하에 들어가며, 서하 및 원나라가 이 곳을 통치하기도 하였다. 청나라 대에는 코슈트부(和硕特部) 산하였으며, 중화민국 시기에는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전신인 닝샤성 산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대에 내몽골자치구가 출범하면서 해당 행정구역으로 들어가며, 1979년에 지급행정구로 승격된다.

아라산좌기 바옌하오터 공항(阿拉善左旗巴彦浩特机场), 아라산우기 바단지린 공항(阿拉善右旗巴丹吉林机场), 어지나치 타오라오 공항(额济纳旗桃来机场)의 3개 공항이 있으며, 전부 국내선 전용이다.

중국 최초의 위성발사기지인 주취안 위성발사센터가 아라산맹 산하 어지나기(额济纳旗)에 위치한다. 북부전구육군 제 321 국경경비여단이 주둔해있다.[4]

시린궈러맹/시린골아이막(锡林郭勒/ᠰᠢᠯᠢ ᠶᠢᠨ ᠭᠣᠣᠯ ᠠᠶᠢᠮᠠᠭ)[편집]

내몽골자치구의 맹 이며 동쪽으로 퉁랴오시, 싱안맹 및 츠펑시, 남쪽으로 허베이성, 서쪽으로 우란차부시, 북쪽으로 몽골과 접한다.

역사적으로 북방민족이 거주하였던 지역으로, 요나라 대에 상경임황부 직할지역으로 편제되어 통치되었다. 금나라 대에는 동부는 경주(庆州), 북부는 콩기라트부(弘吉剌部), 중부는 정란기(正蓝旗), 서부는 온구트부(汪古部) 산하로 편제되었다. 원나라 대에는 원 상도가 위치 해 있었으며, 원 제국의 여름수도로 작용하였다.

명나라 대 중국에서 떨어졌다가 청나라 대에 다시 중국에 편입되었다. 중화민국 시대에는 치하얼성(察哈尔省)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중화인민공화국 대인 1983년에 지급행정구로 승격한다. 중일전쟁 시기에는 데므치그돈로브가 몽강연합자치정부를 창설하며 정통 몽골 정부임을 자처했다.

시린궈러 공항(锡林浩特机场), 얼롄하오터 사이우쑤 공항(二连浩特赛乌素机场), 샹황치 신바오라거 공항(镶黄旗新宝拉格机场)의 3개 공항이 있으며, 전부 국내선 전용이다. 관내 주요 철도역으로 시린하오터역(锡林浩特站)이 존재하며, 시둬철도(锡多铁路)가 지나간다. 북부전구육군 제 323 국경경비여단이 주둔해있다. [5]

싱안맹/힝간아이막(兴安/ᠬᠢᠩᠭ᠋ᠠᠨ ᠠᠶᠢᠮᠠᠭ)[편집]

내몽골자치구 동부에 있는 행정구역이다. 서쪽으로는 몽골과 접해 있다. '힝간'은 몽골어로 다싱안링 산맥을 가리키는 단어이며, 여기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내부의 주요 도시로는 우란하오터(乌兰浩特) 시이며, 몽골어로는 '울란 호트'라고 불린다. 우란하오터가 제일 크면, 그 다음으로 큰 도시는 아얼산(阿尔山) 시이다. 몽골어로 '아르샨'이라고 부른다. 주민들은 한족들이 53%로 제일 많고, 몽골인들은 41%로 두 번째로 많다. 그 외 거주하는 민족들은 만주족, 조선족, 후이족, 다우르족, 시버족, 오르촌족, 이족 등이 있다고 한다. 면적은 59,806km², 인구는 2015년 기준으로 159.91이며, 인구밀도로는 29/km²라고 한다.

고대에는 실위의 거주지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중국이 간간히 진출하기는 하였으나 안정적으로 장기적 통치를 한 적은 없었다. 그나마 당나라의 경우 실위도독부(室韦都督府)를 설치하고 통치하기는 하였으나 당나라 외에 싱안맹 지역을 안정적으로 통치한 나라는 적었다. 거란족의 나라인 요나라는 이 지역에 금산현(金山县)을 설치하고 통치하였으며, 몽골족의 원나라의 경우 태녕로(泰宁路)를 설치하고 통치하였다.

청나라 대에는 코르친부(科尔沁部) 소속이었으며, 중화민국 시기에는 봉천군벌이 통치하였고 법적으로는 랴오베이성(辽北省) 소속이었으나 중화민국 정부가 통치한 적은 없다.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통치하였으며, 싱안총성(兴安总省) 산하였다.

1946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이 지역의 행정구역을 맹(盟)으로 변경하였고, 1980년에 지급행정구로 승격된다.

공항은 우란하오터 이러지터 공항(乌兰浩特义勒力特机场)과 아얼산 이얼스 공항(阿尔山伊尔施机场)이 있으며 둘 다 국내선 전용이다.

관내 주요역으로 우란하오터역(乌兰浩特站)이 있으며, 바이아철도(白阿铁路)가 지나간다.[6]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맹 (행정구역)〉, 《위키백과》
  2.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위키백과》
  3. 내몽골 자치구〉, 《나무위키》
  4. 아라산맹〉, 《나무위키》
  5. 시린궈러맹〉, 《나무위키》
  6. 싱안맹〉,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맹 (행정구역) 문서는 세계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