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볼(Symbol)은 어떤한 것을 연상 도록 그림, 마크로 표현하는 것으로 브랜드를 표현하는 로고에서는 브랜드 마크(Brand mark)라고도 부른다.
차이점
대부분의 사람들이 브랜드를 시각적으로 대변하도록 디자인된 엠블럼을 통틀어 그러한 모든 것들을 로고라고 부르고 있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로고와 심볼은 다르다고 봐야 한다. 사실 로고는 로고타입(logotype)에 줄임말로 그 의미와 어원은 그리스어로 '글 상표'라는 단어에서 출발하는데, 이 말을 그대로 해석하면 진짜 로고는 오로지 글자로만 꾸며진 형태의 그림만 가능하다. 즉, 회사의 철자를 그대로 표현한 이미지들을 말하는 것이다.[1] 구글에 들어가면 검색창 위에 보이는 커다란 'Google'이 그 예시이다. 반면 심볼은 '무언가를 상징하는 것'이라는 말로 핵심적인 상징을 이미지로만 표현하는 형태로 애플사의 사과 그림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특징
당연 글로 된 로고는 읽어야만 알아차릴 수 있어서 글로벌 환경에서는 빛을 발하기가 어렵다. 아랍어로 만들어진 로고타입은 유럽시장에서, 일본어로 만들어진 로고타입은 한국시장에서 효과적이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각 글로벌 시장에 맞추어 로고를 번역하여 제작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 즉, 긴 사명을 모두 표현한 로고타입이나 복잡한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로고타입은 경제적이지도 않다.[2] 이에 반면 심볼은 그림으로 되어 브랜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어 쉽게 시선을 끌 수 있고 인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언어의 장벽도 없기 때문에 로고보다는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면이 있다. 하지만 단순 그림만 보여주어 브랜드 네임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나 유명하지 않은 브랜드라면 더더욱이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브랜드의 심볼의 단순 그림 이미지 가지고서는 이곳이 어디고, 무엇을 하는 곳인지 브랜드의 정체성을 파악하기가 어렵다.[3] 또한 브랜드는 알고 있다고 한들 복잡하고 유추할 수 있는 특징이 없는 심볼을 보고 알아차릴 수는 없다. 때문에 많은 회사들이 브랜드 상징을 강렬하고 추상적인 이미지를 만들려 하고, 이를 각인 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넷플릭스를 들 수 있는데, 손톱만한 작은 크기의 이미지인 빨간 'N'을 사용하여 바로 인지하기 쉽게 만들었고, 영상이 시작되기 전 항상 첫 장면에는 심볼이 나오게 하여 시청자에게 이미지를 각인하였다. 덕분에 가로로 긴 'Netfix'로고를 사용하던 이전에 비해 확실히 이미지 인식이 쉬워졌다.
더하여 심볼은 작은 크기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브랜딩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등 모바일 환경이 중요시되는 테크 브랜드에서는 심볼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구글 디자인 사이트에서도 구글의 'G'심볼은 작은 크기가 컨텍스트에서도 돋보일 수 있고 공간을 절약하려는 의도로 만들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네이버의 경우에도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도 쉽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기존 초록색 검색창의 '그린윈도우'심볼에서 'N' 자로 변경하였다. 단순 앱 아이콘이나, SNS의 작은 프로필 이미지뿐만 아니라 공유하기 버튼에 심볼을 사용한 경우나 모바일 웹 사이트 왼쪽 상단에 노출되는 홈버튼 등을 작은 면적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방형의 포맷이나 가로 면적이 좁은 공간에서는 심볼이 데드 스페이스를 줄여 공간의 효율성을 좋게 해주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에서는 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4]
각주
- ↑ jinwookoh, 〈로고와 심볼은 뭐가 다른가?〉, 《Blogger》, 2014-10-20
- ↑ Parkdauer, 〈로고와 브랜드는 어떻게 다를까?〉, 《티스토리》
- ↑ private Room, 〈(정보) 아는 만큼 보이는 브랜드 로고의 종류〉, 《티스토리》, 2018-01-13
- ↑ 흔디, 〈모바일에 대응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런치》, 2016-10-10
참고자료
- jinwookoh, 〈로고와 심볼은 뭐가 다른가?〉, 《Blogger》, 2014-10-20
- Parkdauer, 〈로고와 브랜드는 어떻게 다를까?〉, 《티스토리》
- private Room, 〈(정보) 아는 만큼 보이는 브랜드 로고의 종류〉, 《티스토리》, 2018-01-13
- 흔디, 〈모바일에 대응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런치》, 2016-10-10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images/b/bf/%EA%B2%80%EC%88%98%EC%9A%94%EC%B2%AD.png) 이 심볼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자동차 부품
|
계기 • 레저보어(리저버) • 레저보어 탱크(리저버 탱크) • 보조장치 • 부품 • 비순정부품 • 소모품 • 순정부품 • 스프링 • 아세이(어셈블리) • 옵션 • 운전장치 • 자동차 부품 • 정품 • 케이블 • 튜닝 • 파이프 • 햅틱 • 호몰로게이션
|
|
차대(섀시)
|
3 in 1 • VIN • 강선 • 강판 • 공차 (오차) • 공차 (자동차) • 공차중량 • 단차 • 드레인홀 • 롤링섀시 • 모노코크 • 바디 • 바디온프레임 • 배분중량 • 보일러 • 섀시 • 소자 • 에어백 모듈 • 연결모듈 • 오일 • 오일팬 • 워터펌프(냉각수 펌프) • 인버터 • 인클로저 • 중량 • 차대(섀시) • 차대번호 • 차량 총중량(GVW) • 철판 • 촉매장치 • 충전기 • 캐빈룸 • 캡오버 • 컨버터 • 크러시존(크럼플존) • 프레임 • 프로펠러 • 플러그 • 히트펌프
|
|
엔진
|
2기통 • 4기통 • 5기통 • 6기통 • 7기통 • 8기통 • 10기통 • 12기통 • 16기통 • 18기통 • 20기통 • LPDI엔진 • LPG엔진 • LPI엔진 • OHV • PS • rpm • V형엔진 • 가솔린엔진 • 가스터빈 • 공랭식 엔진 • 기화기 • 내연기관 • 냉각수 • 냉각장치 • 냉각제 • 냉각팬 • 냉간상태 • 노즐 • 다기통 • 디젤엔진 • 라디에이터 • 마력 • 배기밸브 • 밸브 • 봄베 • 부동액 • 분사 • 석유엔진 • 선박 엔진 • 수랭식 엔진 • 수소탱크 • 수소터빈 • 수평대향 엔진 • 슈퍼차저 엔진 • 스로틀바디 • 스로틀밸브 • 실린더 • 싱글터보 • 양자엔진 • 엔진 • 엔진룸 • 엔진마운트 • 엔진오일 • 엔진제어장치 • 연료분사기 • 연료시스템 • 연료전지 • 연료주입구 • 연료탱크 • 연료파이프 • 연료펌프 • 연료필터 • 열기관(열원동기) • 왕복기관 • 외연기관 • 원동기 • 원자력기관 • 원형봄베 • 자동차 엔진 • 자연흡기엔진 • 점화케이블 • 점화플러그 • 제트엔진 • 증기기관 • 증기터빈 • 직렬엔진 • 최고출력 • 최대토크 • 캠 • 캠축(캠샤프트) • 커넥팅로드(연결봉) • 크랭크 • 크랭크축 • 탱크 • 터보랙 • 터보엔진 • 터보차저 • 터빈 • 토크 • 트윈터보 • 파워팩 • 플라이휠 • 피스톤 • 피스톤 엔진 • 항공기 엔진 • 흡입밸브
|
|
모터
|
고정자(스테이터) • 교류모터 • 교류발전기 • 구동모터 • 구동모터 최대출력 • 동기모터 • 듀얼모터 • 모터 • 모터룸 • 발전기 • 시동모터 • 싱글모터 • 용단 • 유도모터 • 인휠모터 • 인휠시스템 • 인휠헥사모터 • 직류모터 • 직류발전기 • 축전지 • 코일 • 토크컨버터 • 트라이모터(트리플모터) • 퓨즈 • 퓨즈박스 • 퓨즈풀러 • 필라멘트 • 회전자(로터) • 회전축
|
|
구동장치
|
4매틱 • AWD 디스커넥터 • B-ISG • HTRAC • IGBT • PE모듈 • TCU • xDrive • 가변축 • 가속기 • 가속기 (자동차) • 감속기 • 공회전 속도조절 장치 • 공회전 제한 장치(ISG) • 구동 • 구동벨트 • 구동장치 • 구동축 • 기어(톱니바퀴) • 기어박스 • 기어비 • 기어오일 • 다운시프트 • 동력전달장치 • 뒷차축(리어액슬) • 듀얼클러치 • 무단변속기 • 미션 • 미션오일 • 배전기 • 벨트 • 변속기 • 사륜구동 • 앞차축(프런트액슬) • 업시프트 • 이륜구동 • 전륜구동 • 전축 • 종감속기어 • 차동기어(디퍼런셜) • 차동장치 • 차축(액슬) • 추진축 • 축 • 클러치 • 타이밍벨트 • 파워트레인 • 프로펠러 샤프트 • 후륜구동 • 후축
|
|
조향장치
|
경사각 • 너클암 • 너클 조인트 • 로어암 • 사륜조향 • 스러스트 • 스러스트 각 • 스티어링(조향장치) • 스티어링너클(너클) • 스티어링박스 • 스티어링 샤프트 • 스티어링암 • 어퍼마운트 • 어퍼암 • 전경각 • 전륜조향 • 조향축 • 캐스터 • 캠버 • 캠버각 • 킹핀 • 킹핀 경사각 • 킹핀 오프셋 • 토우 • 후경각 • 후륜조향 • 휠 밸런스 • 휠 얼라인먼트
|
|
제동장치
|
ABS • EBD • HHC • 경사로 밀림 방지 • 드럼브레이크 • 디스크 브레이크(디스크 로터) • 미끄럼 방지장치 • 베이퍼로크 • 보조제동장치(BA) • 브레이크드럼 • 브레이크라이닝 • 브레이크슈 • 브레이크 어시스트 시스템 • 브레이크오일 • 브레이크패드 • 슈팅 브레이크 • 오버라이드 • 오토홀드 • 전자식 제동력 분배(EBD) • 제동장치(브레이크) • 캘리퍼 • 클램프 • 클램핑력(클램프력) •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구동력 제어장치)
|
|
서스펜션
|
가변댐퍼 • 고무부싱(러버부싱) • 기계식 서스펜션 • 댐퍼(제진기) • 더블위시본 서스펜션 • 마운트 • 매직 바디 컨트롤 • 부싱 • 서스펜션(현가장치) • 서스펜션암(컨트롤암) • 쇼크업소버 • 스트럿 서스펜션 • 액티브 서스펜션 • 에어매틱 • 에어서스펜션 • 에어스프링 • 전자제어 서스펜션 • 주파수 감응형 댐퍼 • 코일스프링 • 판스프링 • 플레이너 시스템 • 하시라 • 하이드로 부싱 • 현가상질량 • 현가하질량
|
|
흡배기장치
|
매연저감장치 • 배기 • 배기음 • 배기장치 • 배출 • 에어덕트 • 흡기 • 흡기장치 • 흡배기 • 흡배기장치 • 흡입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