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부싱

위키원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3일 (월) 21:48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싱(Bushing)은 서스펜션, 쇼크업소버 등 주로 차량의 현가장치에 장착되어 부품과 부품 사이를 연결해 주는 부품이다. 부시(Bush)라고도 한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

부싱은 연결 부위의 유기적인 결합과 유연성 및 탄력을 제공하고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마찰을 일으키며 움직여야 하는 부분에 부드러운 소재를 이용해 그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시켜 준다. 인체에 비유하면 연골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1]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고무 재질의 부싱이 사용되며, 일부는 금속 부싱이나 장기간 수명을 보장하는 우레탄 부싱을 사용하기도 한다. 각 부싱마다 목적은 같으나 소재마자 미묘한 승차감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자동차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매우 꼼꼼하게 부싱을 선택하곤 한다. 그만큼 부싱이 승차감을 미세하게 조정하고, 운전 중 하체를 안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2] 그런데 오랜 시간이 지나거나 피로도가 계속되면 부싱의 인장강도와 경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부싱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부싱을 사용하지 않고 금속 체결 방식(조인트볼트 등)을 사용하면 심한 진동을 유발하고 충격이 커서 승차감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 부싱이 파손되면 차량 하체 소음의 원인이 된다. 부싱이 파손되지 않았더라도 이탈, 노화, 찌그러짐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3]

필요성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 중 상당 부분은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하 혹은 원운동을 통해 서로 마찰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부품들도 많다. 서스펜션도 그러한 부품 중 하나다. 서스펜션은 노면의 요철에서 오는 충격을 끊임없이 받아들이고 이를 운전자에게 보다 부드럽게 전달하며, 동시에 타이어를 지면에 완전히 밀착시키는 장치다. 그래서 승차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분이 바로 서스펜션이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이 단단하다고 하면 보통은 승차감도 다소 불편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는데, 그만큼 서스펜션이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반증이다. 그런데 이 서스펜션은 주행을 시작하면 멈추지 않고 계속 상하 운동을 반복하면서 노면에서 오는 충격을 걸러낸다. 이 과정에서 각 부품 간의 마찰은 피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마찰을 최소화하며 각 부품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부품 간에 연결된 부위에는 대부분 부싱이라는 완충제 내지는 절연제를 넣게 된다. 게다가 부싱은 비단 서스펜션에만 장착되는 완충제가 아니라 엔진차체를 연결하는 부분, 기어 박스드라이브 샤프트가 연결되는 부분 등 각 금속 부 품들 간에 용접을 통한 직접적인 연결이 아닌, 유동적인 연결이 필요한 부분에는 모두 사용된다. 그래서 차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잡아주고, 보다 부드럽고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며, 각 부품들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부싱이다.[2]

관리

부싱은 쉽게 눈으로 드러나지도 않고, 존재 자체도 널리 알려진 편이 아니어서 흔히 운전자들의 관리 항목에서 쉽게 제외되곤 한다. 하지만 승차감이나 차체의 안정, 그리고 차체의 반응에 의외로 큰 영향을 미치는 부품이므로 이 부분의 관리 역시 필수적이다. 자동차는 차가운 겨울과 뜨거운 여름을 구분하지 않고 언제나 도로를 달리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운전자는 계절에 맞게 각 부분을 점검하게 되는데, 부싱 역시 높은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주로 쓰이는 고무부싱의 경우 온도차에 의한 노후화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는 소재다. 또한 지속적인 충격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수명이 결코 영구적이지 못하다. 그래서 계절이 바뀌는 시점이 되면 한 번쯤 차체의 하부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부싱이 갈라지고 찢어지게 되면, 일단 특정 움직임에서 불편한 잡음이 들리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특정 바퀴가 요철을 넘어설 때 '찌그덕'하는 소리가 들린다면, 대체로 부싱이 낡아서 파손된 경우가 많다. 또한 운전대를 조작했을 때 이전보다 반응이 무디거나 혹은 둔탁한 진동이 발생한다면 이때도 부싱을 점검해보는 것이 좋다.

고무부싱은 주로 교체 후 3~4년 정도가 지나면 성능이 서서히 떨어지고 그 이상이 되면 노후되기 시작하는데, 교체주기가 잦은 편은 아니지만 운행을 하면서 불편한 진동이나 혹은 잡음이 들린다고 한다면 점검을 해보는 것이 좋으며, 5년 이상 주행을 한 경우는 전체적으로 점검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특히 기온차가 심하고 계절이 변화하는 시기에는 상태를 점검할 것을 권장하는 편이다. 우레탄 소재로 된 부싱으로 교체하는 경우도 많은데, 우레탄의 경우는 고무와 탄성이 달라 교체 직후 느끼는 미세한 승차감의 차이가 분명한 편이고, 서스펜션의 반응도 달라진다. 그리고 충격, 열, 오일에 의한 형태의 변화나 노후가 고무부싱보다 느린 편이어서 수명 역시 고무부싱에 비해 긴 편에 속해 교체 시점에 우레탄 부싱으로 교환하는 경우도 많다. 우레탄 부싱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2년에 한 번씩 전용 오일을 뿌려두는 편이 좋다. 소재의 특성상 윤활제가 없는 경우 금속과 마찰하면서 특유의 불편한 잡음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여름으로 들어가기 전에 자동차의 하체 전반을 점검하고 윤활제를 도포할 것을 권장한다. 여름이면 금속 부품들이 온도에 의해 다소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이때 늘어난 만큼 부싱에 전달되는 피로도 역시 증가하게 되므로, 미리 윤활제를 뿌려 부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사실 부싱은 파손된다고 하더라도 주행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어려운 부품이다. 그러나 미세한 승차감을 완성하고 차량의 반응을 유지하며, 무엇보다 서스펜션을 포함한 금속성 부품의 연결부를 보호한다는 차원에서는 굉장히 중요한 부품임에 틀림없다. 실제로 부싱은 서스펜션 튜닝만큼이나 교체 후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부품이다. 몸으로 느껴지는 반응의 차이가 꽤 큰 편에 속하기 때문이다. 부싱은 그만큼 간과하기 쉽지만 의외로 민감한 부품이다.[2]

각주

  1. Black Mamba Auto, 〈부싱에 대하여〉, 《네이버 포스트》, 2017-10-25
  2. 2.0 2.1 2.2 한국교통안전연구소, 〈봄이면 한 번쯤 점검해 볼 필요가 있는 부싱〉, 《네이버 블로그》, 2014-05-09
  3. 부싱이란?〉, 《새마을자동차》, 2015-06-06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부싱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