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마트루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집트 위치

마트루주(영어: Matruh Governorate, 아랍어: مطروح)는 이집트 북서부에 위치해 있는 주이다.[1][2]

개요[편집]

마트루주의 면적은 212,112㎢이며 인구는 538,546명(2023)이다. 주도는 메르사마트루이며 북서쪽으로 리비아국, 동쪽으로 알렉산드리아주, 베헤이라주, 동남방면으로 기자주, 남쪽으로 알와디알자디드주와 접한다.

이 주의 내륙 지역은 이집트 서부 사막(Western Desert)에 속하며, 시에와 오아시스(Siwa Oasis)를 포함하고 있다. 이 지역은 고대에 아문(Amun) 신전으로 유명했다. 주 중앙에는 카타라 저지대(Qattara Depression)가 위치하며, 해수면보다 133m 아래로 내려가는 깊은 분지를 형성하고 있다.

메르사 마트루는 고대 그리스어로 파라이토니온(Παρααιτόνιον, Paraitónion), 라틴어로 파라이토니움(Paraetonium)이라 불렸다. 헬레니즘 시대(기원전 323~31년)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서쪽 경계 도시였다. 이곳에서 서쪽으로 약 18km 떨어진 아피스(Apis)라는 도시는 리비쿠스 노메(Libycus Nome)의 경계를 나타냈으며, 할파야 고개(Halfaya Pass, 살룸 지역)는 마르마리카(Marmarica) 지방의 본격적인 경계선이었다.

마트루주에는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여러 역사적 장소가 있다. 특히 엘 알라메인(El Alamein)은 추축국(Axis)과 연합군(Allies) 병사들의 묘지가 있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유럽 열강이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매설한 약 1,600만 개의 지뢰(일명 "악마의 정원(Devil's Gardens)")가 여전히 이 지역의 개발을 방해하고 있으며, 현재도 지속적으로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트루(Maṭrūḥ)의 어원은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집트 투자청(GAFI)과 투자부(MOI)에 따르면, 마트루주에는 K26 산업 지구가 조성되어 있다.

사회[편집]

군부와 연계된 상류층들은 세속주의 성향이 강한 반면 서민층 사이에서는 이슬람 근본주의 성향이 강한 편이다. 무슬림 형제단 같은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들이 기승을 부리는 이유 역시 이집트 서민들이 이집트 내 빈부격차 및 사실상의 신분제 사회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슬람주의 단체들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슬람주의 단체들이 빈부격차 문제에 제대로 된 대안을 내놓을리는 없고 부정부패와 이슬람 근본주의 문제가 겹쳐 이집트의 경제난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사회 분위기가 굉장히 안 좋다.

이집트의 인구가 폭증하기 이전 1940~60년대에는 지금보다 훨씬 개방적인 편이었다. 특히 20세기 중반에는 교육받은 상류층 여성들을 중심으로 히잡이나 차도르 같은 것을 안 입고 다니는 경우가 더 많았는데, 어느 나라나 세속주의자들보다는 종교 근본주의자들이 출산율이 높은 편이고 이집트 내 근본주의자들의 높은 출산율로 이슬람 근본주의가 사회 저변으로 확대되면서 사회 분위기가 변했다. 오늘날 기준으로 해변 관광지가 아닌 이상 노출이 있는 의상을 함부로 입고 다니면 위험하고 이집트 현지인들 중에서는 니캅을 쓰는 경우도 많다. 히잡이나 니캅 등을 안 입을 수 있는 자유는 있고, 이집트가 워낙 더운 사막성 나라라는 걸 생각하면 히잡이나 차도르 등은 기능의류로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막성 기후에선 되려 이렇게 얇은 재질의 옷으로 살을 가리는 게 많은 옷이 몸 수분을 덜 마르게 하여 더 오래 견딜 수 있으니까. 이집트에 오랫동안 여행하는 사람들은 누가 쓰라고 하지 않아도 스스로 히잡을 쓰고 터번을 두른다. '갈라베야'라는 남녀 공용의 긴 통짜옷도 굉장히 싸고, 얇고, 바람이 잘 통하기 때문에 사막 여행에 매우 효율적이다.

약간 남아있던 세속주의 문화마저 무슬림 형제단이 집권한 2012년에 엎어질 뻔했다. 그러나 2013년 1년 만에 광속으로 쿠데타 크리가 터지면서 무슬림 형제단이 축출되는 바람에 원상복구. 비록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보수적인 종교색은 없다시피 하다지만, 이집트의 악명 높은 독재와 인권 탄압은 여전해서 국제 인권단체들의 비난을 받고 있다. 하지만 무슬림 형제단을 축출시킨 엘시시 군부가 세속적이라는 이유로 국민들에게 지지 받고 있다.

교육 수준이 인구 수를 따라가지 못하고 예산도 부족하기 때문에 사교육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사교육 문제가 대단히 심각한 편이다.

무슬림 형제단과 알누르당이 소탕되었음에도, 상술한 이유로 사회 전반에 이슬람 근본주의 및 사회보수주의 성향이 강한 편이다.

이집트는 권위주의 국가라 경찰의 권력이 한국보다 강한데, 관광객 벗겨먹는 사기꾼, 치한, 소매치기 등 각종 잡범들을 적발시 굉장히 혹독하게 다루는 편이다. 이런 과도한 정의 구현은 상부의 지시도 있거니와, 이런 치한은 대개 경계선 지능 장애인[39]들이라 별로 거슬릴 게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바라크가 실각한 이후에는 상황이 좀 바뀌면서 관광지 치안이 급격히 안 좋아지다가 무르시 정권이 무너지면서 관광지 치안이 다시 잡히는 모양이다. 후르가다 같은 관광지에서는 극단주의 테러리스트들이 경찰을 피해 해변 리조트로 칼을 들고 헤엄쳐와서 외국인 여성 관광객들을 상대로 칼을 휘두르며 살인 테러를 저지르는 경우도 있다. 그러다보니 군사강국 아니랄까봐 관광객들이 오면 국가에서 장갑차까지 동원해서 관광객을 지킬 정도다.[3]

문화[편집]

북쪽으로 지중해 넘어 유럽(서구 문화권), 동쪽으로는 수에즈 운하 넘어 아시아(아랍 문화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아프리카 본토와는 문화가 완전히 다르다. 아예 아프리카와 이집트는 다른 문화권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흔히 이집트 하면 떠올리는 음악의 스테레오 타입.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이런 류의 음악은 아랍풍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지 실제 이집트 음악이 어땠는지는 자신있게 말할 수 없다. 기껏해야 당시 사용했다는 악기를 이용해 유추할 뿐이다. 실제로 어느 음반에서는 고대 이집트의 음악을 재현했는데 우리가 아는 그런 흥겨운 음색이 아니라 조선시대 궁중 음악같은 구수한 음색이 흘러나왔다.

이집트 요리는 중동-북아프리카 지방의 전통 요리와 함께 오스만 튀르크의 지배를 받는 과정에서 튀르키예 요리 식의 요리법이 가미되었으며, 특히 이집트가 자랑하는 빵은 나일강의 축복을 받아 곡창지대로 손꼽히던 고대부터 유명했다. 구약성서 창세기에 나오는 유대인 출신 총독 요셉이 대기근에 대비해 곡식을 비축했다 주변국에 팔아 막대한 국부를 쌓았다는 내용도 이런 배경에서 비롯한다. 헤로도토스가 이집트인들에 대하여 언급할 때 빠지지 않은 게 바로 빵과 맥주를 먹는 점이었을 정도다. 다른 게 아니라 이집트는 세계에서 맥주를 가장 오래전부터 먹은 나라 중 하나이며, 빵 또한 역사가 오래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포도주도 그리스보다 먼저 마시고 있었다.

1980년대 이집트가 경제적으로 쇠퇴함으로 이집트 영화산업도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이 때부터 이집트 영화계는 사우디 자본을 투자받게 되었는데, 문제는 이 사우디 투자자들이 이집트 영화제작자들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면서 이집트 영화 특유의 자유로움이 많이 사라지게 되었다. 작정하고 남자 배우만 나오는 영화를 만들면서 와하비즘을 포교하는 내용을 담았는데, 이렇게 노골적으로 사우디 코인을 노린 어용 영화에서 제대로 된 퀄리티가 나오면 그게 이상한 거다. 또한 90년대부터 등장한 제작자인 엘 소브키 감독은 선정적인 주제(미국으로 치면 B급영화) 로 영화를 만들었는데, 이게 큰 인기를 얻으면서 대부분의 이집트 영화제작사들이 엘 소브키 식의 영화를 제작하게 되면서 이집트 영화는 거기서 거기가 되어버렸다. 또한 2011 이집트 혁명 이후 군부가 집권하게 되면서 검열이 늘어나게 되었다. 결국 현재 이집트 영화산업은 "야쿠비얀 빌딩", "카이로 678" 등 극소수의 대중영화와 독립영화를 제외하곤 전반적으로 질적으로 악화되었다. 또 레바논과 터키가 중동의 새로운 영상 산업 강국으로 떠오르면서 이집트 영상 산업의 헤게모니가 밀린 점도 있다.

교통[편집]

메르사 마트루 공항[편집]

이집트 마트루주(州)의 주도(州都) 메르사 마트루 도심에서 남쪽으로 약 4km 거리에 위치한다. 이집트 공군과 시설을 공유하는 민·군용 겸용의 공항이다. 1954년 개항했으며, 공항 코드는 MUH(IATA), HEMM(ICAO)이다.

여객 터미널은 한 동이다. 활주로는 3,000m×45m 크기로 총 2개소를 운영한다. 취항 항공사로는 이집트항공(EgyptAir)·네오스항공(Neos) 등이 있다. 이탈리아로의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로마(Roma)·밀라노(Milano)·베로나(Verona)·베르가모(Bergamo)의 총 4개 목적지를 연결한다. 국내선은 카이로(Cairo)의 1개 도시로의 직항 노선을 운항한다. 공항에의 교통편으로는 메르사 마트루를 잇는 마트루-시와(Matrouh - Siwa) 도로가 인접한다.[4]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마트루주〉, 《위키백과》
  2. "Matruh Governorate", Wikipedia
  3. 이집트〉, 《나무위키》
  4. 두산백과: 메르사 마트루 공항〉,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북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북아프리카 국가
북아프리카 도시
북아프리카 지리
북아프리카 바다
북아프리카 문화
북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마트루주 문서는 아프리카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