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수에즈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에즈
수에즈 위치

수에즈(영어: Suez, 아랍어: السويس)는 이집트 수에즈주주도이며, 이집트 북동부 수에즈만에 위치한 항구도시이다. 인구는 약 70만 명으로 카이로, 이스칸다리야, 기자에 이어 이집트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다. 수에즈 운하의 입구에 위치해 있다.[1]

개요[편집]

수에즈는 이집트 북동부, 수에즈만 북쪽, 수에즈 운하가 홍해와 만나는 남쪽 종점에 위치한 항구이다. 카이로에서 동쪽으로 120km, 운하의 북단인 포트사이드에서 남쪽으로 140km 떨어져 있다. 철로고속도로가 카이로, 포트사이드, 이스마일리아와 함께 도시를 연결한다. 수에즈는 석유화학 공장을 하나 보유하고 있으며 석유 정제소는 카이로로 완성 제품을 전달하는 파이프라인을 갖추고 있다. 고대 이집트시대부터 홍해와 나일강(江)을 잇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수에즈 운하의 개통과 함께 근대 도시로서 발전하였다.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후 1975년까지 운하가 폐쇄되었으며, 이스라엘군(軍)의 포격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부근에 모세의 샘(시나이 반도)이라는 오아시스가 있다. 이집트에서 가장 큰 석유화학 산업 단지가 위치해 있으며, 수입된 석유를 정재하여 카이로 등지로 보낸다. 도시 깃발에서도 산업 도시라는 점이 피력되어 있다. 포트사이드와 달리 공항이 없는데, 2019년 서쪽 70km 지점에 이집트의 새 행정수도 (NAC)의 국제공항이 완공되었기에 그곳을 주로 이용한다. 북쪽으로 비슷한 거리에 이스마일리아에도 공항이 있지만 국내선만 있다. 교육 시설로는 수에즈 대학이 있고, 항구는 포트사이드보다 거대하다.[2]

지리 및 기후[편집]

수에즈 지협은 아프리카아시아의 경계로 여겨진다.

쾨펜-가이거 기후 분류 시스템은 기후를 뜨거운 사막(BWH)으로 분류한다. 기록된 가장 더운 온도는 1965년 6월 14일 49°C였고 가장 추운 온도는 2004년 2월 23일 1°C였다.[3]

역사[편집]

현대 시가지 북쪽에 있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절에 건설되고 로마 제국의 트라야누스가 재건한 고대 도시 클리스마 (알 쿨줌)이 원형이다. 근현대 이전의 해안선은 현재보다 북쪽에 형성되어 있었기에 클리스마 역시 항구 도시였다. 대략적으로 현 시가지 중북부의 무슬림 묘지 즈음으로 추정된다. 525년 동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이곳을 통해 기독교 악숨 왕국의 유대 힘야르 왕국 원정을 돕기 위해 20여척의 함대를 파견하기도 하였다. 541년 지중해를 뒤흔든 유스티니아누스 역병 역시 클리스마를 통해 확산되었다. 그외에 유스티니아누스의 명으로 도시에는 성 아나타나시오스 성당이 세워졌다. 이슬람 정복 후 클리스마는 아랍어 지명인 알 쿨줌으로 불리게 되었다. 동시에 홍해는 바흐르 알 쿨줌 (쿨줌의 바다)으로 명명되었는데, 당시 도시의 위상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클리스마와 쿨줌은 다리우스 1세가 건설하고 프톨레마이오스 1세, 아므르 이븐 알 아스가 중건한 '파라오 운하'의 시종착점으로 번영하였다. 그러던 770년 압바스 칼리파 알 만수르가 반란 진압 과정에서 운하를 폐쇄해버렸다.

780년 후계자인 알 마하디가 운하를 일부 복구했지만, 9세기 들어 압바스 왕조가 쇠퇴하며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도시는 이집트와 아라비아 반도를 잇는 대상 교역을 통해 번영을 이어갔다. 그러던 971년 극단주의 세력 카르마트의 장군 하산 알 아삼이 도시를 점령하였는데, 그해 말엽 카이로 전투에서 파티마 왕조의 자우하르에게 패하고 후퇴하였다. 이때부터 쿨줌 인근의 샘에 위성도시 수에즈가 건설되었다. 아이유브 왕조의 살라흐 앗 딘은 12세기 말엽 홍해 연안을 습격한 십자군 영주 르노 드 샤티용에 맞서기 위해 쿨줌과 수에즈를 요새화하였다. 한편 13세기 십자군 침공과 아이유브-맘루크 왕조의 내분을 틈타 중앙 정부의 지배력이 약화되자 베두인들이 약탈하며 쿨줌은 폐허가 되었고, 수에즈만이 작은 도시로 유지되었다. 맘루크 시기에 일대는 현 요르단 일대에 기반한 알 카라크주에 편성되었기에, 맘루크 정부가 이곳부터 아시아로 간주했음을 알 수 있다. 16세기 들어 포르투갈이 인도양과 홍해에 진출하자 최후의 맘루크 술탄 깐수 알 구리는 셀만 레이스에게 6천 병력을 주어 수에즈를 방어하게 하였다.[4]

이렇게 맘루크 병력이 분산되며 10여년 후 오스만 제국군은 더욱 수월히 이집트를 정복할 수 있었다. 인도양의 패권 확립에 나선 오스만 조는 수에즈를 해군과 무역 거점으로 변모시켰다. 특히 수에즈는 포르투갈과 싸우기 위해 함대가 건조되고 출정하는 주요 해군 기지였다. 이에 맞서기 위해 포르투갈은 1538년 디우 전투 승리의 여세를 몰아 1541년 바스쿠 다 가마의 아들 에스타벙 다 가마 휘하 40척의 함대를 홍해로 파견하였다. 다만 식량 부족에 시달리던 포르투갈 함대는 마사와에 반이 머물고 남은 20척만이 당초 목표이던 수에즈로 향하였다. 그마저도 수아킨 습격 후 4척이 이탈하였고, 250명의 병력을 실은 잔여 16척의 함대만이 시나이 반도의 엘토르를 습격한 후 4월 말엽 수에즈 만에 진입하였다. 그러나 이미 소식을 접한 오스만령 이집트 총독 다부드 파샤가 해안에 포대를 설치하고 2천 시파히 기병을 배치해 놓은 상태였다. 잠깐의 교전 후 포르투갈 함대는 후퇴하였다. 한편 마사와에서 병사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고아로 돌아가는 길에는 폭풍으로 여러 전함을 상실하는 등 포르투갈의 수에즈 원정은 대실패로 귀결되었다.

18세기 무렵 수에즈에서는 히자즈의 제다로 향하는 20척의 함대가 매년 출항하였다. 이는 무역과 성지 순례객 운송의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1798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공 후 1800년 영국과 프랑스군이 격돌하며 도시 대부분이 폐허가 되었다. 나폴레옹 전쟁을 겪으며 쇠퇴한 수에즈는 반세기 후 도시의 이름을 딴 수에즈 운하가 개통하며 다시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다만 대부분의 유럽인들은 지중해와 접한 포트사이드에 정착했기에 수에즈는 비교적 각광받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유구한 역사성에도 수에즈가 포트사이드에 비해 인지도가 낮다. 20세기 들어 항구도시로 개발된 수에즈는 포트사이드와 마찬가지로 1967년 6일 전쟁 후 주민들이 소개되었다가 1975년 재건되었다. 21세기 들어 아랍의 봄 당시에 수에즈는 호스니 무바라크 정권에 대한 첫 시위가 벌어진 대도시였다. 따라서 이집트의 시디 부지드라는 별명이 있다. 2021년에는 수에즈 운하 에버 기븐호 좌초 사고가 수에즈 북쪽 5km 지점의 운하에서 발생하여 많은 선박들이 대신 수에즈 항구에 머물며 허송세월을 보내기도 하였다.[5]

수에즈운하[편집]

수에즈운하(영어: Suez Canal)는 지중해홍해를 수에즈 지협을 통해 잇는 이집트운하아시아아프리카를 구분하는 운하이다. 수에즈운하는 1869년에 완공되어 파나마운하와 더불어 전 세계 해운업과 해양사에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유라시아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경계 역할도 수행한다. 수에즈운하는 지중해와 홍해를 통해 북대서양인도양을 잇는 수로로, 아프리카를 우회하지 않고 유럽과 아시아를 해상으로 연결한다. 운하는 북쪽의 포트사이드와 남쪽의 수에즈 인근을 잇는다. 건설 당시의 운하는 길이 164km, 깊이 8m였지만, 몇 번의 확장 공사를 받아 현재는 길이 193.30km, 깊이 24m, 폭 205m가 되었다. 2020년에는 18,500 척 이상의 선박이 운하를 이용했다. 수에즈운하는 편도 방향으로 운영되며 선박의 엇갈림은 그레이트비터호 등 4곳에서 가능하다. 운하에는 갑문이 없기 때문에 해수가 자유롭게 흘러간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트비터호 북쪽 운하의 물은 겨울에는 북쪽으로, 여름에는 남쪽으로 흐르며, 호수 남쪽의 물은 수에즈의 조수에 따라 흐름 방향이 바뀐다. 운하는 이집트 정부의 소유지만, 1956년 7월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이 국유화하기 전까지는 프랑스와 영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주주가 운하를 운영하는 기업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1956년 10월의 수에즈 위기의 원인이 되었다. 콘스탄티노플 협약에 따라 "전시에서도 평시에도 통상 또는 전시의 모든 선박이 깃발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에즈 운하는 군사전략적 역할을 해 왔다. 지중해와 홍해에 해안선이 있는 이집트와 이스라엘은 특히 수에즈 운하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14년 8월, 이집트 정부는 수에즈운하 통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발라바이패스 35km를 확장하는 공사에 착수했다. 이 확장 공사는 수에즈운하의 용량을 하루 49척에서 97척으로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비용은 594억 이집트 파운드(90억 달러)로, 이집트 법인 및 개인에게만 발행된 투자 증명서로 자금을 조달했다. 확장된 신 수에즈운하는 2015년 8월 6일 개통했다.[6]

지도[편집]

북아프리카 국가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수에즈〉, 《위키백과》
  2. 수에즈(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Suez", Wikipedia
  4. 수에즈〉, 《나무위키》
  5. 수에즈〉, 《요다위키》
  6. 수에즈 운하〉,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북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북아프리카 국가
북아프리카 도시
북아프리카 지리
북아프리카 바다
북아프리카 문화
북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수에즈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