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음바바네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음바바네
음바바네 위치

음바바네(스와티어: ÉMbábáne 엠바바네, 영어: Mbabane)는 아프리카 남동부에 있는 에스와티니행정수도이다. 인구는 약 10만 명이다. 다만 입법부왕실은 인구 1만 명의 소읍인 로밤바에 있다.[1]

개요[편집]

음바바네는 음바바네강음딤바산맥에 있는 폴린자네강 지류에 있다. 도시는 평균 해발고도가 1,243m인 고원에 위치하여 기후가 쾌적하다. 도시는 호호 지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방의 수도이기도 하다. 도시는 나라의 행정 중심이 1902년 현재 만지니라 불리는 브렘머스도르프부터 이곳으로 이동한 후 성장했다. 음바바네는 영국의 정착자들이 도착했을 때 그 지역에 살았었던 족장, 음바바네 구네네로부터 그곳의 이름이 유래했다. 제2차 세계대전 전후, 도시에 무역 학교의 설립, 마푸토와 남아프리카의 광산을 연결하는 고바 철도의 도착, 그리고 에스와티니(특히 설탕) 내의 외국인 투자 자원 등이 모두 도시의 성장에 기여하였다. 한 주변 지역을 위한 상업 허브이며 동시에 주석과 철이 채굴된다. 모잠비크의 수도 마푸투까지 철도가 부설되어(1964년 개통), 북서부 봄브산에서 산출되는 철광석과 하블록에서 산출되는 석면 등 주요수출품의 수송에 이용하고 있다. 남아프리카에 교차하는 음바바네의 가장 가까운 국경은 응궤냐오쉬외크이며, 비록 스와티어가 주요 언어일지라도 영어가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음바바네는 관광과 설탕 수출품에 의존한다. 도시는 빛 산업을 위한 두 지역이 있다. 평균 연례 기온은 7월에 15°C이며 1월에 22°C이다. 음바바네에는 남아프리카 워터포드-캄흘라바 유나이티드 월드 칼리지(Waterford-Kamhlaba United World College of Southern Africa )의 본거지이자 에스와티니 대학교(University of Eswatini) 의 3개 캠퍼스 중 하나가 있다. 왕궁은 교외에 있으며, 철도국·방송국 등 행정·문화 시설 등이 있다. 그러나 고원이기 때문에 공항은 남동쪽 약 30km 떨어진 마차파에 있으며 요하네스버그, 더반, 마푸투와 연결된다.[2]

지리 및 기후[편집]

음바바네는 호호 지구에 위치해 있으며 해당 지역의 수도이다. 음바바네강과 음딤바산맥에 있는 폴린자네강 지류에 위치하고 있다. 그 도시의 평균 고도는 1243m이다.

음바바네는 고도 때문에 온화한 아열대 고원 기후(쾨펜: Cwb)를 특징으로 한다. 도시는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고 눈은 1900년 이후 단 세 번 발생한 드문 사건이다. 도시는 1년에 평균 4일만 서리가 내린다. 평균 기온은 7월에 11°C이고 1월에 22°C이다. 일반적으로 아열대 기후로 기온 범위는 낮으나 겨울밤은 춥다. 강수량의 대부분은 여름에 집중된다. 가장 건조한 달(6월)과 가장 습한 달(1월)의 차이는 210mm이다.

역사[편집]

음바바네는 1902년 국가의 행정 중심지가 브레메르스도르프(현재의 만지니)에서 이전한 후 성장했다. 도시의 이름은 영국 정착민들이 도착했을 때 이 지역에 살았던 추장 음바바네 쿠네네(Mbabane Kunene)에서 유래되었다.

음바바네는 1887년 미키 웰스(Mickey Wells)에 의해 트랜스발(Transvaal)에서 모잠비크까지의 경로가 음바바네 강을 건너는 지점에 설립되었다. 1902년에 이곳은 새로운 스와질란드 보호령의 수도로 선포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음바바네에는 백인 정착민들이 설립한 몇 개의 상점, 교회, 학교가 있었다. 흑인 아프리카인들은 도시에 사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고 인근 시골 지역에 거주해야 했다. 1930년대까지 음바바네는 전기, 수도, 전화 연결, 병원을 가지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대부분의 스와지인들이 시골 지역에 살았고 에스와티니 밖에서 일했기 때문에 도시가 성장할 수 없었다. 전쟁 후, 도시에 무역 학교가 설립되고, 마푸토와 남아프리카 광산을 연결하는 고바 철도가 도착하고, 에스와티니 내 외국인 투자 자원(특히 설탕)이 모두 도시 성장에 기여했다. 음바바네는 호호 지구의 개발의 중심지가 되었다.

독립 후 몇 년 동안, 영국 영사관과 같은 정부 건물들이 음바네에 지어졌다. 음바바네의 중심이 된 에스와티니의 관광산업의 성장을 통해 더욱 성장했다. 오늘날 음바네에는 관광객들을 위한 클럽과 골프장 등 많은 호텔과 휴양지가 있다.[3]

경제[편집]

음바바네의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가장 가까운 국경은 응웨냐오쇼에크(Ngwenya – Oshoek)이며, 스와티어가 주요 언어일지라도 영어가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음바바네와 에스와티니는 관광과 설탕 수출에 의존하고 있다. 이곳은 또한 주변 지역의 상업 중심지이며, 주석과 철이 근처에서 채굴된다. 도시에는 경공업 부지가 두 군데 있다.

음바바네의 금융 서비스 부문은 은행, 투자 관리, 보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경제 성장의 주요 원동력이다. 음바바네의 금융 서비스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은 이 도시를 주요 금융 허브로 자리매김하여 에스와티니의 전반적인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4]

에스와티니[편집]

에스와티니(스와티어: Umbuso weSwatini, 영어: Kingdom of Eswatin) 혹은 스와질란드는 (스와티어: eSwatini 영어: Eswatini)는 아프리카의 군주제 국가이다. 정식 명칭은 에스와티니 왕국(Kingdom of eSwatini)이다. 동쪽 일부가 모잠비크와 접하며 나머지 지역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접해 있다. 면적은 작지만 산악을 배경으로 한 풍경으로 '아프리카의 스위스'라고 불린다. 행정 수도는 음바바네, 왕정, 입법 수도는 로밤바이다. 비옥한 토지, 온난한 기후, 물·광물 자원 등 좋은 조건을 가졌지만 경제적으로 인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지배 아래 있다. 세계에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감염률이 가장 높은 나라에 속하며, 평균 수명도 매우 낮아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남아프리카를 남서-동북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드라켄스버어그산맥의 북쪽에 위치한다. 서부는 평균해발고도 1,500m 이상의 고원이며, 동부는 저지로서 평균 해발고도가 약 300m이다. 코마티강, 우수투강, 움벨루지강 등 짧은 하천이 모두 동쪽으로 흐른다. 지형은 서고동저의 형태를 띠고 있다. 서부 고지대가 동부 저지대보다 인구가 많은데, 동부 저지대의 기후는 덥고 건조한 반면 서부 고지대는 고도가 높아 날씨가 적당히 따뜻하기 때문이다. 최고봉은 서북쪽 끄트머리의 엠렘베(Emlembe) 산으로 해발 1,862m이다. 기후는 서부와 동부의 날씨가 다른데, 서부 지방은 겨울에 15℃, 여름에 20℃ 정도의 괜찮은 날씨에 많게는 2,000mm에 이르는 풍부한 강수량을 가지고 있으나 동부 지방은 강수량도 500mm 정도로 적고 기온은 여름엔 40℃를 넘나든다.

에스와티니는 남아프리카에 위치한 내륙국이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모잠비크 사이에 있다. 행정 구역은 4개 구(호호 구, 루봄보 구, 만지니 구, 시셀웨니 구)로 구성되어 있다. 동부에는 사바나, 북서쪽에는 열대우림 등이 나타나며 다양한 풍경이 존재한다. 에스와티니에는 강이 많이 흘러가는데 대우수투 강(Great Usuthu River)이 대표적이다. 에스와티니 지역은 석기 시대 초기인 200,000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27,000년 전에 제작된 동굴 벽화가 남아 있다. 16세기부터 반투족 계열의 민족인 스와티족이 아프리카 중부에서 남부로 이주했다. 18세기에는 스와티족이 세력을 확장해 가면서 독립된 왕국을 수립했다. 스와티인들은 18세기 중엽 응와네 3세의 통치 아래 그들만의 왕국을 세웠다. 1890년에는 영국과 트란스발 공화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1906년 보어 전쟁에서 승리한 영국의 보호령으로 있다가 1968년에 스와질란드 왕국(Kingdom of Swaziland)으로 독립하였다. 2018년 4월 19일 음스와티 3세 국왕이 독립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차원에서 국호를 에스와티니 왕국으로 변경했다. 에스와티니는 스와티어로 "스와티족의 땅"을 뜻한다.

최근 민주화 요구, 노조활동 자유와와 관련된 소요가 계속되고 있어 정세가 다소 불안정하며 야권에서 계속 정당활동 금지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비롯한 주변의 남아프리카공동체 국가들이 왕실 및 정부에 민주화개혁 추진에 대한 압력을 가하고 있다. 새 헌법 체제 아래서 정당 활동이 불분명하며 아프리카통합민주당(AUDP) 등의 정당이 있다. 설탕, 목재의 수출이 신장되고 있으나 수출의 58%가 유럽연합,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수입의 96%를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차지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광산에 취업한 노동자들의 송금이 외화 획득의 20%를 차지하며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해 투자환경을 개선중이다.[5]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음바바네〉, 《위키백과》
  2. 음바바네(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음바바네〉, 《요다위키》
  4. "Mbabane", Wikipedia
  5. 에스와티니〉,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남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남아프리카 국가
남아프리카 도시
남아프리카 섬
남아프리카 바다
남아프리카 문화
남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음바바네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