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와가두구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와가두구
와가두구 위치

와가두구(프랑스어: Ouagadougou)는 부르키나파소수도이며 최대도시이다. 인구는 241만 명이다.[1]

개요[편집]

와가두구는 부르키나파소 국토의 거의 중앙, 볼타강 상류의 고원에 위치한다. 나라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수세기 동안 나라의 주요 부족인 모시족 왕국의 수도였는데, 1919년에 프랑스가 식민지 정청을 설치하였다. 보보족의 전통적 수도인 보보디울라소와는 경쟁적인 입장에 있었으나, 1947년부터 정치의 중심으로서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주변은 농업지역으로 땅콩, 잡곡, 참깨 등이 많이 생산된다. 최근에는 시어버터, 식물유 등의 식료품 공업과 섬유공업이 활발하다. 사하라 사막 횡단로의 종점으로 코트디부아르아비장과는 철도로, 토고의 수도 로메와는 도로로 연결된 교통 중심지이다. 코트디부아르를 기점으로 하는 철도 종점일 뿐만 아니라 도로망의 중심을 이루며 국제공항도 있다. 교육시설로 와가두구 대학교가 위치한다. 서아프리카중앙은행의 본부가 위치해 있다. 서아프리카 최대 규모의 시장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지만 2003년 화재로 소실된 후 더 나은 시설과 개선된 화재 예방 조치를 바탕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명소로는 부르키나파소 국립박물관, 모로나바 궁전(모로나바 행사 장소), 국립 음악 박물관 등이 있다.[2]

지리 및 기후[편집]

중앙 고원에 위치한 와가두구는 모고 나바(Mogho Naaba) 황궁 주변에서 자라고 있다. 식민지 지배의 행정 중심지였던 이곳은 식민지 시대 이후 중요한 도시 중심지가 되었다. 처음에는 모시 왕국의 수도였고, 나중에는 업퍼 볼타와 부르키나 파소의 수도였던 와가두구는 1995년에 진정한 공동체 중심지가 되었다.

와가두구의 기후는 쾨펜-가이거 분류로 더운 반건조 기후(BSH)이며 열대성 습윤 및 건조 기후(Aw)에 가깝다. 도시는 수단-사헬리안(Sudano-Sahelian) 지역에 속하며 연간 강수량은 약 800mm이다. 우기는 5월부터 9월까지이며 평균 기온은 28°C이다. 서늘한 계절은 10월부터 2월까지이며, 최저 평균 기온은 16°C이다. 3월부터 4월까지 이어지는 더운 계절의 최고 기온은 43°C에 이를 수 있다. 하르 마탄(건조한 바람)과 서아프리카 몬순은 와가두구의 기후를 결정하는 두 가지 주요 요인이다. 와가두구는 적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가장 더운 달의 기온은 이 나라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인 보보디울라소의 기온보다 약간 더 뜨겁다.[3]

역사[편집]

와가두구라는 11세기에 설립되었다. 와가두구는 1441년에 모시 제국의 수도가 되었고, 1681년에 모시 황제(모로-나바)의 영구 거처가 되었다. 모로나바 의식은 지금도 매주 금요일 모로나바와 그의 궁정에서 행해지고 있다. 1919년 프랑스인들은 와가두구를 상부 볼타 지역의 수도로 만들었다. 1954년에 코트디부아르에서 출발한 철도가 도시에 도착했다. 와가두구의 인구는 1954년부터 1960년까지 두 배로 증가했고 그 이후 약 10년마다 두 배씩 증가하고 있다.

2016년 1월 15일, 중무기로 무장한 괴한들이 와가두구 중심부의 카푸치노 레스토랑과 스플렌디드 호텔을 공격했다. 28명이 사망하고 최소 56명이 부상당했다. 정부의 반격 이후 총 176명의 인질이 첫 공격 다음날 아침에 풀려났다. 가해자 중 3명도 사망했다. 지하 디스트 반란은 2017년과 2018년에도 대규모 공격을 계속했다.[4]

경제[편집]

와가두구의 경제는 산업과 상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일부 산업 시설은 보보디울라소에서 와가두구로 이전하여 부르키나파소의 중요한 산업 중심지가 되었다. 산업 지역에는 여러 가공공장과 공장이 있다. 와가두구의 산업은 도시 성장을 촉진하는 분야로 사람들이 산업 일자리를 찾기 위해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한다. 와가두구의 코프로모프 작업장은 프랑스 브랜드 아틀리에 아우구스티(Atelier Augusti)를 위해 면 란제리를 제작한다다.

와가두구는 중요한 상업 중심지이며 상품을 모아 시골로 가는 센터이다. 소비자층이 넓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에너지원, 건물 원료, 농산물, 축산물 등이 도시로 수입된다.

경제는 소규모 상품 생산으로 특징지어지는 비공식 부문과 반드시 임금을 받지 않는 근로자들에 의해 지배된다. 전통적인 비공식 무역은 시장과 주요 도로, 그리고 인근 지역의 아웃렛에 광범위하게 집중되어 있다. 자격 있고 안정적인 노동력을 가진 직장이나 가족 사업과 같은 전통적인 형태의 사업을 하는 현대 경제 관행의 사례도 있다.

제3부문은 또한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여기에는 통신, 은행, 교통, 술집, 식당, 호텔 및 관리직이 포함된다.

와가두구 대학교[편집]

와가두구 대학교(University of Ouagadougou, 프랑스어: Université de Ouagadougou, UO)는 부르키나파소의 와가두구, 조고나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4년에 설립되었다. 1995년 보보 폴리테크니크 대학교 (UPB)으로 알려진 직업 교육을 위한 제2 캠퍼스가 보보 듈라소 시에 개교되었다. 1996년 쿠두구에 사범 대학 캠퍼스가 개교되었다. UO는 7개의 훈련과 연구 유닛(UFR)과 한개의 기관으로 구성된다. UO는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교육 문화그리고 경제학적인 혜택을 나라에 제공한다. 현재 대학의 총장은 Pr. Odile Germaine Nacoulma이다. UO의 목적은 새론운 학부를 개설하는 것인데 학생수를 늘이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새로운 정보와 통신 기술의 개발을 강화하며 대학교의 관리를 개선하고 교육의 분야에서 다양화를 통한 내외부 효율을 개선하며 최종적으로 직업 교육을 도입하는 것이다.[5]

부르키나파소[편집]

부르키나파소(영어: Burkina Fasos, 프랑스어: Burkina Faso)는 서아프리카에 있는 나라이다. 동쪽은 니제르베냉, 북쪽과 서쪽은 말리, 남쪽은 코트디부아르·가나·토고와 국경을 접한다. 독립 이후 쿠데타가 반복되면서 정권과 체제가 바뀌었고 현재의 정권도 1987년 쿠데타로 집권한 군부정권이다. 친서방(親西方)·비동맹중립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EU 9개국과 ACP(아프리카 ·카리브해 ·태평양지역)의 개발도상국 46개국 간에 체결된 로메(Lome)협정의 회원국이다. 부르키나파소는 두 개 종류의 지리적 특성으로 나눠볼 수 있다. 대개는 기복이 많이 심하지 않고 듬성듬성 언덕이 솟아 있는 편이다. 대개는 선캄브리아 대의 지층이며 남서쪽에는 사암질의 지층을 이루는데 가장 높은 봉우리인 테나코루(Ténakourou)가 해발 749 m로 솟아 있다. 평균 해발 고도는 400m로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의 차이가 600m 이내이다. 따라서 지역적 지리가 특별하게 나타나는 곳은 드물다. 평면상의 지형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약간 닮았다.

영국과 프랑스 사이 10년간의 대항과 경쟁 뒤에, 와가두구의 모시인 제국은 프랑스 식민지 군대에 패배했으며 1896년에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다. 강력한 지배자 사모리 투레의 힘에 반하여 고립되어 상황을 복잡하게 했던 동쪽과 서쪽 지역은 1897년 프랑스에 점령되었다. 1898년까지, 오늘날 부르키나파소에 상응하는 영토의 대부분이 표면상 정복되었으나, 많은 부분의 지배가 불확실한 상태로 남았다. 1898년 6월 14일의 프랑스와 영국은 식민지 쟁탈전을 끝내고, 양국의 식민지 사이 국경선을 그었다. 프랑스 쪽에서, 지역 사회와 정치 세력을 정복하기 위한 전쟁이 대략 5년 동안 지속되었다. 1904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신민제국 재편의 일환으로 볼타 강 분지가 바마코를 수도로한 상 세네갈·니제르 식민지에 합병되었다. 1958년 오트볼타 공화국이라는 이름의 자치 식민지가 되었고 1960년 8월 5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여 모리스 야메오고(Maurice Yaméogo)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하지만 이후에도 극심한 가난과 혼란 속에서 지내야 했다.[6]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와가두구〉, 《위키백과》
  2. 와가두구(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Ouagadougou", Wikipedia
  4. 와가두구〉, 《요다위키》
  5. 와가두구 대학교〉, 《위키백과》
  6. 부르키나파소〉,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국가
서아프리카 도시
서아프리카 지리
서아프리카 문화
서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와가두구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