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방기 (도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방기
방기 위치

방기(Bangui)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다. 인구는 89만 명이고 1889년에 프랑스의 전초 기지로 설립되었다.[1]

개요[편집]

방기는 콩고강의 지류인 우방기강에 면한 하항도시이다. 우방기강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 간의 국경을 이루고 있다. 방기는 행정, 무역, 상업 중심지이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인구의 대부분은 방기와 그 주변 지역의 서부 지역에 살고 있다. 면적은 67㎢이고, 국가의 특성 상 인구 증가가 폭발적이라 2003년 53만 명이었던 인구가 2020년을 기준으로 88만 명이 되었다. 주요 산업은 비누, 맥주, 신발, 식품, 직물 등이 있다. 목화, 목재, 커피 등은 이 지역의 주 수출품들이며, 방기에는 1970년에 설립된 '방기대학'이라는 이름의 대학교도 존재하고 있다. 방기 음포코 국제공항이 존재하며, 코트디부아르, 카메룬, 케냐,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 몇몇 지역과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에도 취항하고 2014년부터는 난민 수용소 역할도 담당했다. 우방기강 항로의 종점이며, 국내 도로의 기점인 동시에 콩고의 브라자빌 사이에는 정기항로가 개설되어 있다. 국회, 정부 청사, 은행, 외국 기업 및 대사관, 병원, 호텔, 주요 시장 및 중앙 교도소가 모두 여기에 있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이 현재 진행 중이며 전국이 철수 권고가 내려진 상황이므로 현재로서는 매우 위험한 지역이다.[2]

지리 및 기후[편집]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남부 국경과 가까운 방기는 우방기강의 북쪽 둑에 위치해 있으며 주요 상업 운송을 제한하는 일련의 급류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강 위에 위치한 유일한 주요 도시로 면적은 67km²이다. 무성한 푸른 언덕을 배경으로 항해할 수 있는 우방이강은 방기 아래에서 급격히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주요 북쪽 지류로서 브라질자빌 근처 적도 바로 남쪽의 콩고강과 연결된다. 우방기강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 사이의 국경을 표시한다. 콩고의 마을 종고(Zongo)는 방기에서 강 건너에 위치하고 있다. 강은 방기 시내의 동쪽으로 흐른다. 장마철에는 강물의 방류량이 1년 중 남은 기간의 3배에 달한다. 도시는 1970년대에 라 코켓(La Coquette, 아름다운 도시)이라고도 알려졌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적도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일일 기온은 일반적으로 최소 30°C 이상이다. 방기는 남부 적도에 가깝고 북부 지역보다 약간 더 덥고 습하다. 겨울이 건조한 열대 사바나 기후(쾨펜: Aw)를 가지고 있다. 따뜻한 계절은 1월 23일부터 3월 18일까지인 반면, 추운 계절은 6월 20일부터 8월 27일까지 지속되는데, 강우는 뇌우를 자주 동반한다. 도시는 강둑을 따라 열대 우림과 접해 있다. 인근 지역 중 일부는 2009년 6월과 7월에 폭우로 인해 홍수가 자주 발생하기 쉬운 저지대에 위치하여 11,000명이 집을 잃었다.[3]

역사[편집]

방기(와 주변 지역의 고고학 연구를 통해 많은 야금 도구와 물체가 포함된 고대 철기 시대 유적지가 최소 26개 발견되었으며 이는 도시와 주변 지역의 유럽 이전 역사를 밝혀냈다. 고고학 유적지는 2006년 4월 11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다. 방기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고고학자들과 보존 기관들이 연구를 수행한 인디펜던스 애비뉴(Independent Avenue)에서 800m 떨어진 펜데레 셍게(Pendere-Sengue)이다. 수천 개의 도자기 조각, 철 도구, 도자기, 9kg 무게의 철 주걱이 발굴된 고대 야금 유적지이다. 나이지리아와 수단의 유사한 유적지와 비교했을 때, 그 연대는 기원전 9세기에 가까울 수 있다.

방기의 현대 정착지는 1889년 6월 26일 브라자빌 행정관인 알베르 돌리지(Albert Dolisie)의 지시로 미셸 돌리지(Michel Dolisie)와 알프레드 우자크(Alfred Uzac)가 정착지를 설립했다. 그곳은 당시 프랑스령 콩고의 상류 지역인 오늘날 콩고에 위치해 있었다. 원래 장소는 우방기 급류에서 남쪽으로 9.7km 떨어진 곳이다. 영토는 처음에 상부 우방기(Haut-Oubangui)의 영토로 조직되었고, 그 다음에 우방기 샤리(Ubangi-Shari)의 별개의 식민지로 조직되었다. 지역의 초기 수도는 더 상류에 있는 레 아비라스(Les Abiras)와 포트 드 포셀(Fort de Possel)에 있었지만 방기(Bangui)의 급류로 인해 강을 따라 직접 소통하는 것이 차단되었다. 1906년 프랑스 행정부의 새로운 본부로 선정될 때까지 그곳의 정착이 중요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와 비시와 자유 프랑스의 지배하에 놓였을 때 방귀는 군사 및 행정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을 유지했다. 프랑스인들은 1932년에 "아프리카에서 가장 외진 라디오 방송국"으로 묘사된 방기에서 라디오 송신기를 운영했다.

우방기샤리 식민지는 1958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자치권을 받았고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1970년 장 -베델 보카사(Jean-Bédel Bokassa) 대통령은 뱅기대학을 설립했다. 그는 1971년 국영 항공사 에어 센트라프리크(Air Centrafrique)를 설립하고 방귀에 두 개의 새로운 고급 호텔을 건설하도록 명령했다. 보카사의 걷잡을 수 없는 지출로 인해 방기와 파리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면서, 서방 은행들은 그에게 더 이상의 돈을 빌려주기를 거부했다. 프랑스와의 관계는 1974년 4월 방기의 한 호텔 방에서 브리짓 미루(Brigette Miroux)의 시신이 발견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 1975년까지 방귀의 인구는 300,723명이었다.

1981년 3월, 카반 작전이 프랑스군을 이끌고 보카사 1세 황제로 칭하기 시작한 보카사를 퇴위시키고 다비드 다코(David Dacko)로 대체한 후 선거 이후 방기에서 광범위한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대통령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방기에서 만났고 강제로 국외로 도망갔다. 1986년 가을 자발적으로 방귀로 돌아온 후, 보카사는 재판을 받았다. 처음에는 사형에 처했지만, 1988년 2월에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그의 후임자는 다코군 참모총장인 앙드레 콜링바(André Kolingba) 장군이었는데, 그는 1981년 9월 1일 프랑스가 내전을 향해 가고 있다는 구실로 현지 프랑스군으로부터 통제권을 넘겨받았다. 그는 부패 척결과 국가 경제 통제를 시도했지만 개혁을 이룰 수 없었다. 1980년대 중반까지 국가 경제 상황은 악화되어 수입의 80%가 직원 급여에 사용되었다. 콜링바는 1991년 GIBAFOR(프랑스, 미국, 일본, 독일, EU, 세계은행, UN)이라는 기부단체의 압력 아래 다당제 정부와 함께 자국의 민주주의 정도를 회복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선거는 1993년과 1994년에 치러졌다. 1차 투표에서 패배할 것이 확실해진 정부는 이를 방해했다. 계속되는 기부자들의 압력 속에서 UN 선거 지원 부서의 도움을 받아 이전과 마찬가지로 1994년에도 선거가 다시 개최되었다. 이번 선거에서 앙헬릭스 파타세(Ange-Félix Patassé)는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출신이었기 때문에 콜링바 남부 집단이 1996년에 반란을 시작했다.

1996년 5월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군인 200여명이 방기에서 임금 인상과 앙헬릭스 파타세의 퇴위를 요구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그 여파로 반란군들은 50명 이상을 약탈하고 살해했다. 이후 국내에 주둔한 프랑스군은 반란을 진압하고 독재권력을 회복시켰다. 당선된 후 파타세 대통령은 1997년 초 국가 통합 정부를 발표했다. 파타세 정부, 야당 종교 단체들은 1997년 1월, 경쟁하는 정치 파벌들을 화해시키고 의회를 개혁 및 강화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인 방기 협정에 서명했다. 1997년 반군은 방의 군사 기지를 거부했고, 6월에는 새로운 반란이 일어났다.

잦은 정치적 불안으로 인해 이 도시는 1996년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2002년 10월 25일, 방기의 여러 도시와 방기 자체가 국제적 지원을 받는 프랑수아 보지제(François Bozizé) 장군의 군대에 의해 공격을 받았다. 보지제는 체포 영장을 받기를 거부하고 북쪽으로 갔다. 보지제는 차드로 망명했지만 그의 군대는 방기로 돌아왔고 전투는 계속되었다. 평화유지군은 효과가 없어 파타세를 고립시켰고, 차드의 지원으로 보지제의 군대는 파타세의 정부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회의에 참석하고 니제르에서 돌아오던 파타세는 방기에 착륙하지 못하고 토고로 망명했고, 보지제는 권력을 장악하고 헌법을 정지시켰다. 임시 입법 기관으로 기능하는 모든 정당의 국가 과도 정부가 설립되었다.

2013년 1월 반군은 협상 타결을 희망하며 작전을 종료했다. 휴전과 권력 공유 협정 이후, 셀레카와 보지제는 반란군 포로 석방과 외국군 추방에 대한 반란군의 요구를 존중하기로 합의했다. 이 협정은 보지제가 임기를 마치고 새 정부에 셀레카 의원들을 포함시킬 수 있게 해주었다. 2016년에는 새로운 선거를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는 존중되지 않았고 반군은 2013년 3월 23일 방기를 점령하여 보지제가 수도에서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4]

교통[편집]

방기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교통 중심지다. 1999년 기준으로 카메룬, 차드, 남수단의 다른 주요 도시들과 8개의 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중 일부만 포장되어 있다. 3월부터 11월까지 장마철에는 일부 도로의 통행이 불가능하다. 연락선은 우방기강에서 브라자빌, 장고까지 항해한다. 화물은 철도콩고대서양 항구 도시인 푸앵트누아르로 운송된다. 우방기강의 항구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무역의 압도적 다수를 취급하고 있으며 화물처리능력은 35만톤으로 길이 350m, 길이 24,000m²개의 창고 공간을 갖추고 있다. 주요 공항은 방기 음포코 국제공항이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위키백과》
  2. 방기(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Bangui", Wikipedia
  4. 방기〉, 《요다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중앙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중앙아프리카 국가
중앙아프리카 도시
중앙아프리카 지리
중앙아프리카 문화
중앙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방기 (도시)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