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캄팔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캄팔라
캄팔라 위치

캄팔라(Kampala)는 우간다수도이며 중부 주의 주도이자 캄팔라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도시 인구는 168만 명이고 위성도시들을 합하면 450만 이상의 인구가 도시권에 거주하고 있다.[1]

개요[편집]

캄팔라는 빅토리아호의 북쪽 끝 적도직하(赤道直下)에 있으며, 해발고도 1,150m의 고원에 위치하여 기후는 서늘하다. 외항은 포트벨이다.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우간다 서부로 통하는 철도, 도로망의 중심지이며, 빅토리아 호반의 상업 도시로서 번영하였다. 19세기 말 부간다 왕국의 수도는 캄팔라 언덕에서 1.6km 남쪽으로 떨어진 멩고 언덕에 있었는데, 1890년 영국 동아프리카 회사의 프레더릭 루가드가 1890년 요새를 지으면서 도시가 생겨났다. 캄팔라는 예로부터 우간다 왕국의 수도였으며, 영국의 러가드경(卿)이 1890년에 처음으로 동아프리카 회사의 깃발을 올린 도시이다. 영국 식민지정청이 남서쪽 약 34km의 엔테베에 있었으나, 1962년 우간다가 독립한 뒤 수도는 캄팔라로 옮겨왔다. '캄팔라'도 원래 언덕의 이름으로 풀이하면 간다어로 임팔라의 언덕(Akasozi k'empala)이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기후는 연중 강수량이 일정하고 연교차가 거의 없는 열대 우림 기후에 속하지만, 높은 해발고도 때문에 연평균기온은 22℃로 쾌적한 기후가 나타난다. 도시는 센트럴, 카웸페, 마킨뎨, 나카와, 루바가 등 총 5개의 지구로 나눈다. 마케레레대학(동아프리카대학), 기술연구소, 국립박물관 등의 학술문화시설과 힌두교 사원들을 비롯하여 루바가대성당, 성베드로대성당 등이 있다. 캄팔라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 중 하나로 보고되었으며 연간 인구 증가율은 4.03%이다. 머서(Mercer, 뉴욕에 본사를 둔 컨설팅 회사)는 정기적으로 캄팔라를 나이로비키갈리보다 앞서 동아프리카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했다.[2]

지리 및 기후[편집]

캄팔라 시는 총 189km²의 면적에 176km²의 육지와 13km²의 물을 포함하고 있다. 캄팔라는 계곡이 느린 강이나 늪으로 가득 찬 언덕이 많은 곳이다. 도시 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1,311m의 콜로로 언덕 정상이며, 도시 중심에서 남쪽으로 1,135m의 빅토리아 호숫가에 있는 가장 낮은 지점이다.

캄팔라는 쾨펜-가이거 기후 분류 체계에 따라 열대 우림 기후(Af)를 가지고 있다. 캄팔라의 날씨의 한 측면은 매년 두 번의 우기 시즌이 있다는 것이다. 도시는 진정한 건기 달은 없지만, 8월부터 12월까지와 2월부터 6월까지 강수량이 더 많다. 그러나 캄팔라에서 한 달에 상당한 양의 비가 내리는 것은 2월과 6월 사이이며, 보통 4월에 평균 약 169mm의 많은 비가 내린다.[3]

역사[편집]

캄팔라로 알려지게 된 수많은 언덕과 늪지대는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부간다 왕국의 핵심 지역이었다. 이곳은 또한 부간다(Buganda) 왕국의 다양한 바세카바카(Bassekabaka, 왕)의 수도를 옮긴 곳이며, 각 가바카(Kabaka, 왕)가 즉위하거나 그 후에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 그들의 원하는 대로 새로운 언덕이나 다른 언덕에 그들의 수도를 설치하였다.

1862년 탐험가 존 스피크(John Speke)가 부간다(Buganda)에 도착했을 때 키부가(수도)는 반다바로고(현재의 반다 언덕) 에 있었고 통치하는 카바카(Kabaka)는 무테사 1세(Mutesa I)였다. 1875년 탐험가 헨리 모턴 스탠리(Henry Morton Stanley)는 수도가 현재의 루바가 언덕 (Lubaga Hill)에 있다고 보고했는데, 그곳에서 그는 동일한 카바카인 무테사 1세를 만났다.

1877년 개신교 신앙을 가진 교회선교협회(Church Mission Society)의 첫 번째 선교사들이 영국에서 도착하여 2년 후인 1879년에 가톨릭 백인 신부들도 도착하여 처음으로 루바가(Lubaga) 근처의 현재 마을인 키테비(Kitebi)에 정착했고, 그 후에 그들은 루바가 언덕(Lubaga Hill)을 배정받았다. 이 두 선교 단체들의 도착은 1888년부터 1892년까지의 종교 전쟁의 토대를 마련했고, 영국 선교사들은 영국 정부가 부간다/우간다를 보호령으로 인수하도록 로비하도록 강요했다.

1890년, 영국 동아프리카 회사의 대리인인 프레데릭 루가드(Frederick Lugard)는 카바카 망가 2세의 치세의 통치 기간 동안 부간다에 도착하여 부간다에 대한 영국 정부의 보호 조약을 체결하였고, 키부가(수도)는 멘고 언덕에 위치하였다. 나중에 루가드 선장은 곧 올드 캄팔라(Old Kampala)로 알려지게 될 언덕을 배정받았고 그 위에 요새를 건설했다.

1895년 캄팔라에서 서양식 교육을 제공하는 최초의 학교인 멘고 시니어 스쿨(Mengo Senior School)이 나미렘베 언덕(Namirembe hill)에 교회 선교 협회에 의해 개교되었는데, 이곳에서는 주로 추장들의 자녀들과 궁궐 페이지들이 학생이었다.

1897년 므왕가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여 1899년에 포로가 되어 오무카마 카발레가 와 함께 세이셸로 추방되었고, 그의 3살 아들은 누비아와 바간다를 이끄는 유럽 장교들의 연합군에 의해 카바카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후에 부간다에 대한 영국의 식민 통치를 공식화한 부간다 협정(1900년)의 체결로 절정에 이르렀다.

1897년에는 영국인 의사이자 선교사인 앨버트 러스킨 쿡(Albert Ruskin Cook) 경이 나미렘베 언덕에 캄팔라 최초의 서양식 의료 시설인 멘고 병원을 열었다. 게다가 앨버트 러스킨 쿡 경은 1913년에 뮬라고 언덕에 현재의 국립 소개 병원인 뮬라고 병원을 설립했다. 1899년 아프리카 성모 마리아 선교사 수녀회가 루바가 언덕 에 루바가 병원을 설립했다.

1900년 아기 카바카 다우디 크와 2세가 부간다의 주교와 함께 섭정했다. 해리 존스턴 경과의 합의로 프리홀드, 크라운랜드, 마일로 등의 새로운 토지 소유권이 생겨났고 캄팔라 개발을 규정하는 방향으로 토지를 분할하여 할당하였다.

멘고 언덕과 마케레 언덕을 포함한 부간다의 기부가의 땅은 젊은 카바카, 바간다의 식민지 협력자 등에게 마일로와 프리홀드 하에 할당되었다. 그 종교 선교단들은 또한 이전에 그들이 점령하고 있던 땅을 공식적으로 할당받았다. 따라서, 가톨릭 백인 교부들은 루바가 언덕을, 개신교 선교회는 나미렘베 언덕을, 누후 음보고 왕자의 지도 아래 이슬람교도들은 키불리 언덕을, 영국 가톨릭 밀 언덕 선교사들은 은스비아 언덕의 대부분을 받았다. 우간다 정부는 옛 캄팔라 언덕, 나카세로 언덕 등의 지역에서 크라운 토지로 분류되는 토지를 취득했다. 위의 변경 사항을 합법화하기 위해 1903년 왕실 토지 조례, 1908년 토지법, 1922년 토지 소유권 조례 등록령, 1928년의 부술루와 엔부조법과 같은 법률과 조례가 통과되었다.

1906년에 올드 캄팔라, 나카세로 언덕 등으로 구성되고 567헥타르(5.67km², 1,400에이커)에 달하는 왕립 토지가 통합되어 캄팔라 타운십으로 관보에 게시되었다.

1912년에 캄팔라 타운십은 최초의 토지 이용 계획을 받았고 유럽아시아 인구가 2,850명이었다.

1922년 캄팔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인 마르케레레(Makerere)는 현재의 마르케레 언덕에 우간다 기술 대학으로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 목수, 건축, 기계, 예술, 교육, 농업, 의학을 제공했다.

1930년 캄팔라 타운십의 나카세로(Nakasero)와 올드 캄팔라(Old Kampala) 지역의 인구 20,000명을 대상으로 첫 번째 하수도 계획이 준비되었다. 이 계획은 1936년부터 1940년까지 캄팔라 타운십의 계획적인 도시 지역에서 하수구 개발을 유도했고 바간다와 다른 원주민들이 점령한 키부가 지역은 제외했다.

1931년 우간다 철도 노선이 캄팔라에 도착하여 캄팔라와 몸바사 항구를 연결하였고 이는 건설이 시작된 지 35년 만이었다.

1938년 동아프리카 전력회사(East African Power & Lighting Company)는 캄팔라 마을과 엔테베 마을에 대한 화력 발전 및 배전 허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우간다 주지사 필립 미첼 경이 캄팔라와 우간다의 첫 번째 가로등을 켰다.

1945년, 독일 건축가 에른스트 메이(Ernst May)는 우간다 보호국 정부로부터 캄팔라를 위한 새로운 물리적 계획을 설계하도록 의뢰받았다. 1947년 에른스트 메이의 계획은 캄팔라 동쪽에 콜롤로 언덕과 나구루 언덕, 그리고 캄팔라 남동부의 공업지대인 나카세로 언덕의 남쪽 경사면에 상업 중심지를 두고 우간다 원주민들을 위한 주거지구를 처음으로 계획하는 것이었다. 이 계획은 결코 완전히 구현되지 않았고, 1951년 헨리 켄달(Henry Kendall)의 세 번째 물리적 계획이 채택되었지만, 1947년 에른스트 메이의 계획의 일부 요소를 통합하였다.

헨리 켄달의 1951년 계획은 1930년 계획의 5.67km² 지역에서 코로로 언덕(Kololo Hill_과 산업 지역을 포함하는 28km² 지역으로 캄팔라를 확장했다. 그러나, 처음 두 개의 계획안처럼, 1951년 계획은 명시된 목표의 많은 부분을 달성하지 못했다.

1962년 10월 9일 우간다가 독립하면서 수도가 엔테베에서 캄팔라로 넘어갔고 같은 해 캄팔라는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우간다가 독립한 지 6년 만인 1968년 캄팔라의 경계가 넓어져 키부가(당시 멘고 시), 카웬페, 나카와 정, 무옌가, 가바 등의 지역이 편입되었다. 이로써 캄팔라의 행정 구역은 28km²(11평방마일)에서 현재의 189km²(73평방마일)로 늘어났다.

1972년, 캄팔라의 네 번째 물리적 계획은 1968년 캄팔라의 국경 확장 지역 중 새롭게 편입된 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지만,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으로 인해 이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다. 우간다 부시 전쟁 중 캄팔라 전투는 1986년 1월에 일어났다. 그 결과 요웨리 무세베니(Yoweri Museveni)가 이끄는 국민 저항 운동이 도시를 점령하고 우간다 정부가 항복했다.

2010년에는 우간다 정부가 캄팔라 행정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갖게 하는 캄팔라 수도 도시 당국 법(Kampala Capital City Authority Act)이 제정되었다. 이 법안은 또한 캄팔라 시와 와키소 (Wakiso), 무코노(Mukono), 부이크웨(Buikwe), 엠피기(Mpigi) 및 루웨로(Luwero) 주변 지역의 기반시설을 개선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캄팔라 수도권 물리적 계획 당국(Kampala Metropolitan Physical Planning Authority)을 창설했다.

2010년 7월 11일, 소말리아에 기반을 둔 수니파 이슬람 단체인 알샤바브와 연계된 자살 폭탄 테러범들이 캄팔라에서 거의 동시에 두 차례 폭탄 테러를 감행해 74명이 사망했다. 11년 동안 비교적 평온한 시간을 보낸 후인 2021년 11월 16일, 이슬람 국가와 연계된 콩고 동부에 기반을 둔 이슬람 단체인 연합 민주군(ADF)이 중앙 경찰서 근처에서 2건의 자살폭탄 테러를 자행했다. 그리고 의회에서 3명이 사망하고 36명이 부상당했다.[4]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캄팔라〉, 《위키백과》
  2. 캄팔라(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Kampala", Wikipedia
  4. 캄팔라〉, 《요다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동아프리카 국가
동아프리카 도시
동아프리카 지리
동아프리카 섬
동아프리카 문화
동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캄팔라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