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서울아산병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역사==
 
==역사==
 
현대그룹의 창업주인 정주영은 1977년 '아산사회복지재단'을 출범시킨 뒤 대한민국의 농촌, 어촌 등 의료 취약 지역에 병원을 지어왔다. 그러던 중 정주영은 운영 중인 병원들의 상위 병원 역할을 하면서, 대한민국의 의학 발전을 선도해, 세계 최고의 의료 수준을 보유할 병원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운다. 그리하여 1989년 6월 23일 상위 병원의 역할을 강조한 '중앙'이라는 단어를 넣은 '서울중앙병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한다. 개원 당시 병상 규모는 1,100개였다. 당시 서울대학교병원의 내과 과장이었던 이문호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원장이었던 민병철을 초청해 병원 운영의 전권을 주었다. 이들은 각각 초대 병원장과 2대 병원장을 맡게 된다. 이들은 대한민국과 국외에서 활동 중인 실력 있는 의사들을 찾아 의사진을 구성하였다. 이후 넓은 부지를 활용해 동관과 신관을 증축하면서 병상은 2,680개까지 늘고, 의사 수도 2013년 기준으로 1,600여 명에 달하게 된다.
 
현대그룹의 창업주인 정주영은 1977년 '아산사회복지재단'을 출범시킨 뒤 대한민국의 농촌, 어촌 등 의료 취약 지역에 병원을 지어왔다. 그러던 중 정주영은 운영 중인 병원들의 상위 병원 역할을 하면서, 대한민국의 의학 발전을 선도해, 세계 최고의 의료 수준을 보유할 병원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운다. 그리하여 1989년 6월 23일 상위 병원의 역할을 강조한 '중앙'이라는 단어를 넣은 '서울중앙병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한다. 개원 당시 병상 규모는 1,100개였다. 당시 서울대학교병원의 내과 과장이었던 이문호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원장이었던 민병철을 초청해 병원 운영의 전권을 주었다. 이들은 각각 초대 병원장과 2대 병원장을 맡게 된다. 이들은 대한민국과 국외에서 활동 중인 실력 있는 의사들을 찾아 의사진을 구성하였다. 이후 넓은 부지를 활용해 동관과 신관을 증축하면서 병상은 2,680개까지 늘고, 의사 수도 2013년 기준으로 1,600여 명에 달하게 된다.
 +
 +
==특징==
 +
===관계===
 +
울산대학교와 교육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병원 부지 안에 아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건물이 자리잡고 있으며, 사실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육병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엄밀히 얘기하면 아산병원은 법적으로는 대학병원이 아니다. 울산대학교의 대학병원은 울산광역시 동구 전하동에 위치한 울산대학교병원이다. 본래 울산대학교병원은 1975년 현대조선 부속병원으로 개원한 해성병원이었다. 1987년 현대중공업에서 아산사회복지재단으로 넘어간 후, 1997년 다시 울산공업학원으로 넘겨 울산대학교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2017년 공식적으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되었다.
 +
1990년대 당시 대학병원 유치 광풍이 불었고, 더욱이 울산은 광역시 승격을 목전에 두고 있었으며, 울산대 의대가 있었고, 국내 최고재벌인 현대그룹이 있었고, 화룡점정으로 14대 대선에 출마한 현대그룹 총수 정주영 회장이 있었다. 득표 전략으로, 당연히 울산에 대학병원 신설을 약속했다. 그런데 14대 대선 울산 지역 개표결과, 당연히 자신을 지지할 것이라 생각했던 현대 직원수보다 득표수가 적었고!, 대통령의 꿈도 날라갔다. 대학병원 신설은 당연히 무산되었다. 그럼에도 울산 지역의 대학병원 설립요구는 거세어 현대중공업의 산재 환자를 주로 다루던 450병상 규모의 2차의료기관인 해성병원을 울산대 재단(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에 넘기면서, 울산대학교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신설은 끝내 하지 않았다. 그래도 이후 꾸준히 시설을 확충하여 961병상까지 증설하였고, 2015년부터는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었다. 2017년에는 공식적으로 울산대 의대 부속 병원으로 전환되었다. '울산대병원'과 '울산대의대부속병원'의 차이는 법인과 감독기관이 다르다는 것이다. 울산대병원은 의료법인이고 울산의대의 협력병원 체제였지만, 울산대의대부속병원은 학교법인이다. 감독 기관도, 의료법인은 보건복지부, 학교법인은 교육부에서 관할한다. 울산대 의대가 서울아산병원 내에 있는 것도 속사정이 있다. 원래 아산재단 병원 중 가장 큰 서울중앙병원을 울산대 의대의 부속병원으로 하고 싶었으나, 대학교는 울산에 있는데, 부속병원은 서울에 있다는 게 말이 되냐는 울산 지역 주민들의 항의가 매우 컸다. 당시 현대가 울산에 보유한 해성병원은 규모가 너무 작았다. 시설은 짓는다 해도 의료진의 확보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해성병원을 울산대 부속병원으로 전환하지만, 교수진은 서울중앙병원 의료진들을 임명하였고, 의대생들은 울산에서 예과 2년만 듣고 전부 서울로 보내버렸다. 현재는 신입생 1년만 듣고 2년차부터 서울로 보낸다. 만약 초기안처럼 되었다면 서울아산병원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서울아산병원이 되었을 것이고, 울산대병원은 울산아산병원이 되었을 것이다.
  
 
{{각주}}
 
{{각주}}

2021년 7월 20일 (화) 13:41 판

서울아산병원(Asan Medical Center)
서울아산병원(Asan Medical Center)

서울아산병원(Asan Medical Center) 줄여서 AMC는 현대그룹 소속의 대한민국의 상급종합병원이다. 간략히 아산병원이라고도 한다. 현대그룹 창업주인 정주영이 설립하였으며, 총 2,715 병상을 보유하고 있다. 49개 진료과, 33개 전문센터, 6개의 전문 클리닉 및 암병원, 심장병원, 어린이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역사

현대그룹의 창업주인 정주영은 1977년 '아산사회복지재단'을 출범시킨 뒤 대한민국의 농촌, 어촌 등 의료 취약 지역에 병원을 지어왔다. 그러던 중 정주영은 운영 중인 병원들의 상위 병원 역할을 하면서, 대한민국의 의학 발전을 선도해, 세계 최고의 의료 수준을 보유할 병원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운다. 그리하여 1989년 6월 23일 상위 병원의 역할을 강조한 '중앙'이라는 단어를 넣은 '서울중앙병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한다. 개원 당시 병상 규모는 1,100개였다. 당시 서울대학교병원의 내과 과장이었던 이문호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원장이었던 민병철을 초청해 병원 운영의 전권을 주었다. 이들은 각각 초대 병원장과 2대 병원장을 맡게 된다. 이들은 대한민국과 국외에서 활동 중인 실력 있는 의사들을 찾아 의사진을 구성하였다. 이후 넓은 부지를 활용해 동관과 신관을 증축하면서 병상은 2,680개까지 늘고, 의사 수도 2013년 기준으로 1,600여 명에 달하게 된다.

특징

관계

울산대학교와 교육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병원 부지 안에 아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건물이 자리잡고 있으며, 사실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육병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엄밀히 얘기하면 아산병원은 법적으로는 대학병원이 아니다. 울산대학교의 대학병원은 울산광역시 동구 전하동에 위치한 울산대학교병원이다. 본래 울산대학교병원은 1975년 현대조선 부속병원으로 개원한 해성병원이었다. 1987년 현대중공업에서 아산사회복지재단으로 넘어간 후, 1997년 다시 울산공업학원으로 넘겨 울산대학교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2017년 공식적으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되었다. 1990년대 당시 대학병원 유치 광풍이 불었고, 더욱이 울산은 광역시 승격을 목전에 두고 있었으며, 울산대 의대가 있었고, 국내 최고재벌인 현대그룹이 있었고, 화룡점정으로 14대 대선에 출마한 현대그룹 총수 정주영 회장이 있었다. 득표 전략으로, 당연히 울산에 대학병원 신설을 약속했다. 그런데 14대 대선 울산 지역 개표결과, 당연히 자신을 지지할 것이라 생각했던 현대 직원수보다 득표수가 적었고!, 대통령의 꿈도 날라갔다. 대학병원 신설은 당연히 무산되었다. 그럼에도 울산 지역의 대학병원 설립요구는 거세어 현대중공업의 산재 환자를 주로 다루던 450병상 규모의 2차의료기관인 해성병원을 울산대 재단(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에 넘기면서, 울산대학교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신설은 끝내 하지 않았다. 그래도 이후 꾸준히 시설을 확충하여 961병상까지 증설하였고, 2015년부터는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었다. 2017년에는 공식적으로 울산대 의대 부속 병원으로 전환되었다. '울산대병원'과 '울산대의대부속병원'의 차이는 법인과 감독기관이 다르다는 것이다. 울산대병원은 의료법인이고 울산의대의 협력병원 체제였지만, 울산대의대부속병원은 학교법인이다. 감독 기관도, 의료법인은 보건복지부, 학교법인은 교육부에서 관할한다. 울산대 의대가 서울아산병원 내에 있는 것도 속사정이 있다. 원래 아산재단 병원 중 가장 큰 서울중앙병원을 울산대 의대의 부속병원으로 하고 싶었으나, 대학교는 울산에 있는데, 부속병원은 서울에 있다는 게 말이 되냐는 울산 지역 주민들의 항의가 매우 컸다. 당시 현대가 울산에 보유한 해성병원은 규모가 너무 작았다. 시설은 짓는다 해도 의료진의 확보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해성병원을 울산대 부속병원으로 전환하지만, 교수진은 서울중앙병원 의료진들을 임명하였고, 의대생들은 울산에서 예과 2년만 듣고 전부 서울로 보내버렸다. 현재는 신입생 1년만 듣고 2년차부터 서울로 보낸다. 만약 초기안처럼 되었다면 서울아산병원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서울아산병원이 되었을 것이고, 울산대병원은 울산아산병원이 되었을 것이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서울아산병원 문서는 대기업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