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군
'낙랑군(樂浪郡, 문화어: 락랑군, 기원전 108년~기원후 313년)은 한나라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점령하고 세운 한사군 중 하나로, 현도군과 함께 최후까지 남은 변군(邊郡)이다. 대략 한반도 북부를 관할하였다. 한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중국의 변군으로 존속하였으며 고구려 미천왕에 의해 축출될 때까지 약 420년에 걸쳐 한반도 및 만주 일대의 민족들과 대립하고 교류하면서 많은 영향을 끼쳤다.
역사
기원전 108년(원봉 3년),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무제는 위만조선의 영내에 낙랑·진번·임둔 3군을 설치하고, 이듬해에 현도군을 추가로 설치하여 직할 통치 하에 두었다. 기원전 82년(시원 5년), 진번·임둔을 폐지하여 각기 낙랑군과 현도군에 병합시켰고, 기원전 75년에는 토착민들의 반발로 현도군이 집안 방면(국내, 환도 지역)으로 이치되었다. 이때 현도군·구 임둔군의 일부 현들이 낙랑군에 편입되어 최종적으로 구 위만조선의 영역에는 낙랑군이 남게 되었다. 낙랑군은 진번·현도의 영역에 각각 남부도위(南部都尉)와 동부도위를 설치하여 관리하였다. 부도위는 변방의 이민족들을 통제하고 방어하는 역할을 가진 부속 행정구역으로, 남부도위(황해도)와 동부도위(함경도·강원도) 역시 한(韓)과 예맥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낙랑군 일대에는 위만조선의 유민뿐만 아니라 위만조선 및 그 이전 시기에 이주해 온 중국인들이 살고 있었으며, 이를 ‘낙랑조선인’이라 불렀다고 한다. 낙랑군의 토착 세력은 고고학적으로 목곽묘를 남긴 세력으로 구별된다. 기원전 1세기 전반부터 2세기까지 낙랑군은 '귀틀 무덤'의 단계로 돌입한다. 기존 토착 낙랑인의 목곽묘를 대체한 귀틀 무덤 집단은 왕씨 세력을 필두로 많은 호화 부장품들과 철제 무기를 부장하였으며, 상당한 호족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낙랑군은 황해를 통한 해상 교류로 산둥반도 일대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며, 낙랑의 유력한 한나라인들 가운데는 산동반도에서 이주해온 이들도 있었다. 전한 시기에 상당한 번영을 누려서 25개 현을 거느리고 인구가 40만에 이르렀으며, 주변의 여러 부족 및 소국들에 조복과 의책을 수여하면서 통제하여 한반도 전역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신나라 때에도 낙랑군은 번영하였고, 신나라 말의 혼란기에 산동 지방의 인구가 유입되기도 하였다. 25년에는 낙랑군에서 반란이 일어나 토인(土人) 왕조(王調)가 낙랑태수를 죽이고 대장군 낙랑태수라고 칭하였다. 후한이 건국되고 광무제가 군벌들을 제압하는 가운데 30년에 왕준(王遵)을 파견하여 낙랑의 호족 왕굉(王閎) 등과 합세, 왕조를 죽이고 낙랑군을 수복하였다. 이때 후한은 동부도위를 폐지하고 동부도위가 다스리던 영동 7현을 포기하였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에는 여러 소국들이 난립하였는데, 화려, 불내 등의 소국이 전해진다. 일각에서는 대무신왕 때 정복된 낙랑국도 영동 7현의 세력 중 하나라 보기도 한다.
2세기 후반, 중국의 혼란을 틈타 요동군을 중심으로 공손탁(공손도)이 독립적인 세력을 갖추어 낙랑까지 지배하였다. 이 시기에는 고구려 및 한(韓)이 강성하여 낙랑군은 주변 소국들을 제압하지 못하고 다수의 민호가 삼한으로 유망하기도 하였다. 공손강은 3세기 초 낙랑군의 남쪽 현을 분리하여 대방군을 설치하였으며 공손모(公孫摸)·장창(張敞) 등을 파견하여 삼한으로 유망하는 유민(流民)을 막아 낙랑·대방군의 쇠퇴를 막았다.
위나라가 건국된 후 238년 명제가 사마의로 하여금 공손연을 토벌할 때 유흔(劉昕)과 선우사(鮮于嗣)를 보내 낙랑·대방도 평정하였다. 이후 3세기 동안 낙랑군은 고구려 및 한반도 일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관구검의 고구려 공격에 지원군으로 참여하였으며, 마한의 소국 세력에 대한 지배권을 놓고 군사적으로 충돌하여 막대한 타격을 입히기도 했다. 그러나 서진이 건국된 이후 백제 및 고구려의 공격이 가속화되어 낙랑군은 점차 약화되었다. 낙랑군이 쇠퇴하면서 이를 대신해 한반도 및 남만주 일대의 제민족을 통제하기 위해 동이교위가 설치되었다. 304년 이후 오호십육국시대의 혼란이 시작되면서 낙랑군과 대방군은 중국 군현으로서의 역할을 완전히 상실하고 군벌 장통(張統)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그리고 313년에 미천왕이 낙랑을 공격하여 2천의 남녀를 포로로 잡았으며 장통이 일부 민호를 이끌고 요동의 모용씨(摹容氏)에게 투항함으로써 한반도에서 낙랑군은 축출되었다.
이후에도 모용씨 및 북위 시기에 낙랑 및 대방군은 요서 지역에서 계속 존속되거나 이름만 존재하는 군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백제와 고구려는 낙랑, 대방 지역을 두고 서로 다투며 중국에게서 명목상 ‘낙랑태수’, ‘낙랑공’ 등의 작위를 받았으며, 낙랑은 고구려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계속 이어졌다. 통일신라 이후에는 신라를 가리켜 낙랑이라 일컫기도 하였다.
문화
한사군이 설치되어 실제로 조선을 통치한 것은 낙랑군과 현도군(玄菟郡) 정도였으며, 그 중심지는 낙랑군이었다. 동쪽(東)의 임둔군(臨屯郡)과 남쪽(南)의 진번군(眞番郡) 그리고 후일 설치된 대방군(帶方郡) 역시 1세기밖에 존속하지 못하였고, 현도군도 두 차례나 이동하였기 때문에 한사군의 문화는 대국적으로 낙랑 중심의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유적, 유물 및 생활상
이들의 문화와 생활상은 그들이 남긴 유적과 유물로써 잘 알려져 있다고 하며, 평양 서남 대안의 토성리(土城里) 유적과 대방군 치소(治所)로 추정되는 황해도 봉산(鳳山)의 당토성(唐土城) 유적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고분군
이들 유적 부근에는 낙랑군 당시의 한인(韓人)의 것으로 생각되는 수백·수천의 고분군이 있는데, 그 양식은 목곽분(木槨墳)과 전축분(塼築墳)으로 되어 있으며, 그 부장품으로 보아서는 태수급(太守級)의 고급 관리의 무덤이라기보다는 한인 하급 관리나 그 이하의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 토성리 유적: 평양 부근의 토성리에서는 집터·포도(鋪道, 포장 도로)·옛터 등이 발견되고 기타 초석(礎石)·봉니(封泥)·경편(鏡片)·와당(瓦當)·반량전(半兩錢)·오수전(五銖錢)·대천오십(大泉五十)·화천(貨泉, 신나라 동전) 등의 전화(錢貨)·전범(錢笵)·동촉(銅鏃)·금영락(金瓔珞)·소옥(小玉) 등이 출토되었다. 와당에는 낙량예관(樂浪禮官)·낙랑부귀(樂浪富貴) 등을 새긴 것이 있고, 봉니(封泥)로는 낙랑태수장(樂浪太守章)·낙랑대윤장(樂浪大尹章)·조선우위(朝鮮右尉)·증지승인(增地丞印) 등의 문자가 새겨진 것이 발견되고, 이 토성을 중심으로 주위 동서 약 20리, 남북 약 10리에 걸쳐 1,300여 기(基)의 고분이 산재해 있다고 한다.
- 당토성 유적: 당토성을 중심으로 판 곳은 물론 평남 용강군(龍岡郡) 해운면(海雲面)에는 낙랑군 속현 중에 점제현의 위치를 전하여 주며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비석인 점제현 신사비를 비롯하여 어을동고성(於乙洞古城)과 몇 기의 고분이 있다. 고분의 외형은 방대형(方臺形)인데 내부 구조는 목곽분과 전축분 두 가지가 있다. 목곽분은 광실(壙室)을 목재로 축조한 방형으로 되어 있고 전곽분은 광실을 전(塼, 벽돌)으로 축조한 서역의 궁륭형(穹窿形, 아치형) 천정과 아치식의 입구를 가진 것이다. 부장품은 하급 관리의 분묘에도 화려한 유물이 많이 나와 한대(漢代) 후장(厚葬)의 풍습은 그들의 호화로운 생활을 엿볼 수 있다.
부장품
낙랑 고분의 부장품으로는 동기(銅器)·옥기(玉器)·토기·도기(陶器)·목기(木器)·철기·칠기·장신구·문방구·철물·인(印)·기타 명기(明器) 등이 출토되었다. 동기로는 노(爐)·정(鼎)·종(鐘)·제렴·호(壺)·세(洗)·인(印) 등이 있고, 향로는 대동강가의 제9호분에서 나온 박산로(博山爐)가 유명한데, 중국 산둥성 박산의 모양으로 만든 까닭에 박산로라 한다. 낙랑 유물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구리 거울인데, 용호(龍虎)·금수(禽獸) 계열의 거울과 내행화문경(內行花文鏡) 등이 태반을 차지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왕망(王莽) 시대의 명기가 있는 구리거울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칠기로는 한대 최고도의 기술을 발휘한 촉(蜀)·광한(廣漢) 두 군의 관공(官工)의 손으로 만든 것이 많은데, 안(案)·반(槃)·매(杯)·우(盂)·협상(상자) 등이 있고, 그 중에는 목제·저제(紵製)·죽제(竹製)의 것이 있다. 제9호분에서 나온 금동구칠반(金銅?漆盤), 석암리(石巖里)의 왕우묘(王旴墓)에서 나온 채화칠우, 남정리(南井里) 채협총(彩篋塚)에서 나온 채화칠협(彩畫漆篋), 그밖에 여러 고분에서 나온 금동이칠배(金銅耳漆杯)와 같은 것 등이 대표적이다. 채협총 출토의 채협칠기는 죽조(竹條)로는 구부려 엮은 구형(矩形)의 협상으로 그 네 귀퉁이와 뚜껑물림에는 아름다운 채칠로서 충·효·의·열(忠孝義烈)에 관한 인물화를 그렸는데 당대의 화풍을 보여주는 좋은 미술품이다. 칠배류로는 대개 타원 장변에 귀[耳]를 붙였기 때문에 이것을 이배(耳杯)라고 한다. 그 중에 내면주칠(內面朱漆)·외면흑칠 등에 교묘한 운문(雲文)을 주칠로 나타내고 두 변의 귀[耳]를 모두 금동으로 금동이칠배(金銅耳漆杯)와 전면 흑칠 일색의 칠이배(漆耳杯)가 있다. 칠이배에도 연호명(年號銘)이 나타나는 것이 있는데, 그 중에는 기원전 85년(前漢 昭帝 始元年 2년), 54년(光武帝 建武 30년)의 명(銘)이 있는 이배(耳杯)도 발견되었다. 장신구로는 금지환(金指環)·은지환(銀脂環)·금천(金釧)·은천(銀釧), 패옥(佩玉)으로 벽옥(碧玉)·금박(金珀)·유리(琉璃)·수정(水晶) 등이 있고 순금제의 눈부신 대구(帶鉤)까지 출토되었는데 대동강변 제9호분에서 발굴된 것이다.
점제현신사비
점제현의 신사비(神祠碑)는 높이 약 1.33미터, 너비 약 1.10미터 되는 화강암으로 만든 것인데, 이 비문에 의해서 점제현의 위치를 알게 되었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