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베누에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베누에주(영어: Benue State)는 나이지리아 북중부에 위치해 있는 주이다.[1][2]

개요[편집]

베누에주의 면적은 34,059㎢이며 인구는 6,141,300명(2024)이다. 주도는 마쿠르디이며 북쪽으로는 나사라와주, 동쪽으로는 타라바주, 남쪽으로는 크로스리버주, 남서쪽으로는 에누구주, 서쪽으로는 코기주와 접하며 남동쪽으로는 카메룬과 국경을 접한다.

베누에주는 1976년에 신설된 일곱 개의 주 중 하나로 만들어졌다. 베누에라는 이름은 본래 티브(Tiv)어에서 유래한 "베르-노르(Ber-nor)"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하마의 강 또는 호수를 의미한다. ("베르(Ber)"는 또는 호수를, "노르(nor)"는 하마를 의미) 그러나 식민지 시절, 이 이름이 변형되어 "Benue"로 불리게 되었다. 베누에 강은 나이지리아에서 나이저 강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강이다.

베누에주에는 주로 티브(Tiv), 이도마(Idoma), 이게데(Igede) 민족이 거주하며, 소수 민족으로 에툴로(Etulo), 이그보(Igbo), 하우사(Hausa), 주쿤(Jukun) 등이 있다. 이그보(Igbo)족은 베누에 주의 경계 지역인 오비(Obi), 오주(Oju), 아도(Ado) 지방 정부 지역(LGA)에서 찾아볼 수 있다.

베누에주는 "중부벨트(Middle Belt)의 심장"이라 불리며, 나이저 강 북쪽에서는 "중부벨트의 엔터테인먼트 수도"로도 알려져 있다. 이도마(Idoma)족의 전통적 행정 수도인 오투크포(Otukpo)는 "사자의 심장(Lion’s Heart)" 및 "용기의 땅(Land of the Brave)"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베누에주는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화려한 의상, 이국적인 가면무, 감동적인 음악과 춤에서 나타난다. 베누에 주의 전통 춤은 국내외 문화 축제에서 찬사를 받았다.

베누에주의 사회 생활은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시설 덕분에 더욱 풍부하다. 공원, 해변, 춤과 가면 공연 외에도, 마쿠르디, 그보코, 오투크포의 대형 호텔들은 여러 실내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골프 클럽, 마쿠르디 클럽, 철도 클럽, 경찰 클럽, 공군 클럽 등에서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음료와 간식도 판매된다.

자연환경[편집]

베누에주의 땅은 일반적으로 낮고 평탄하며(평균 고도 100m~250m) 가끔씩 인셀버그(고립된 바위산), 노울, 라테라이트 등이 나타난다. 카메룬과의 경계 지역, 또한 Kwande와 Oju 지방 정부 구역에서는 고산지대가 나타나며, 여기서 경사는 급격한 경사를 이루고, 깊게 파인 계곡과 대체로 험준한 지형을 볼 수 있다. 다른 지역들은 경사가 평균 4° 이하이다.

베누에 강은 이 주의 주요 지리적 특징이다. 이는 나이지리아에서 몇 안 되는 큰 강 중 하나이다. 카치나알라 강은 가장 큰 지류이며, 베누에주는 높은 배수 밀도를 보이지만, 많은 하천들이 계절적이다.

베누에주는 열대 우기 및 건기 기후 또는 사바나 기후를 경험한다. 연평균 기온은 29.38°C로, 나이지리아의 평균보다 약간 낮다. 이 주는 연평균 강수량 135.2mm와 160.01일(연간 강수일의 43.84%)의 비가 내린다.

베누에주는 두 가지 뚜렷한 계절인 우기와 건기가 있다. 우기는 4월부터 10월까지 지속되며, 연간 강수량은 100-200mm 범위에 있다. 건기는 11월부터 3월까지 이어진다. 기온은 연중 21도에서 37도 사이로 변동한다. 그러나 주의 동남부, 특히 오부두-카메룬 산맥 인근 지역은 기후가 시원하여 플래토 주와 유사한 기후를 경험한다.

베누에주의 대부분은 베누에 계곡(트로프) 내에 위치하며, 이는 구조적으로 발전한 지역으로 여겨진다. 제3기와 아마도 제4기 빙하기 기간 동안, 베누에 강과 나이저 강, 즉 나이저/베누에 트로프는 대서양의 바닷물이 침수했다. 그 결과, 해양 퇴적물이 베누에 주 대부분의 표면 지질을 형성하게 되었다.

베누에주는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 자원들은 주의 각 지방 정부 구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 중 상업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광물 자원으로는 바리트, 석고, 장석, 볼프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미네랄 염, 보석 등이 존재한다.

역사[편집]

베누에주는 20세기 초반 북부 나이지리아 보호령의 일부로 처음 행정 구역이 설정되었다. 이 지역은 처음에는 "문시 주(Munshi Province)"라고 불렸으나, 1918년에 주요 지리적 특징인 "베누에 강(Benue River)"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베누에주는 1976년, 이전 베누에-플래토(Benue-Plateau) 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이갈라(Igala) 지역과 콰라(Kwara) 주의 일부 지역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1991년, 이갈라 지역과 콰라 주 일부가 분리되어 현재의 코기주가 탄생하였다.

산업[편집]

농업은 베누에주 경제의 중심이며, 주의 노동력의 75%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농작물로는 고구마, 쌀, 콩, 카사바, 고구마, 옥수수, 대두, 수수, 밀, 참깨, 코코야무 등이 있다. 이 주는 나이지리아 대두 생산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베누에주에는 나이지리아의 모든 은행들이 지점을 두고 있으며, 중앙은행은 마쿠르디에 지역 본부를 두고 있다. 당고테 시멘트 회사는 주 내에서 운영되는 민간 기업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일부 고용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베누에주는 지역 농업 자원과 광물 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러한 잠재력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상업 및 산업 분야에서의 민간 주도적인 시도는 작은 규모로 진행되고 있으며, 주로 목공, 신발 수리 및 제조, 소규모 쌀 가공 공장, 가죽 및 플라스틱 산업, 직조, 인쇄, 케이터링, 블록 제조, 식품 가공 등으로 제한된다. 산업과 상업은 자본 부족, 기초 인프라 부족, 정치적 변동성 등으로 크게 지연되고 있다.

사회[편집]

나이지리아는 인구가 많은 만큼 엄청나게 다양한 민족 구성을 보여주는 나라이다. 좋게 표현하자면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고, 나쁘게 말하자면 사회가 도저히 뭉치질 못한다.

나이지리아 사회 최대의 문제점은 나이지리아인이라는 국민 정체성보다는 각 부족들의 귀속 의식이 더 강한 문제로 내전과 유혈 사태가 끊이지 않는다는 불운을 안고 있다. 부족 문제만 해도 사실 이미 심각한데, 여기에 기독교(남부)와 이슬람(북부)으로 완전히 나뉜 종교 분포도 이러한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 일례로 북부에서는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을 위시한 세력이 끊임없이 테러를 벌이고 있고, 이들 중 보코 하람은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되기도 했었다. 그렇다고 남부라고 해서 나은 것도 아닌데, 나이저 강 삼각주 일대의 부족들은 자신들의 땅에서 나오는 석유로 벌어들인 수입이 정작 지역 원주민들에게는 공정하게 분배되지 않는다고 주장, 나이저강 삼각주 해방 운동(MEND)을 결성하여 정부와 외국계 석유 회사들을 공격하고 있다.[3]

문화[편집]

나이지리아의 대표적인 의복은 남성용 셔츠 부바(Buba), 하의 소코토, 전통모자인 필라(Fila)와 아베티아자(Abeti-aja) 등과 여성용 부바(Buba), 원피스 형태의 카바(Kaba), 하의 이로(Iro), 모자인 겔레(Gele) 등을 착용한다. 대표적인 주식은 쌀, 기장(Millet), 렌틸(Lentile) 등에서 15세기 이후 카사바(Cassava)로 확대되었으며, 민족별로 관습과 종교에 따라 다양한 식문화가 발달했다.

교통[편집]

베누에주는 나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베누에 강과 카치나 알라 강에 두 개의 큰 다리가 있어 중요한 교차로 역할을 한다. 현재 주 정부는 주도인 마쿠르디와 다른 주요 도로의 건설에 헌신하고 있으며, 도로 상태는 우수하다.

연방 정부는 마쿠르디 공항을 리모델링하고 확장하여 나라에서 가장 큰 농업 화물 공항으로 만들 계획이다. 베누에 강과 카치나 알라 강은 준설만 하면 되며, 마쿠르디, 투란, 부루쿠 및 카치나 알라에 현대적인 항구를 건설하여 전국으로 물품을 수송할 수 있다. 이 주는 나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배들은 매우 드물게 베누에 회사에 화물을 하역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동부 철도 노선은 에누구에서 북쪽으로 벤누에 강을 가로지르는 마쿠르디 철도 다리를 통해 나사라와주와 연결되며, 마쿠르디, 오투크포, 타라쿠, 우톤콘, 이구말레 등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주를 가로지르는 철도 노선은 약 180km에 이른다.

교육[편집]

  • 아카웨 토르쿨라 폴리텍닉(ATP), 마쿠르디
  • 베누에 주립 폴리텍닉, 우그보콜로
  • 베누에 주립 대학교, 마쿠르디
  • 카치나 알라 교육 대학
  • 조셉 사르우안 타르카 대학교(JOSTUM), 마쿠르디
  • 마카르 대학교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베누에주〉, 《위키백과》
  2. 이동 "Benue State", Wikipedia
  3. 이동 나이지리아〉,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국가
서아프리카 도시
서아프리카 지리
서아프리카 문화
서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베누에주 문서는 아프리카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