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탕가니카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탕가니카주(프랑스어: Tanganyika)는 콩고민주공화국 남동부에 위치해 있는 주이다.[1][2][3][4]

개요[편집]

탕가니카주의 면적은 134,940㎢이며 인구는 3,8062,000명(2020)이다. 주도는 칼레미이며 남쪽으로는 오트카탕가주, 남서쪽으로는 오트로마미주, 북서쪽으로는 로마미주, 북쪽으로는 마니에마주, 남키부주, 동쪽으로는 탕가니카호와 접하며 남동쪽으로는 잠비아와 국경을 접한다.

탕가니카주는 과거 카탕가(Katanga) 주가 분할되면서 형성되었으며, 탕가니카 주 외에도 오트카탕가(Haut-Katanga), 오트로마미(Haut-Lomami), 루알라바(Lualaba) 주가 함께 신설되었다. 탕가니카주는 이전의 탕가니카 지역(Tanganyika District)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지역의 중심 도시였던 칼레미(Kalemie)가 주도(州都)로 승격되었다. 이 새로운 주의 영토는 1962년부터 1966년까지 존재했던 역사적인 북카탕가(Nord-Katanga) 주의 영토와 동일하다.

역사[편집]

탕가니카주는 과거 카탕가의 독립 국가로부터 반란을 일으킨 루바-카탕가(Luba-Katanga)족의 주요 활동 무대였다. 1961년, 이 지역은 카탕가 독립 정부에 의해 재점령되었으나 같은 해 다시 킨샤사(Kinshasa) 중앙 정부에 의해 탈환되었다. 1962년 7월 11일부터 1966년 12월 28일까지 이 지역은 북카탕가주(Nord-Katanga Province)로 알려졌으나, 1966년 중앙 정부가 행정권을 직접 장악하면서 결국 카탕가 주로 병합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탕가니카 지역(Tanganyika District)으로 관리되다가 2015년 다시 독립적인 주로 승격되었다.

2006년 7월, 제2차 콩고 전쟁(Second Congo War) 동안 카탕가 주는 르완다의 지원을 받은 콩고민주연합-고마(Rally for Congolese Democracy – Goma, RCD-G) 세력과, 마이마이(Mai-Mai) 민병대의 지원을 받는 전(前)정부군 세력 간의 충돌로 인해 분열되었다. 이후 RCD-G와 일부 마이마이 민병대는 콩고 정부군(FARDC)에 통합되었으나, 여전히 상당수의 마이마이 민병대가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난 상태로 남아 있었다.

유엔 평화유지군(MONUC)의 보고에 따르면, 당시 약 5,000~6,000명의 마이마이 민병대가 탕가니카 지역에서 활동 중이었으며, 특히 뇬주(Nyunzu), 카발로(Kabalo), 콩골로(Kongolo) 지역과 ‘죽음의 삼각지대(death triangle)’로 불리는 마노노(Manono), 미투와바(Mitwaba), 푸웨토(Pweto) 지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거점을 형성하고 있었다. MONUC 관계자들은 이들 마이마이 민병대가 조직적인 지휘 체계를 갖추지 못한 채 소규모로 활동하며 사실상 무장 강도로 변모했다고 지적했다.

사회[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은 군벌들이 활개를 쳐서 소년병들을 징병해서 고기방패 총알받이로 쓰고, 처녀나 유부녀, 소녀들까지 끌고 가서 강간하여 임신시키는 등의 개막장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다만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전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곳은 안정을 어느 정도 되찾은 편이다. 그러나 여기도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오죽하면 모부투 정권 시절이나 심지어 식민지 시대가 낫다는 한탄까지 나오는데 벨기에 침략 이후 지금까지 줄곧 참혹한 지옥도가 그려진 국가라고 보는 게 정확하겠다.

2018년 11월 25일에는 주콩고 미국 대사관이 테러의 위협으로 쉬었지만 다음 날 재개했다. 이후 12월 13일 수도인 킨샤사에서 선거 장비가 방화로 소실되었다.

콩고민주공화국은 기본적으로 수많은 부족들이 살던 땅을 그저 벨기에령이라는 이유만으로 한 국가로 싸잡아 독립시킨 것이기 때문에 부족 간 세력다툼이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서, 2018년 3월 13일에는 헤마족 목동들과 렌두족 농부들 사이에서 폭력 사태가 벌어지면서 최소 40명이 사망했다.

콩고민주공화국(DRC)의 기아상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아일랜드 NGO인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매년 발표하는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콩고민주공화국은 2016년 자료의 부족으로 세계기아지수를 측정할 수 없었지만 지속적으로 눈여겨봐야할 국가이다. 2013년부터 2014년 조사에 따르면 DRC의 발육 부진 아동 비율은 43퍼센트로 매우 높고 44퍼센트로 조사된 2001년 이래 사실상 변동이 없다. 영유아사망률은 9.8퍼센트로 이번 보고서의 131개국 가운데 영유아사망률이 가장 높은 상위 10개국에 해당한다. 더욱이 허약 아동은 8퍼센트에 이른다. 미국 국제개발청(USAID)에 의하면 "반복하는 분쟁, 그에 따른 국내 이재민, 개선된 영농 지식과 기술 부재, 곡물과 가축 질병 만연, 부실한 인트라, 젠더 불평등, 출산율 증가를 비롯한 여러 요인이 DRC의 식량 안보를 위협한다.

콩고민주공화국은 국민의 기본적인 인권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곳이다. 조제프 카빌라 시절에 그나마 인권 수준이 많이 개선됐다는 것이다. 그 이전 모부투 시절은 국민들이 그의 이름도 못 부를 만큼 공포 통치가 일상이었고 그 뒤 1990~2000년대 중반까지는 말 그대로 국가가 전쟁터라 기본 생존권도 보장받기 어려운 시절이었다. 당장의 기본적인 의식주조차 보장되지 않는 국가에서 그나마 노력하면 굶어죽지는 않을 수 있게 된 게 카빌라 시절인 셈이다. 사실 카빌라가 국민의 비난을 받은 것도 통치를 너무 못했다기보다는 분명히 민주주의를 도입한다고 해놓고 민주 선거로 당선된 뒤 흑화한 다른 아프리카 대통령들처럼 반은 무시한 점과, 동부에서 같이 싸워온 자기 지지 세력들 중심으로 콩고의 전통적인 사회구조를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독재정치를 한 게 더 컸다.

국가가 가난해서 취급이 좋지 않은 것도 있지만, 일단 사회가 혼란스러운데 치안은 유지해야 하다 보니 경찰들은 범죄자를 닥치는 대로 잡아다 교도소에 집어넣고 있다. 그 결과 2020년 9월 수감 시설이 가득 차다 못해 미어터지고 있으며, 1인당 죽 두 숟갈로 겨우 연명한다는 인권단체의 보도가 연이어 나오고 있다. 우간다의 반군 ADF는 동부 교도소의 죄수들을 탈옥시켰다.

2023년 기준으로 콩고민주공화국의 취약 국가지수는 107.2점으로 4위를 기록했는데, 이게 얼마나 막장인 상황이냐면 콩고민주공화국보다 점수가 높은 나라가 소말리아, 예멘, 남수단 단 3개국밖에 없다. 제일 높았던 2013년의 111.9점(당시 순위는 2위였고, 1위는 소말리)에 비해 4.7점 줄어들었고 순위는 2위에서 4위로 2계단 낮아졌다.[5]

문화[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많은 토속종교를 통해 부족은 회화·조각·음악·춤·공예·직물·의상 등과 같은 전통예술을 발달시켰다. 발생 지역의 특색에 따라 조각품들을 나눌 수 있는데, 수도 킨샤사는 문화생활과 예술을 권장하고 이를 발달시킨 창조적인 곳으로 미술대학은 회화·조각·건축·세라믹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국립예술학원은 전통음악과 연극을 가르친다. 링갈라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시·연극·소설이 급속히 발전하였고, 다른 민족언어에 의한 작품활동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과학공상문학의 발달은 대학과 과학재단,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지 않다. 다른 큰 도시에도 미술관과 공공도서관이 있다. 여러 다른 문화와 문명이 어우러진 독특한 대중음악은 아프리카에 널리 알려져 여러 가지 댄스 스텝과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그밖에 축구·수영·복싱·농구·레이싱보트 등의 스포츠가 발달하였다.[6]

칼레미 (Kalemie)[편집]

칼레미는 탕가니카주의 주도이다. 콩고민주공화국 탕가니카 호(Lake Tanganyika) 서쪽 연안에 위치한 도시이다. 루쿠가 강(Lukuga River)이 이 도시를 통과하며, 이 강은 탕가니카 호수를 루알라바 강(Lualaba River)으로 연결하는 주요 수로 역할을 한다.

1886년부터 1891년까지, 아프리카 선교사 협회(Society of Missionaries of Africa)는 탕가니카 호 북쪽과 남쪽 끝에 가톨릭 선교지를 설립했다. 이 선교지들을 보호하기 위해 프랑스 군인 출신 보조병 레오폴 루이 주베르(Léopold Louis Joubert)**가 파견되었다. 그는 샤를 라비제리(Charles Lavigerie) 대주교가 이끄는 아프리카 선교사 협회의 요청에 의해 이 지역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노예 상인 팁푸 팁(Tippu Tip)과 루말리자(Rumaliza)의 공격으로 인해 선교사들은 세 개의 선교지를 포기해야 했다. 1891년까지 아랍 노예 상인들은 주베르가 방어하고 있던 음팔라(Mpala)와 생루이 드 므룸비(St. Louis de Mrumbi) 지역을 제외한 탕가니카 호 서쪽 연안을 모두 장악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벨기에 반 노예제 협회(Belgian Anti-Slavery Society)의 지원을 받은 알퐁스 자크(Alphonse Jacques) 대위가 이끄는 반(反)노예제 원정대가 1891년 10월 30일 주베르를 구원하기 위해 도착했다. 당시 주베르의 수비대는 겨우 200명 남짓한 병력으로, 샤스포(Chassepot), 레밍턴(Remington) 소총 및 구식 화승총 등 여러 종류의 무기로 무장한 상태였으며, 탄약과 의약품도 거의 바닥난 상황이었다. 자크 대위는 주베르에게 방어를 계속 유지할 것을 요청하며, 자신의 원정대는 북쪽으로 이동해 노예 무역 세력과 교전했다.

1891년 12월 30일, 알퐁스 자크 대위가 이끄는 반(反)노예제 원정대는 탕가니카 호 연안에 군사 기지인 알베르빌(Albertville)을 설립했다. 이곳은 지역 내 아랍 노예 무역을 근절하기 위한 주요 거점이었다. 알베르빌은 루쿠가 강 남쪽 약 15km 지점에 위치했다. 그러나 1892년 4월 5일, 루말리자(Rumaliza)가 이끄는 아랍 노예 무역 세력의 공격을 받아 알렉시스 브리토프(Alexis Vrithoff) 병장이 전사했다. 이후 루말리자의 군대는 1892년 8월 16일부터 1893년 1월 1일까지 알베르빌을 포위하며 지속적으로 공격을 시도했다. 그러나 롱-뒤비비에-데몰(Long-Duvivier-Demol) 반(反)노예제 원정대가 브뤼셀에서 파견되면서 루말리자의 군대는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아랍 세력이 이 지역에서 완전히 물러난 후, 원래의 알베르빌은 점차 버려졌으며, 현재의 칼레미(Kalemie) 위치인 음토아(M'Toa) 지역이 새로운 군사 기지로 자리 잡으며 '알베르빌'이라는 이름이 이전되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중 알베르빌은 벨기에-콩고군(Belgo-Congolese forces)의 주요 거점이었다. 1915년, 철도가 알베르빌까지 연결되었으며, 1916년에는 항구가 건설되고 **그레이너빌(Greinerville)에서 석탄 채굴이 시작되었다. 1940년 말, 알베르빌에는 군사 기지가 설치되었으며, 처음에는 남아프리카군(South African troops), 이후에는 영국군(British troops)이 주둔하면서 케냐 및 에티오피아(아비시니아) 지역의 군대를 관리했다.

1964년 8월, 알베르빌은 마이크 후어(Major Mike Hoare)가 이끄는 용병 부대의 공격을 받았다. 당시 이들은 심바 반란(Simba Rebellion) 진압 작전에 참여하고 있었다.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 모부투 세세 세코(Mobutu Sese Seko) 정권은 ‘자이르화 정책’을 추진했다. 이 정책의 일환으로 콩고 및 도시 명칭이 개명되었으며, 사람들은 기독교식 이름 대신 '전통적인'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요받았다. 또한 서구식 복장은 금지되었고, 남성들은 마오 스타일의 튜닉 '아바코스트(abacost)', 여성들은 이에 상응하는 복장을 착용해야 했다. 1971년, 이러한 개명 정책에 따라 알베르빌(Albertville)은 칼레미(Kalemie)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칼레미에는 칼레미 대학교(University of Kalemie)가 있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도서관을 보유하고 있다.

칼레미는 시멘트, 식품, 섬유 제품 등의 제조업이 발달해 있으며, 구리, 코발트, 아연, 금, 주석, 석탄 등의 광물 유통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탕가니카주〉, 《위키백과》
  2. 이동 탕가니카주〉, 《나무위키》
  3. 이동 "Tanganyika Province", Wikipedia
  4. 이동 "Tanganyika (province)", Wikipedia
  5. 이동 콩고민주공화국〉, 《나무위키》
  6. 이동 콩고 민주 공화국〉, 《위키백과》
  7. 이동 "Kalemie", Wikipedia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중앙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중앙아프리카 국가
중앙아프리카 도시
중앙아프리카 지리
중앙아프리카 문화
중앙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탕가니카주 문서는 아프리카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