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북키부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키부주(프랑스어: Province du Nord-Kivu)는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에 위치해 있는 주이다.[1][2][3]

개요[편집]

북키부주의 면적은 59,483㎢이며 인구는 8,147,400명(2020)이다. 주도는 고마이며 남쪽으로는 남키부주, 남서쪽으로는 마니에마주, 북서쪽으로는 초포주, 북쪽으로는 이투리주와 접하며 동쪽으로는 우간다, 르완다와 국경을 접한다.

현재 북키부주는 3개의 도시(고마, 부템보(Butembo), 베니(Beni))와 6개의 영토 베니, 루베로(Lubero), 마시시(Masisi), 루추루(Rutshuru), 니라공고(Nyiragongo), 왈리칼레(Walikale))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 법령에서는 카신디(Kasindi), 오이차(Oicha), 루홀루(Luholu)에 대해 시(city)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이 제안되기도 했다.

북키부주는 지속적인 안보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는 무장단체 활동, 자원 분쟁, 민족 간 갈등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기인한다. 특히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 M23 반군이 이 지역에서 주요한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2024년 초 기준, M23 반군의 공격으로 인해 약 170만 명이 피난민이 되었으며, 이는 북키부 인구의 약 14%에 해당한다.

북키부주는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disease, EVD)의 주요 발병 지역이기도 하다. 이 지역에서는 2022년 8월에 가장 최근의 에볼라 발병이 보고되었으며, 2018~2020년 키부 에볼라 발병(Kivu Ebola outbreak) 당시 3,400건 이상의 감염 사례와 2,200건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는 2014~2016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사태(West Africa Ebola outbreak)에 이어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였다.

북키부 지방은 민족적으로 매우 다양하며, 주로 반투어(Bantu) 계열 민족이 거주한다. 주요 민족은 난데(Nande), 음부바(Mbuba), 훈데(Hunde), 레세(Lese), 탈링가(Talinga), 후투(Hutu), 투치(Tutsi), 바트와(Batwa, 피그미족)가 있다. 북키부주에는 약 20개 부족 및 민족 그룹이 존재하며, 전체 인구의 60%는 난데(Nande)족이 차지하고 있다.

북키부주는 광활한 자연환경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한 지역이지만, 지속적인 분쟁과 보건 위기로 인해 극심한 불안정을 겪고 있다. 비룽가 국립공원과 루웬조리 산맥 같은 생태학적 보석을 품고 있지만, 무장 충돌과 반군 활동으로 인해 주민들의 생활이 크게 위협받고 있으며, 인도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자연환경[편집]

북키부주의 동부 국경 지역에는 루웬조리 산맥(Rwenzori Mountains)이 자리하고 있다. 이 산맥은 알버틴 열곡(Albertine Rift)의 일부로서, 풍부한 담수를 공급하는 주요 수원지이며 다양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 Site)으로 등재된 비룽가 국립공원(Virunga National Park)이 있으며, 이곳은 멸종위기에 처한 산악 고릴라(mountain gorilla)의 서식지로 유명하다.

지형은 해발 800m 이하의 저지대부터 5,000m를 넘는 산악 지대까지 다양하게 분포하며, 초원, 고원, 산악 지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저지대 지역으로는 셈리키 평원(Semliki Plain)과 루윈디-루추루 평원(Rwindi-Rutshuru Plain)이 있으며, 이는 북쪽의 에드워드 호수(Lake Edward)에서 남쪽까지 이어진다. 또한 카바사 절벽(Kabasha Escarpment)이 에드워드 호수 서쪽에서 솟아올라, 루윈디-루추루 평원을 가로지른다.

동쪽으로는 해발 5,119m에 달하는 거대한 루웬조리 산맥이 자리 잡고 있으며, 남쪽으로 내려가면 화산 지대가 나타난다. 여기에는 용암 지대로 덮인 비룽가 산맥(Virunga Mountains)이 있으며, 대표적인 활화산으로 냐물라기라 화산(Nyamulagira, 3,056m)과 니라공고 화산(Nyiragongo)이 있다.

북키부주에는 두 개의 주요 호수 에드워드 호수(Lake Edward)와 키부 호수(Lake Kivu)가 있다. 이외에도 모코토 호수군(Mokotos Lakes)에는 은달라하(Ndalaha), 루쿨루(Lukulu), 음발루키아(Mbalukia), 음빌라(Mbila) 등의 호수가 있으며, 바샬리 추장령(Bashali Chiefdom) 내 86km²의 면적을 차지한다. 북키부의 주요 하천에는 루추루 강(Rutshuru), 루윈디 강(Rwindi), 셈리키 강(Semliki), 오소 강(Osso), 로와 강(Lowa) 등이 있다.

북키부의 기후는 쾨펜-가이거(Köppen-Geiger) 기후 분류에 따르면 온난 해양성 기후(warm oceanic climate)로 분류되며, 연평균 기온은 18°C, 연평균 강수량은 363.6mm이다.

역사[편집]

북키부주의 행정적 역사는 식민지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원래 콩고 자유국(Congo Free State)의 스탠리폴스(Stanley Falls) 지역에 속해 있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행정 개편을 거쳐 오리엔탈주(Orientale Province)에 통합되었다. 당시 주도는 현재의 키산가니(Kisangani)였다.

제1차 콩고 전쟁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대규모 난민 학살과 인권 침해의 역사였다. 특히 북키부와 왈리칼레에서 난민들이 조직적으로 추적, 처형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르완다군과 AFDL이 광범위한 전쟁 범죄를 저질렀음이 유엔 및 NGO 보고서를 통해 밝혀졌다.

북키부는 1962년에 주 지위를 얻었으나, 1965년 모부투 세세 세코(Mobutu Sese Seko) 정권 하에서 다시 지역(district)으로 강등되었다. 이후 1988년, 법령 제88/1976호와 법령 제88-031호에 따라 북키부, 남키부, 마니에마로 분리되면서 정식 주 지위를 회복하였다.

산업[편집]

인간 활동으로 인해 유칼립투스(Eucalyptus saligna)와 그레빌레아(Grevillea robusta) 같은 단일 종 재배(모노컬처) 농장이 많이 조성되었다. 이러한 농장은 비룽가 국립공원 인근 주민들에게 주요 연료 공급원이 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아카시아(Acacia mearnsii)를 식량 작물과 혼합 재배해 추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현재 ㅊㅊ에는 약 11,200헥타르에 이르는 이러한 인공 조림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특히 고마 지역 주민들의 연료 수요를 충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11년 EcoMakala 프로젝트가 REDD+ 프로그램(산림 감축 및 지속 가능한 관리)과 연계하여 시작되었으며, 2020~2021년에는 130만 달러의 지원을 받아 북키부주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내 최초로 탄소 배출권 거래를 시행한 지역이 되었다.

북키부주는 현지 에너지 인프라 개선을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비룽가 SARL의 수력 발전 사업이 비룽가 국립공원 주변에서 진행 중이다.

사회[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은 부정부패가 매우 심각한 나라이면서 대외적으로도 극히 불안정한데, 콩고민주공화국의 우간다, 르완다 등 이웃한 아프리카의 나라들이 극히 꺼리며 르완다 내전 이후의 후투족 문제로 관계가 극히 나쁜 르완다의 독재자 폴 카가메가 콩고 동부 지역의 불안정을 배후지원한다는 의혹을 사고 있는 상황이다. 2012년 말에도 투치족 반군인 M23이 정부군을 대파한 뒤 고마 시를 점령했다가 UN의 경고로 물러난 적이 있는데, 이 세력의 배후 지도자가 폴 카가메의 측근인 르완다 국방장관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 때문에 최빈국 탈출은 커녕 안정화도 힘들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콩고민주공화국(DRC)의 기아상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아일랜드 NGO인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매년 발표하는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콩고민주공화국은 2016년 자료의 부족으로 세계기아지수를 측정할 수 없었지만 지속적으로 눈여겨봐야할 국가이다. 2013년부터 2014년 조사에 따르면 DRC의 발육 부진 아동 비율은 43퍼센트로 매우 높고 44퍼센트로 조사된 2001년 이래 사실상 변동이 없다. 영유아사망률은 9.8퍼센트로 이번 보고서의 131개국 가운데 영유아사망률이 가장 높은 상위 10개국에 해당한다. 더욱이 허약 아동은 8퍼센트에 이른다. 미국 국제개발청(USAID)에 의하면 "반복하는 분쟁, 그에 따른 국내 이재민, 개선된 영농 지식과 기술 부재, 곡물과 가축 질병 만연, 부실한 인트라, 젠더 불평등, 출산율 증가를 비롯한 여러 요인이 DRC의 식량 안보를 위협한다.

콩고민주공화국은 국민의 기본적인 인권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곳이다. 조제프 카빌라 시절에 그나마 인권 수준이 많이 개선됐다는 것이다. 그 이전 모부투 시절은 국민들이 그의 이름도 못 부를 만큼 공포 통치가 일상이었고 그 뒤 1990~2000년대 중반까지는 말 그대로 국가가 전쟁터라 기본 생존권도 보장받기 어려운 시절이었다. 당장의 기본적인 의식주조차 보장되지 않는 국가에서 그나마 노력하면 굶어죽지는 않을 수 있게 된 게 카빌라 시절인 셈이다. 사실 카빌라가 국민의 비난을 받은 것도 통치를 너무 못했다기보다는 분명히 민주주의를 도입한다고 해놓고 민주 선거로 당선된 뒤 흑화한 다른 아프리카 대통령들처럼 반은 무시한 점과, 동부에서 같이 싸워온 자기 지지 세력들 중심으로 콩고의 전통적인 사회구조를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독재정치를 한 게 더 컸다.

2023년 기준으로 콩고민주공화국의 취약 국가지수는 107.2점으로 4위를 기록했는데, 이게 얼마나 막장인 상황이냐면 콩고민주공화국보다 점수가 높은 나라가 소말리아, 예멘, 남수단 단 3개국밖에 없다. 제일 높았던 2013년의 111.9점(당시 순위는 2위였고, 1위는 소말리)에 비해 4.7점 줄어들었고 순위는 2위에서 4위로 2계단 낮아졌다.[4]

문화[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많은 토속종교를 통해 부족은 회화·조각·음악·춤·공예·직물·의상 등과 같은 전통예술을 발달시켰다. 발생 지역의 특색에 따라 조각품들을 나눌 수 있는데, 수도 킨샤사는 문화생활과 예술을 권장하고 이를 발달시킨 창조적인 곳으로 미술대학은 회화·조각·건축·세라믹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국립예술학원은 전통음악과 연극을 가르친다. 링갈라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시·연극·소설이 급속히 발전하였고, 다른 민족언어에 의한 작품활동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과학공상문학의 발달은 대학과 과학재단,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지 않다. 다른 큰 도시에도 미술관과 공공도서관이 있다. 여러 다른 문화와 문명이 어우러진 독특한 대중음악은 아프리카에 널리 알려져 여러 가지 댄스 스텝과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그밖에 축구·수영·복싱·농구·레이싱보트 등의 스포츠가 발달하였다.[5]

관광[편집]

북키부주의 관광 산업은 생태적으로 풍부한 비룽가 국립공원(Virunga National Park)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이곳은 멸종 위기에 처한 마운틴 고릴라와 다양한 야생동물로 유명한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 Site)이다. 이 관광 명소와 여러 자연 보호구역은 북키부 지방 관광 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행정구역[편집]

  • 고마(Goma) - 북키부주의 주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행정 및 경제 중심지이며 키부 호수 북쪽에 위치하며 르완다 국경과 인접한다. 인근 니라공고 화산(Nyiragongo)의 주기적인 분화 및 지역 내 분쟁으로 지속적인 도전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 부템보(Butembo) - 북키부주 북부에 위치한 상업 중심지이며 과거 콩고 대호수 광산 회사(Compagnie Minière des Grands-Lacs, SOMINKI)의 광산 활동이 경제 발전을 촉진했으며 동아프리카 국가들과 연결되는 주요 교통망 보유하고 있다.
  • 베니(Beni) - 북키부주 북동부에 위치하며, 면적은 184.24km²이며 해발 800m에 위치한 도시다. 지역 내 지속적인 안보 문제로 인해 불안정한 상황이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북키부주〉, 《위키백과》
  2. 이동 북키부주〉, 《나무위키》
  3. 이동 "North Kivu", Wikipedia
  4. 이동 콩고민주공화국〉, 《나무위키》
  5. 이동 콩고 민주 공화국〉,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중앙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중앙아프리카 국가
중앙아프리카 도시
중앙아프리카 지리
중앙아프리카 문화
중앙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북키부주 문서는 아프리카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