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파라주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잠파라주(영어: Zamfara State)는 나이지리아 남부에 위치해 있는 주이다.[1][2]
목차
[숨기기]개요[편집]
잠파라주의 면적은 39,762㎢이며 인구는 5,833,500명(2022)이다. 주도는 구사우이며 북쪽으로는 니제르와 소코토주, 서쪽으로는 케비주, 남쪽으로는 나이저주, 남동쪽으로는 카두나주, 동쪽으로는 카치나주와 접한다.
잠파라는 하우사족이 밀집한 지역으로, 하우사 민족의 일파인 잠파라와(Zamfarawa)족은 주로 안카(Anka), 구미(Gummi), 부키윰(Bukkuyum), 탈라타 마파라(Talata Mafara) 지방자치구에 거주한다. 또 다른 하우사 분파인 고비라와(Gobirawa)족은 신카피(Shinkafi) 지방자치구에 주로 분포한다. 고비라와는 원래 고비르 왕국(Gobir Kingdom)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다. 부르마와(Burmawa) 분파는 바쿠라(Bakura)에 살며, 풀라니족은 주 전역에 퍼져 있으며, 특히 붕구두(Bungudu), 마라둔(Maradun), 구사우(Gusau) 지역에 많은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하우사족 중 차페(Chafe), 붕구두(Bungudu), 마루(Maru) 지역에는 카치나와(Katsinawa), 가레와타와(Garewatawa), 하데자와(Hadejawa)족이 주로 거주하며, 알리바와(Alibawa)족은 카우라 나모다(Kaura Namoda)와 줄미(Zurmi)에 분포한다. 또한 알라완 셰후 우스마누 풀라니(Alawan Shehu Usmanu Fulani)는 비르닌마가지(Birninmagaji)에 거주한다.
영어는 잠파라주 정부의 공식 언어로 사용된다. 또한, 아랍어는 무슬림 공동체와 이슬람 성직자들에 의해 사용된다. 잠파라는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가난한 주 중 하나이며, 2018년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인구의 60% 이상이 극심한 빈곤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환경[편집]
잠파라주의 기후는 열대성 기후로, 3월부터 5월까지 기온이 38°C 이상으로 상승한다. 우기(비 오는 시기)는 5월 말부터 9월까지 지속되며, 온화한 하마탄(Harmattan) 시즌은 12월부터 4월까지 계속된다. 잠파라에서 가장 더운 달은 3월과 4월로, 이는 첫 비가 오기 전이다. 비가 시작되면 기온이 떨어지면서 시원한 효과를 가져온다.
역사[편집]
잠파라 사람들은 오랫동안 자치권을 추구해왔으나, 1996년 10월 1일 군사 정부인 사니 아바차(Sani Abacha) 장군의 통치 아래 잠파라주는 소코토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첫 번째 주지사는 지브릴 야쿠부(Jibril Yakubu)였다.
오늘날의 잠파라 지역은 예전 하우사 왕국 중 하나로, 카노(Kano), 카치나(Katsina), 고비르(Gobir), 카비(Kabi), 자자우(Zazzau)와 같은 왕국들 중 하나였다. 잠파라 지역의 최초 주민들은 사냥꾼과 거인들로 알려져 있으며, 그들은 처음으로 두치(Dutsi)라는 정착지를 세웠다. 이는 잠파라의 첫 수도였다. 잠파라는 서쪽으로는 리마 강(River Rima), 남서쪽으로는 카 강(River Ka)을 경계로 확장되었다. 잠파라 왕국은 11세기에 설립되었고 16세기까지 도시국가로 번성했다. 이 왕국의 수도는 두치와 비르닌 잠파라(Birnin Zamfara) 등 여러 곳으로 이동했다.
18세기 전반, 당시의 수도였던 비르닌 잠파라는 고비르 왕국에 의해 파괴되었고, 19세기 후반에는 안카(Anka)로 새로운 수도가 이전되었다. 잠파라는 상업과 학문의 중심지로 많은 학자들이 이곳을 찾았으며, 특히 얀도토(Yandoto) 도시가 유명했다. 잠파라는 1804년 우스만 단 포디오(Usman dan Fodio)의 지하드(Jihad) 이후 소코토 칼리파국에 속하게 되었다. 사실, 우스만 단 포디오는 사본 가리(Sabon Gari)에서 잠파라의 사르킨 잠파라 아바르시(Sarkin Zamfara Abarshi)가 고비르와 카비를 상대로 싸운 군사 기지로 사용했던 곳에 정착했다.
영국 식민지 시대가 시작되면서 구사우(Gusau) 마을은 상업과 행정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으며, 도로와 철도 네트워크가 이를 통해 지나갔다. 고온(Gowon) 행정부 하의 주(State) 창설로 잠파라 왕국은 당시 북서 주에 속하다가 후에 소코토주에 포함되었다.
산업[편집]
잠파라주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금 채굴로, 이들은 주의 주요 소득원이다. 곡물과 콩류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관개가 필요하다.
주 인구의 8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주요 농산물로는 밀, 기니옥수수, 옥수수, 쌀, 땅콩, 면화, 담배, 콩 등이 있다. 잠파라는 "농업은 우리의 자부심"이라는 슬로건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농업은 주의 식량, 원자재 공급, 그리고 젊은이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사회[편집]
나이지리아 사회 최대의 문제점은 나이지리아인이라는 국민 정체성보다는 각 부족들의 귀속 의식이 더 강한 문제로 내전과 유혈 사태가 끊이지 않는다는 불운을 안고 있다. 부족 문제만 해도 사실 이미 심각한데, 여기에 기독교(남부)와 이슬람(북부)으로 완전히 나뉜 종교 분포도 이러한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 일례로 북부에서는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을 위시한 세력이 끊임없이 테러를 벌이고 있고, 이들 중 보코 하람은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되기도 했었다. 그렇다고 남부라고 해서 나은 것도 아닌데, 나이저 강 삼각주 일대의 부족들은 자신들의 땅에서 나오는 석유로 벌어들인 수입이 정작 지역 원주민들에게는 공정하게 분배되지 않는다고 주장, 나이저강 삼각주 해방 운동(MEND)을 결성하여 정부와 외국계 석유 회사들을 공격하고 있다.
나이지리아는 각종 미디어에서 치안이 좋지 않기로 알려져 있기로 유명하며, 그 악명답게 각종 범죄와 살인율이 굉장히 높은 국가이다. 특히 북동부 지역과 니제르델타 지역은 정말 위험하다. 아프리카 기준으로 남아공 다음으로 살인율이 2위이며, 개발 도상국 특유의 치안의 낙후로 인해 아직까지도 인권의 사각지대에 속한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많이 벌어지는 범죄는 1위가 사기, 2위는 밀매, 그리고 3위가 인신 매매라고 한다.[3]
문화[편집]
나이지리아의 대표적인 의복은 남성용 셔츠 부바(Buba), 하의 소코토, 전통모자인 필라(Fila)와 아베티아자(Abeti-aja) 등과 여성용 부바(Buba), 원피스 형태의 카바(Kaba), 하의 이로(Iro), 모자인 겔레(Gele) 등을 착용한다. 대표적인 주식은 쌀, 기장(Millet), 렌틸(Lentile) 등에서 15세기 이후 카사바(Cassava)로 확대되었으며, 민족별로 관습과 종교에 따라 다양한 식문화가 발달했다.
공용어는 영어를 사용한다. 하우사족이나 풀라족 등의 여러 민족들 사이에서는 하우사어, 풀라어, 이그보어, 요루바어, 카누리어를 포함한 그들만의 토착어도 사용한다. 그래서 언어가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나라인데, 무려 516개의 언어가 사용된다고 한다. 게다가 프랑코포니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서 프랑스어도 일부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
영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1억 2천만명 가량이다. 토착어의 사용이 감소하여, 도시 젊은 세대 중에서는 토착어보다 영어를 더 잘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전통 파괴와 같은 논란이 있다. 유튜브 등지에서 토착어로 제작된 영화 같은 것이 종종 있고, 아동용 교육 영상도 토착어를 가르치는 것이 없지는 않아서 아예 사멸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토착어 영상에 대한 댓글에서도 영어로 의견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교육[편집]
- 카우라-나모다 연방 폴리텍닉
- 구사우 연방대학교
- 마루 잠파라 주 교육 대학
- 잠파라주 대학
교통[편집]
연방 고속도로(Federal Highway)[편집]
- A126 도로는 카치나 주의 쿠체리 근처에서 시작하여 구사우(Gusau) 도로를 거쳐, 츠페(Tsafe), 웅와르 아우두(Unguwar Audu), 구사우, 붕군두(Bungundu), 카바이(Kabai), 탈라타 마파라(Talata Mafara)를 지나 소코토 주의 비마사(Bimasa)까지 연결되며, 이는 소코토-구사우 도로로 이어진다.
주요 도로[편집]
- 카치나-구사우 도로는 구사우에서 북쪽으로 카우라 나모다(Kaura Namoda)를 거쳐 카치나 주로 연결되며, 이는 지비야-줄미-바라케지 도로로, 기단 바우레(Gidan Baure)까지 이어진다.
- 카우라 나모다-신카피 도로는 카우라 나모다에서 북쪽으로 소코토 주의 콴나르 이사(Kwanar Isa)까지 이어지며, 이는 신카피-카피 도로로 연결된다.
- 단사다우 도로는 구사우에서 남쪽으로 단사다우(Dan Sadau)까지 이어지며, 이 도로는 서쪽으로 케르비 주의 카보로(Kaboro)로 이어진다.
- 안카-말리치 도로는 A126 도로에서 말린치(Malinchi)를 거쳐 안카(Anka)로 이어지며, 이곳에서 게야와(Gayawa)-안카 도로가 게야와로 연결되고, 거기서 다시 구미-게야와 도로가 소코토 주의 타샤르-분둔(Tashar-Bundun)까지 이어진다.
- 줄루-마후타 도로는 게야와에서 남쪽으로 줄루(Zugu)를 거쳐 케르비 주와 연결된다.
철도[편집]
- 구사우는 게이지 서부선(Western Line)과 245km 길이의 자리아-카우라 나모다(Zaria-Kaura Namoda) 가지선으로 연결된다.
공항[편집]
- 구사우 공항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잠파라주〉, 《위키백과》
- "Zamfara State", Wikipedia
- 〈나이지리아〉, 《나무위키》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