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코토주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소코토주(영어: Sokoto State)는 나이지리아 북서부에 위치해 있는 주이다.[1][2]
목차
[숨기기]개요[편집]
소코토주의 면적은 25,973㎢이며 인구는 6,391,000명(2022)이다. 주도는 소코토이며 소코토는 소코토 강(Sokoto River)과 리마 강(Rima River)의 합류점 근처에 위치해 있다. 북쪽으로는 니제르와 국경을 접하며 남서쪽으로는 케비주, 남동쪽으로는 잠파라주와 접한다.
소코토는 과거 소코토 칼리프국(Sokoto Caliphate)의 중심지로, 현재도 주로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지역이며, 나이지리아의 중요한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이다. 칼리프국을 이끄는 술탄(Sultan)은 사실상 나이지리아 무슬림들의 영적 지도자로 여겨진다. 소코토(Sokoto)라는 이름은 현지어인 사쿠와토(Sakkwato)의 현대적/영어화된 형태로, 아랍어 수크(suq, 시장)에서 유래했다. 또한 사쿠와토(Sakkwato), 비르닌 샤이후 다 벨로(Birnin Shaihu da Bello, 샤이후와 벨로의 수도)라고도 불린다.
소코토주는 주로 하우사(Hausa)족이 거주하며, 고비르(Gobir)와 이사(Isa) 지역 행정구역(LGA)에는 고비라와(Gobirawa)족이 분포한다. 소코토 주의 대부분 주민은 수니파 무슬림이며, 소수 시아파 공동체도 존재하지만 두 집단 간의 폭력 사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주 인구의 8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소코토주에서는 하우사어와 풀풀데어(Fulfulde)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케베(Kebbe) 지역에서는 카인지(Kainji) 어군에 속하는 우트마인(Ut-Ma'in)어가, 소코토 지역에서는 같은 어군의 카무쿠(Kamuku)어가 사용된다. 그 외에도 소수 집단이 자르마어(Zarma)와 투아레그어(Tuareg)를 사용한다.
자연환경[편집]
소코토주는 건조한 사헬(Sahel) 지역에 위치하며, 모래로 덮인 사바나와 외딴 언덕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연평균 기온은 28.3°C로, 대체로 매우 더운 지역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간 동안 낮 기온은 40°C를 넘지 않으며, 건조한 기후 덕분에 더위를 견디기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가장 더운 시기는 2월~4월로, 이때 낮 최고 기온이 45°C를 넘을 수 있다.
우기는 6월부터 10월까지이며, 이 시기에는 거의 매일 소나기가 내리지만 열대우림 지역처럼 집중호우가 지속되지는 않는다. 10월 말부터 2월까지는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하르마탄(Harmattan) 계절풍이 기후를 지배하며, 이로 인해 공기 중에 먼지가 가득 차고 태양빛이 약해지면서 기온이 상당히 낮아진다. 하지만 집 안 곳곳에 먼지가 쌓이는 불편함이 따른다.
소코토-리마(Sokoto-Rima) 강 유역의 범람원은 비옥한 충적토로 덮여 있어 주요 농경지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건조한 기후로 인해 경작 가능한 작물은 제한적이다. 기장(millet)이 가장 풍부하게 재배되며, 쌀, 옥수수, 기타 곡류 및 콩이 일부 재배된다. 채소 중에서는 토마토를 제외하면 거의 재배되지 않는다.
역사[편집]
소코토주는 1976년 북서부 주(North-Western State)가 소코토 주와 니제르(Niger) 주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 이후 여러 군사 출신 주지사들이 짧은 임기 동안 주를 통치해 왔다. 그러나 소코토 지역 자체는 훨씬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세기 풀라니 제국(Fulani Empire) 시기, 소코토는 서부 중앙 나이지리아에서 중요한 풀라니 국가이자 도시였다.
1900년경 영국의 식민 통치가 시작되면서, 당시 북서쪽 끝을 차지했던 소코토 지역은 나이지리아 보호령의 한 지방이 되었다. 이후 간도(Gando) 지역이 하위 지방으로 추가되었다. 이중 지방(소코토 및 간도)은 총 9만 제곱킬로미터(35,000평방마일) 면적을 차지했으며, 당시 인구는 50만 명을 넘었다. 현재의 잠파라(Zamfara)와 아르군구(Argungu, 케비(Kebbi) 지역 포함)도 이 지방에 속해 있었다.
1911년 영국 점령시 소코토에는 1급 영국 거주 관리(resident)가 배치되었고, 다른 주요 지역에는 보조 관리들이 배치되었다. 영국 법원이 설치되었으며, 영국 주지사들이 지방에 상주하고 있다. 주요 지역에는 경찰 부대도 배치되었다. 지방은 새로운 과세 체계 하에서 평가되었으며, 무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빠르게 개방되고 있다.
영국 통치가 확립된 후, 농부들과 목축업자들이 다시 돌아와 마을을 재건하기 시작했으며, 50년간 버려졌던 땅도 다시 경작되고 있다. 지방의 주요 부는 말 사육과 가축업에서 비롯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타조 사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모래 지역을 제외하고는 농업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쌀과 면화 재배도 활발하다. 계곡 지역에서는 관개 농업이 이루어진다. 주요 전통 산업으로는 직조, 염색, 가죽 가공이 있다. 지방 전역에 도로가 건설 중이며, 무역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현금 화폐가 도입되었다.
1906년, 소코토 근처에서 종교적 광신으로 인한 봉기가 발생해, 안타깝게도 세 명의 백인 장교가 목숨을 잃었다. 당시 토후국(에미레이트, Emir)의 지도자는 반란 지도자를 강력히 비난했으며, 그는 ‘백인을 나라에서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마흐디(Mahdi, 이슬람 종교 지도자)라고 자칭했다. 이에 영국군이 반란군을 진압했으며, 1906년 3월 반란군은 큰 피해를 입고 패배했다. 반란 지도자는 토후국 법정에서 사형을 선고받았으며, 소코토 시장에서 처형되었다. 이 사건은 당시 지역 원로들과 통치자들이 영국 행정부에 충성을 보여준 중요한 사례로 기록되었다.
1967년, 나이지리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지역은 북서부주(North-Western State)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76년에는 소코토주와 니제르주로 분리되었으며, 1991년 케비주, 1996년에는 잠파라주가 각각 소코토주에서 분리되었다.
산업[편집]
소코토주의 주요 경제 부문은 농업이며, 주 전체 경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소코토주는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이며, 2018년 세계은행(World Bank) 자료에 따르면 주민의 약 80%가 극심한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
사회[편집]
나이지리아 사회 최대의 문제점은 나이지리아인이라는 국민 정체성보다는 각 부족들의 귀속 의식이 더 강한 문제로 내전과 유혈 사태가 끊이지 않는다는 불운을 안고 있다. 부족 문제만 해도 사실 이미 심각한데, 여기에 기독교(남부)와 이슬람(북부)으로 완전히 나뉜 종교 분포도 이러한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 일례로 북부에서는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을 위시한 세력이 끊임없이 테러를 벌이고 있고, 이들 중 보코 하람은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되기도 했었다. 그렇다고 남부라고 해서 나은 것도 아닌데, 나이저 강 삼각주 일대의 부족들은 자신들의 땅에서 나오는 석유로 벌어들인 수입이 정작 지역 원주민들에게는 공정하게 분배되지 않는다고 주장, 나이저강 삼각주 해방 운동(MEND)을 결성하여 정부와 외국계 석유 회사들을 공격하고 있다.
나이지리아는 각종 미디어에서 치안이 좋지 않기로 알려져 있기로 유명하며, 그 악명답게 각종 범죄와 살인율이 굉장히 높은 국가이다. 특히 북동부 지역과 니제르델타 지역은 정말 위험하다. 아프리카 기준으로 남아공 다음으로 살인율이 2위이며, 개발 도상국 특유의 치안의 낙후로 인해 아직까지도 인권의 사각지대에 속한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많이 벌어지는 범죄는 1위가 사기, 2위는 밀매, 그리고 3위가 인신 매매라고 한다.[3]
교통[편집]
연방 고속도로[편집]
- A1 도로
- 케비(Kebbi) 주의 퉁간 일로(Tungan Ilo)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캉기-긴디(Kangi-Gindi) 도로를 따라 케베(Kebbe) 지역을 경유하여 다시 케비 주 마이샤이카(Maishaika)까지 연결됨.
- 케비주의 일렐라(Illela)에서 북동쪽으로 소코토-제가(Sokoto-Jega) 도로를 따라 탕바웰(Tambawel)을 지나 다시 케비 주로 연결됨.
- 바르케지(Barkeji)에서 북동쪽으로 카지지(Kajiji), 강가(Ganga), 단디(Dandi), 아다라와(Adarawa)를 지나 소코토로 연결됨.
- 소코토에서 북쪽으로 93km 떨어진 일렐라까지 소코토-일렐라 도로를 따라 콰레(Kware), 과다바와(Gwadabawa), 모몬수카(Momonsuka)를 경유하여 니제르의 비르닌 콘니(Birnin-Konni)에서 RN1 도로와 연결됨.
- A126 도로
- 소코토에서 남쪽으로 71km 떨어진 잠파라(Zamfara) 주의 비마사(Bimasa)까지 소코토-구사우(Sokoto-Gusau) 도로를 따라 슈니(Shunni), 단게(Dange), 보다(Boda), 눔바 투레타(Numba Tureta)를 경유함.
공항[편집]
- 사디크 아부바카르 3세 국제공항(Sadiq Abubakar III International Airport): 소코토 시 인근에 위치함.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소코토주〉, 《위키백과》
- "Sokoto State", Wikipedia
- 〈나이지리아〉, 《나무위키》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