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플렉서블 배터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플렉서블 배터리'''(Flexible Battery)는 전지가 구부러지는 환경에서 전기화학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전극 탭과 전극 리드간의 결합 보강...)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세계 플렉서블 배터리 시장의 경우 2018년 약 3,106억 원의 시장 규모에서 성장해 2023년에는 약 2조 185억 원의 시장 규모를 나타낼 전망이다.<ref> 〈[http://www.ipdaily.co.kr/2020/06/07/11/22/26/5396/%EA%B8%B0%EC%88%A0-%EC%8B%9C%EC%9E%A5-%EB%B6%84%EC%84%9D-%ED%94%8C%EB%A0%89%EC%84%9C%EB%B8%94-%EB%B0%B0%ED%84%B0%EB%A6%AC-flexible-battery/ [기술 & 시장 분석] 플렉서블 배터리 (Flexible Battery)]〉, 《아이피데일리》, 2020-06-07</ref>  
 
세계 플렉서블 배터리 시장의 경우 2018년 약 3,106억 원의 시장 규모에서 성장해 2023년에는 약 2조 185억 원의 시장 규모를 나타낼 전망이다.<ref> 〈[http://www.ipdaily.co.kr/2020/06/07/11/22/26/5396/%EA%B8%B0%EC%88%A0-%EC%8B%9C%EC%9E%A5-%EB%B6%84%EC%84%9D-%ED%94%8C%EB%A0%89%EC%84%9C%EB%B8%94-%EB%B0%B0%ED%84%B0%EB%A6%AC-flexible-battery/ [기술 & 시장 분석] 플렉서블 배터리 (Flexible Battery)]〉, 《아이피데일리》, 2020-06-07</ref>  
 +
 +
== 개요 ==
 +
플렉서블 배터리는 아주 유연하고 잘 휘어지는 전지를 말한다. 이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에 쓰이는 [[액체 전해질]] 대신 [[필름]]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며 전극도 [[탄소 나노튜브]]나 [[그래핀]] 등의 신소재를 채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
플렉서블 배터리는 유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먼저 얇은 필름처럼 만들어져 잘 구부러지는 '''박막형 배터리'''가 있고, 곡선 형태로 휘어진 '''커브드 배터리''', 종이처럼 얇게 찍어낼 수 있는 '''프린티드 배터리'''도 있다. 이외에 케이블 형태의 '''케이블 배터리''', 종이 소재로 제작된 '''종이 배터리''' 등도 있다.
 +
 +
플렉서블 배터리는 점점 시장이 커져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기에 최우선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가령, [[스마트워치]]나 [[스마트글래스]]에 플렉서블 배터리가 적용되면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유자재로 모양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의류의 가능성을 한 차원 더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게다가 디바이스의 디자인에 따라 맞춤형 주문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노트북, TV 등의 폼팩터를 새롭게 바꾸는 데도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 전기차 분야에서도 플렉서블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다양한 부품에 부착할 수 있어 전기차의 새로운 시대를 열 것으로 여겨진다.<ref>이철호 기자, 〈[https://www.ilovep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253 자유자재로 구부리는 배터리의 시대가 온다! 차세대 IT기기의 심장, 플렉서블 배터리]〉, 《스마트PC사랑》, 2020-04-08</ref>
 +
 +
==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
'''[[삼성SDI]]'''가 갤럭시 스마트폰을 위한 '''플렉서블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했고, '''[[LG화학]]'''은 꽈배기처럼 꼬인 양극을 이용해 자유롭게 휘어지는 '''케이블 배터리'''를 개발했다. 국내 벤처기업인 '''[[제낙스]]'''(JENAX)는 휘거나 구부릴 수 있고, 다양한 모양으로도 변형 가능한 '''J.Flex'''로 업계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 배터리는 구부렸다 펴도 성능이 동일하고, 디바이스 디자이너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
'''[[리베스트]]'''(LiBEST)는 가죽처럼 유연하게 휘어지는 전구간 플렉서블 리튬 고분자 배터리를 개발하여 월 평균 1만 개 이상을 제조하고 있다. '''[[카이스트]]'''(KAIST)는 분리막을 없애고 양극과  없애고 양극과 음극을 평면 동일 선상에 배열한 뒤 양극 간 격벽을 둬 신용카드보다 얇고 무선 충전 가능한 '''플랙서블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했다. '''[[한국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인쇄방식으로 제조 가능하며 플라스틱 크리스탈 고분자전해질 기반의 고유연성, 고내열성이 동시에 확보된 플렉서블 배터리를 개발했다.
 +
 +
일본에서는 '''[[파나소닉]]'''이 0.45mm 두께의 플렉서블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에 나섰으며, 미국의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는 반도체 제조공정을 기반으로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했다. 영국의 '''[[다이슨]]'''도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해 주력 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각주}}
 
{{각주}}
9번째 줄: 26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www.ipdaily.co.kr/2020/06/07/11/22/26/5396/%EA%B8%B0%EC%88%A0-%EC%8B%9C%EC%9E%A5-%EB%B6%84%EC%84%9D-%ED%94%8C%EB%A0%89%EC%84%9C%EB%B8%94-%EB%B0%B0%ED%84%B0%EB%A6%AC-flexible-battery/ [기술 & 시장 분석] 플렉서블 배터리 (Flexible Battery)]〉, 《아이피데일리》, 2020-06-07
 
* 〈[http://www.ipdaily.co.kr/2020/06/07/11/22/26/5396/%EA%B8%B0%EC%88%A0-%EC%8B%9C%EC%9E%A5-%EB%B6%84%EC%84%9D-%ED%94%8C%EB%A0%89%EC%84%9C%EB%B8%94-%EB%B0%B0%ED%84%B0%EB%A6%AC-flexible-battery/ [기술 & 시장 분석] 플렉서블 배터리 (Flexible Battery)]〉, 《아이피데일리》, 2020-06-07
 +
* 이철호 기자, 〈[https://www.ilovep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253 자유자재로 구부리는 배터리의 시대가 온다! 차세대 IT기기의 심장, 플렉서블 배터리]〉, 《스마트PC사랑》, 2020-04-0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1년 6월 22일 (화) 09:42 판

플렉서블 배터리(Flexible Battery)는 전지가 구부러지는 환경에서 전기화학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전극 탭과 전극 리드간의 결합 보강구조를 가지는 복합 전극조립체 및제조관련 기술이다. 플렉서블 배터리는 기존의 딱딱하고 부피가 큰 배터리와 달리 유연하고 구부릴 수 있는 콤팩트한 배터리로서, 가전 제품, 엔터테인먼트, 의료기기, 스마트 패키징, 스마트 카드, 웨어러블 기기, 무선 통신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를 말한다.

플렉서블 배터리는 효율성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제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절단 또는 압연할 수 있으며, 또한 플렉서블 배터리는 다른 배터리 위에 쌓아 두는 것 만으로 확장성이 생긴다는 이점이 있다.

세계 플렉서블 배터리 시장의 경우 2018년 약 3,106억 원의 시장 규모에서 성장해 2023년에는 약 2조 185억 원의 시장 규모를 나타낼 전망이다.[1]

개요

플렉서블 배터리는 아주 유연하고 잘 휘어지는 전지를 말한다. 이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에 쓰이는 액체 전해질 대신 필름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며 전극도 탄소 나노튜브그래핀 등의 신소재를 채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플렉서블 배터리는 유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먼저 얇은 필름처럼 만들어져 잘 구부러지는 박막형 배터리가 있고, 곡선 형태로 휘어진 커브드 배터리, 종이처럼 얇게 찍어낼 수 있는 프린티드 배터리도 있다. 이외에 케이블 형태의 케이블 배터리, 종이 소재로 제작된 종이 배터리 등도 있다.

플렉서블 배터리는 점점 시장이 커져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기에 최우선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가령, 스마트워치스마트글래스에 플렉서블 배터리가 적용되면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유자재로 모양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의류의 가능성을 한 차원 더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게다가 디바이스의 디자인에 따라 맞춤형 주문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노트북, TV 등의 폼팩터를 새롭게 바꾸는 데도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 전기차 분야에서도 플렉서블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다양한 부품에 부착할 수 있어 전기차의 새로운 시대를 열 것으로 여겨진다.[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삼성SDI가 갤럭시 스마트폰을 위한 플렉서블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했고, LG화학은 꽈배기처럼 꼬인 양극을 이용해 자유롭게 휘어지는 케이블 배터리를 개발했다. 국내 벤처기업인 제낙스(JENAX)는 휘거나 구부릴 수 있고, 다양한 모양으로도 변형 가능한 J.Flex로 업계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 배터리는 구부렸다 펴도 성능이 동일하고, 디바이스 디자이너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리베스트(LiBEST)는 가죽처럼 유연하게 휘어지는 전구간 플렉서블 리튬 고분자 배터리를 개발하여 월 평균 1만 개 이상을 제조하고 있다. 카이스트(KAIST)는 분리막을 없애고 양극과 없애고 양극과 음극을 평면 동일 선상에 배열한 뒤 양극 간 격벽을 둬 신용카드보다 얇고 무선 충전 가능한 플랙서블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했다. 한국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인쇄방식으로 제조 가능하며 플라스틱 크리스탈 고분자전해질 기반의 고유연성, 고내열성이 동시에 확보된 플렉서블 배터리를 개발했다.

일본에서는 파나소닉이 0.45mm 두께의 플렉서블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에 나섰으며, 미국의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는 반도체 제조공정을 기반으로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했다. 영국의 다이슨도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해 주력 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각주

  1.  〈[기술 & 시장 분석 플렉서블 배터리 (Flexible Battery)]〉, 《아이피데일리》, 2020-06-07
  2. 이철호 기자, 〈자유자재로 구부리는 배터리의 시대가 온다! 차세대 IT기기의 심장, 플렉서블 배터리〉, 《스마트PC사랑》, 2020-04-08

참고자료

같이 보기

  • [[


  의견.png 이 플렉서블 배터리 문서는 배터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