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도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도체'''(導體)는 [[전도도]]가 높아서 [[전기]]가 통하기 쉬운 [[재료]]를 말한다. 도체는 '''전기 전도체'''(電氣傳導體, electrical conductor)의 줄임말이다. [[물리학]]과 [[전기공학]]에서 도체는 [[전류]]를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으로 흐르게 해주는 [[물질]]의 한 종류이다. 예를 들어, [[전선]]은 [[전기]]를 [[도선]]을 따라 길게 흐르게 해주는 전기적 도체인 셈이다.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에서 유동성의 대전된 입자를 [[전자]]라고 한다. 양전하는 또한 [[배터리]]의 전해질 [[양이온]] 또는 [[연료전지]]의 양이온과 같이 유동적이다. [[인슐레이터]]는 많지 않은 유동성의 전하들을 가진 [[부도체]]로 적은 전류의 흐름을 지지할 뿐이다.
+
'''도체'''(導體)는 [[전기]], [[]], 또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도체 중에서 전기를 통하는 물질을 '''[[전도체]]'''라고 한다.
 
 
[[도전율]]은 물질에 의해서 결정되는 세기 변수(intensive variable)로, [[금속]]에서 [[세라믹]]까지 20 자리의 차이가 난다. 일반적으로 도전율이 [[흑연]]의 도전율(106S/m) 이상인 것을 도체, 10−6S/m 이하인 것을 [[절연체]], 그 중간의 값을 가지는 것을 [[반도체]]라고 한다. (106S/m라고 하는 도전율은 1mm2의 단면적에 1m 도체 저항이 1Ω이 되도록 전기가 통하는 것을 말한다.)
 
  
 
== 전선 크기 ==
 
== 전선 크기 ==

2021년 10월 9일 (토) 21:39 판

도체(導體)는 전기, , 또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도체 중에서 전기를 통하는 물질을 전도체라고 한다.

전선 크기

전선은 그것의 단면도에 의해 측정된다. 많은 나라에서 제곱 밀리미터로 표현된다. 북아메리카에서 도체는 더 작은 것을 위한 와이어 게이지 그리고 더 큰 것을 위한 원주밀에 의해 측정된다.

전도도

도체에 의한 저항은 재료의 종류와 단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물질에서 저항은 면적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두꺼운 구리 전선은 같은 종류의 얇은 구리전선 보다 더 적은 저항을 받는다. 또한 받은 물질에서 저항은 길이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긴 구리전선은 같은 종류의 짧은 구리 전선보다 더 큰 저항을 가진다. 그러므로 균일한 단면적의 도체의 저항 R과 전도도 G는 계산

전도도.png
 

로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l은 미터로 측정되는 도체의 길이 이고 A는 제곱미터로 측정되는 도체의 단면적이다. σ는 1미터당 지멘스로 측정되는 도전율이고 ρ는 미터 옴으로 측정되는 물질의 저항률이다. 저항률과 도전율은 연속적으로 비례하므로 도선이 만들어진 물질로만 결정되고 선의 기하학적 구조로는 결정되지 않는다. 저항률과 도전율은 역수관계이다: (ρ=1/σ). 저항률은 전류와 반대되게 측정되는 물질의 성질이다. 이 수식은 도체 내의 전류밀도가 모두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실제상황에 부합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공식은 도선같은 긴 전도체에서는 거의 근사치를 보여준다.

이 공식이 일치하지 않는 다른 상황은 교류전류가 흐를 때 인데, 표피효과가 도체 중심 주변부의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하학적 단면과 효율적 단면이 달라져서, 저항이 기댓값 보다 높아진다. 이와 유사하게 두 개의 전도체가 교류를 가지고 가까이 있으면 근접효과로 저항값이 증가하게 된다. 상용되는 전력교류주파수에서는 이 효과가 전력변전소의 부스바(busbar) 또는 수백 암페어 이상의 고전력 케이블 등과 같이 높은 전류를 운반하는 큰 도체들 사이에서 크게 나타난다.

도체의 전류용량

도체의 전류용량 즉, 전류를 흐를 수 있게 해주는 양은 그것의 전기적 저항과 관련이 있다. 저항이 작은 도체는 많은 양의 전류를 흐를 수 있게 해준다. 결과적으로 저항은 도체를 만드는 물질과 도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도체를 만드는 물질에서 도체의 단면적이 더 넓으면 단면적 좁은 도체보다 더 적은 저항을 갖게 된다. 도체에서 극한의 한계온도는 저항에 의한 전력이 도체를 녹게 만드는 지점에 있다. 하지만 퓨즈를 제외한 대부분의 도체는 실제로 이러한 제한온도가 훨씬 아래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어 가정의 전선은 약 60도 까지 작동되는 PVC 절연체로 절연처리가 되어있다. 그래서 이런 전선의 전류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을 야기하면서 구리 도체를 60도까지 가열시키는 일은 절대 없다. 하지만 그 외에, 더 비싼 테플론 (프라이팬에 음식이 눌러 붙지 않게 칠하는 것) 또는 섬유 유리와 같은 절연체는 훨씬 더 높은 온도에서도 작동될 것이다.

등방성

만약 전기장이 물질에 적용되고 그 결과 유도된 전류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물질은 등방성의 전기 전도체(isotropy electrical conductor)로 불린다. 반면에, 전류가 적용된 전기장으로부터 다른 방향을 가진다면 그 물질은 이방성의 전기 전도체(anisotropic electrical conductor)라 한다.

도체의 특징

도체의 성질은 대체로 5가지로 나뉜다.

  • 도체 내부에는 자유전자가 많아 전하를 잘 이동시킨다.
  • 도체 내부의 전기장은 0이다.
  • 도체에 과잉전하를 주면 표면에만 분포하며 뾰족한 곳에 많이 분포한다.
  • 도체 표면, 내부는 모두 등전위면을 이룬다.
  • 전기력선은 도체 표면에 수직이다.

전도체의 전압

전도체의 전압은 "V"로 표시하며 이는 다음과 같다.

V = IR

여기서

I암페어 단위의 전류를 말한다.

V볼트 단위의 전압차를 말한다.

R 단위의 전기저항을 말한다.

전기 전도체의 종류

전도 물질은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플라즈마 그리고 흑연과 전도성 고분자 같은 몇몇 비금속 전도체가 있다.

구리는 높은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전기적 전도체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열처리를 한 구리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제적인 표준이다. 자주 쓰이는 구리는 빌딩전선, 전동기전선, 케이블, 컴퓨터 전기모선에 전기적 용도로 쓰이는 Electrolytic-touch pitch(ETP) 구리(CW004A)이다. 이 구리는 IACS(국제 열처리구리 표준)의 101%의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또 높은 전도성을 가진 구리를 용접이나 땜질에 이용할 때에는 무산소 고전도성 구리(CW008A 또는 ASTM designation C10100)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구리의 납땜질이나 고정이 쉬운 특성 때문에 경량와이어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은은 구리보다 전도성이 크지만 금전적인 이유 때문에 대부분 실용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 그러나 은은 특성화된 설비에 사용된다. 위성으로 쓰이거나 도금을 하여 표피효과를 완화시키는 용도로 쓰인다.

알루미늄 와이어는 구리 전도성의 61%를 가지고 있는데, 낮은 가격 때문에 빌딩와이어에 자주 쓴다. 질량에 비해 구리보다 더 높은 전도성을 가지는데, 알루미늄의 성질이 빌딩와이어로 쓰일 때 문제를 일으킨다. 알루미늄은 연결부위에 열을 일으키는 산화물을 형성한다. 또 열이 과부화 되면, 장치연결을 느슨하게 하면서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또 연결면의 다른 물질들과 다른 열팽창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연결을 느슨하게 하는데 가속을 가한다. 하지만 이런 효과들은 배선알루미늄 제품으로 사용이 승인된 장치를 사용하여 피할 수 있다.

파묻힌 케이블이나 가공인입선에 사용될 때 낮은 전압을 요구하는 알루미늄 도선은 연결부위에 열 발생을 막기 위해 호환가능한 연결체와의 설비를 필요로 한다. 알루미늄은 구조적 보강철과 결합하여 고전압 송전선에 쓰이는 가장 흔한 금속이다. 양극화된 알루미늄 표면은 전도적이지 않고 이 점은 외장장치 디자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면서 외장장치 디자인에 영향을 준다.

9개의 탄소와 18개의 수소원자로 이루어진 옥테인 같은 구조적 복합체는 전기적 성질을 띄지 못한다. 기름은 탄화수소이고, 탄소의 4원자결합을 가져서 전자쌍을 다른 수소 같은 원소들과 공유하면서, 전자를 잃거나 얻지 않게 되었고, 이온을 형성하지 않게 되었다. 전자쌍을 공유하는 결합은 단순히 전자를 공유하는 것이므로 전류가 흘러지나갔을 때 이온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일이나 다른 유기적결합체 같은 액체는 전기적 성질을 띌수 없다.

순수한 물(증류수)는 전도체가 아닌 반면에, 소금 같은 전해질이 아주 조금이라도 첨가되면 즉시 전도체로 바뀐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도체 문서는 배터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