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1차전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1차전지'''(一次電池, primary cell)는 한번 방전해 버리면 충전해서 재사용 할 수 없는 전지이다. 즉 방전한 뒤 충전으로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비가역적 화학반응을 하는 전지이다. 대표적 1차전지에는 [[망간전지]]가 있으며 최근에는 [[알카라인전지]]가 많이 쓰인다. 보통 1.5V 정도의 전압을 내지만, 수십 V의 전압에 이르는 것도 있다.
+
'''1차전지'''(一次電池, primary cell)는 한번 방전해 버리면 충전해서 재사용 할 수 없는 전지이다. 즉 방전한 뒤 충전으로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비가역적 화학반응을 하는 전지이다. 대표적 1차전지에는 [[망가니즈전지]]가 있으며 최근에는 [[알카라인전지]]가 많이 쓰인다. 보통 1.5V 정도의 전압을 내지만, 수십 V의 전압에 이르는 것도 있다.
  
 
== 개요 ==
 
== 개요 ==
12번째 줄: 12번째 줄:
  
 
== 주요 종류 ==
 
== 주요 종류 ==
=== 망간 ===
+
=== 망가니즈전지 ===
건전지 (Dry Battery/Cell)
+
1차전지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전지이다. 1868년 프랑스의 '''[[조지 르클랑셰]]'''(George Leclanché)가 발명하였다. 망가니즈 전지는 음극이 아연(Zn)으로 이루어져 있고 망간과 산소가 결합한 이산화망간(Mn0₂)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과 음극 사이에는 염화아연(ZnCI₂)이나 염화암모늄(NH₄CI)이 수용액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배터리가 작동함에 따라 이들 소재간의 반응이 일어나며 음극과 양극이 수용액 내부로 녹아들며 성분비가 변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배터리가 소진된 뒤에는 이러한 반응이 역으로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충전이 불가능하다.
  
 
+
망가니즈전지에서 일어나는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은 다음과 같다.
가장 널리 쓰이는 망가니즈전지에서 일어나는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은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 이산화망가니즈 MnO₂는 양극에서 발생한 수소 기체 H₂가 수소 이온 H⁺로 산화되어 기전력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감극제 역할을 한다.
 
아래에서 이산화망가니즈 MnO₂는 양극에서 발생한 수소 기체 H₂가 수소 이온 H⁺로 산화되어 기전력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감극제 역할을 한다.
26번째 줄: 25번째 줄:
 
:::::H₂ + 2MnO₂ → Mn₂O ₃ + H₂O
 
:::::H₂ + 2MnO₂ → Mn₂O ₃ + H₂O
  
대표적 1차전지인 망가니즈전지는 르클랑셰전지를 건전지화한 것이다. 아연통을 용기겸 음극으로 하며, 양극합제(陽極合劑)로 이산화망가니즈와 전기전도성의 탄소 가루(아세틸렌블랙, 흑연), 염화암모늄 가루의 3가지를 전해액(염화암모늄·염화아연이 주성분임)으로 굳혀 형성시킨 것이다. 그 중심에 탄소막대가 있다. 탄소막대와 덮개 사이에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액에 콘스타치와 밀가루를 섞어 겔화한 전해액층이 사이에 끼어 있다. 기전력은 1.5V 정도이며, 가장 보편적인 전지로서 시계나 장난감에 널리 쓰인다.
+
대표적 1차전지인 망가니즈전지는 르클랑셰 전지를 건전지화한 것이다. 아연통을 용기겸 음극으로 하며, 양극합제(陽極合劑)로 이산화망가니즈와 전기전도성의 탄소 가루(아세틸렌블랙, 흑연), 염화암모늄 가루의 3가지를 전해액(염화암모늄·염화아연이 주성분임)으로 굳혀 형성시킨 것이다. 그 중심에 탄소막대가 있다. 탄소막대와 덮개 사이에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액에 콘스타치와 밀가루를 섞어 겔화한 전해액층이 사이에 끼어 있다.  
 +
 
 +
==== 특성 ====
 +
셀 공칭전압은 1.5V(작동전압: 1.5 ~ 0.9V)이며, 최대 출력 가능한 전류는 1A 이하 수준이다. 방전 시 전압평탄성이 좋지 않은 편이며, 전지의 에너지 밀도는 100~190Wh/ℓ 수준이다. 저온에서 전지의 성능이 현저히 저하(-20℃ 이하에서는 전해액 동결)되고, 고온에서는 자기 방전의 촉진 및 전해액 건조에 의한 내부저항 증가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일반적으로 -10℃ ~ 45℃의 온도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지의 취급에 있어서 안전성은 우수한 편이나 전지의 충전, 단락, 화기에 투입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누액 및 파열
 +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저온 또는 고온 저장시 전지의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으므로 -10℃ ~ 25℃ 환경에서 저장하는 것이 좋다.
 +
 
 +
==== 사용 현황 ====
 +
세계적으로 상용시장에서 소형가전, 완구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지 중 하나로 국내에서도 대량 생산되고 있어 일반 시중에서 쉽게 구매가 가능하다. 전지의 형태로는 다양한 크기의 원통형과 각형 전지가 있다.
  
 +
===
 
알칼리망가니즈건전지는 망가니즈건전지의 중성전해질 대신에 가성알칼리인 수산화칼륨 용액을 이용한다. 양극으로는 이산화망가니즈와 흑연의 혼합체를 음극으로 아연을 사용한다. 망가니즈건전지보다 이산화망가니즈와 아연을 다량으로 넣어 성능이 좋고 수명이 길어서 연속적으로 큰 전류를 필요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나 카메라 스트로브에 많이 사용된다.
 
알칼리망가니즈건전지는 망가니즈건전지의 중성전해질 대신에 가성알칼리인 수산화칼륨 용액을 이용한다. 양극으로는 이산화망가니즈와 흑연의 혼합체를 음극으로 아연을 사용한다. 망가니즈건전지보다 이산화망가니즈와 아연을 다량으로 넣어 성능이 좋고 수명이 길어서 연속적으로 큰 전류를 필요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나 카메라 스트로브에 많이 사용된다.
 +
  
 
리튬전지는 금속 리튬을 음극활물질로 사용하고 비수전해액을 사용하여 3V 이상의 고전압이 가능하다. 소형이며 고에너지 밀도의 전지로서 저온 특성 및 장기 보존 성능이 우수한 전지이다. 사용하는 양극활물질의 종류, 전해질, 전극 및 전지형태에 따라 몇 종류로 구분되며 각각 작동전압, 사용 한계전류, 에너지 밀도, 동작온도, 보관수명, 안전성 등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사용하는 양극활물질에 따라 Li/SOCl₂, Li/SO₂, Li/MnO₂, Li/(CF)ₙ 전지 등으로 나뉘어진다.
 
리튬전지는 금속 리튬을 음극활물질로 사용하고 비수전해액을 사용하여 3V 이상의 고전압이 가능하다. 소형이며 고에너지 밀도의 전지로서 저온 특성 및 장기 보존 성능이 우수한 전지이다. 사용하는 양극활물질의 종류, 전해질, 전극 및 전지형태에 따라 몇 종류로 구분되며 각각 작동전압, 사용 한계전류, 에너지 밀도, 동작온도, 보관수명, 안전성 등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사용하는 양극활물질에 따라 Li/SOCl₂, Li/SO₂, Li/MnO₂, Li/(CF)ₙ 전지 등으로 나뉘어진다.

2021년 4월 16일 (금) 15:55 판

1차전지(一次電池, primary cell)는 한번 방전해 버리면 충전해서 재사용 할 수 없는 전지이다. 즉 방전한 뒤 충전으로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비가역적 화학반응을 하는 전지이다. 대표적 1차전지에는 망가니즈전지가 있으며 최근에는 알카라인전지가 많이 쓰인다. 보통 1.5V 정도의 전압을 내지만, 수십 V의 전압에 이르는 것도 있다.

개요

전지는 전자의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하여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1차전지는 방전한 후 충전이 불가능한 일회용전지로 보통 건전지라고 한다. 1차전지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양극음극 그리고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다. 음극은 이온화경향이 큰 금속을 사용하여 전자를 내어 놓는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양극은 이온화경향이 작은 금속을 사용하여 전자를 얻어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1차전지 & 2차전지

1차전지와 2차전지는 작동원리는 비슷하다. 배터리 내부의 구조와 사용된 소재가 다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1차전지나 2차전지 모두 기본적으로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되어 있ㄴ는데 음극을 구성하는 물질 중 일부가 배터리 내부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며 외부로 연결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음극에서 떨어져 나와 양극으로 이동한 물질이 양극을 구성하는 물질과 화학적으로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 반응에 의해 떨어져 나온 물질이 다시 양극과 분리되지 못하고 영국적으로 새로운 화학물질로 영구 고정된다면 충전이 불가능한 1차전지가 되고 양극으로 이동했던 물질이 다시 떨어져 나와 음극으로 돌아올 수 있다면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가 된다.

양극과 음극에 사용하는 물질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사용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리튬전지, 망간전지, 알카라인전지 등 종류가 여러 종류로 나뉘게 된다. 이처럼 여러 가지 종류의 물질이 사용되는 이유는 배터리 성능을 다양하기 위함이다. 배터리에 따라 전압이 다른 다른 배터리가 필요하기도 하고 수명이 다양한 배터리가 필요하기도 하고 작동 온도나 작동 시간 등이 다양하게 필요하기 때문에 여러종류의 배터리가 개발된 것이다.

주요 종류

망가니즈전지

1차전지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전지이다. 1868년 프랑스의 조지 르클랑셰(George Leclanché)가 발명하였다. 망가니즈 전지는 음극이 아연(Zn)으로 이루어져 있고 망간과 산소가 결합한 이산화망간(Mn0₂)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과 음극 사이에는 염화아연(ZnCI₂)이나 염화암모늄(NH₄CI)이 수용액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배터리가 작동함에 따라 이들 소재간의 반응이 일어나며 음극과 양극이 수용액 내부로 녹아들며 성분비가 변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배터리가 소진된 뒤에는 이러한 반응이 역으로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충전이 불가능하다.

망가니즈전지에서 일어나는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은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 이산화망가니즈 MnO₂는 양극에서 발생한 수소 기체 H₂가 수소 이온 H⁺로 산화되어 기전력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감극제 역할을 한다.

(-)극: Zn → Zn ²⁺ + 2e⁻

Zn ²⁺ + 4NH ₃ → Zn(NH ₃)₄ ²⁺

(+)극: 2H⁺ + 2e⁻ → H₂

H₂ + 2MnO₂ → Mn₂O ₃ + H₂O

대표적 1차전지인 망가니즈전지는 르클랑셰 전지를 건전지화한 것이다. 아연통을 용기겸 음극으로 하며, 양극합제(陽極合劑)로 이산화망가니즈와 전기전도성의 탄소 가루(아세틸렌블랙, 흑연), 염화암모늄 가루의 3가지를 전해액(염화암모늄·염화아연이 주성분임)으로 굳혀 형성시킨 것이다. 그 중심에 탄소막대가 있다. 탄소막대와 덮개 사이에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액에 콘스타치와 밀가루를 섞어 겔화한 전해액층이 사이에 끼어 있다.

특성

셀 공칭전압은 1.5V(작동전압: 1.5 ~ 0.9V)이며, 최대 출력 가능한 전류는 1A 이하 수준이다. 방전 시 전압평탄성이 좋지 않은 편이며, 전지의 에너지 밀도는 100~190Wh/ℓ 수준이다. 저온에서 전지의 성능이 현저히 저하(-20℃ 이하에서는 전해액 동결)되고, 고온에서는 자기 방전의 촉진 및 전해액 건조에 의한 내부저항 증가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일반적으로 -10℃ ~ 45℃의 온도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지의 취급에 있어서 안전성은 우수한 편이나 전지의 충전, 단락, 화기에 투입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누액 및 파열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저온 또는 고온 저장시 전지의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으므로 -10℃ ~ 25℃ 환경에서 저장하는 것이 좋다.

사용 현황

세계적으로 상용시장에서 소형가전, 완구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지 중 하나로 국내에서도 대량 생산되고 있어 일반 시중에서 쉽게 구매가 가능하다. 전지의 형태로는 다양한 크기의 원통형과 각형 전지가 있다.

=

알칼리망가니즈건전지는 망가니즈건전지의 중성전해질 대신에 가성알칼리인 수산화칼륨 용액을 이용한다. 양극으로는 이산화망가니즈와 흑연의 혼합체를 음극으로 아연을 사용한다. 망가니즈건전지보다 이산화망가니즈와 아연을 다량으로 넣어 성능이 좋고 수명이 길어서 연속적으로 큰 전류를 필요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나 카메라 스트로브에 많이 사용된다.


리튬전지는 금속 리튬을 음극활물질로 사용하고 비수전해액을 사용하여 3V 이상의 고전압이 가능하다. 소형이며 고에너지 밀도의 전지로서 저온 특성 및 장기 보존 성능이 우수한 전지이다. 사용하는 양극활물질의 종류, 전해질, 전극 및 전지형태에 따라 몇 종류로 구분되며 각각 작동전압, 사용 한계전류, 에너지 밀도, 동작온도, 보관수명, 안전성 등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사용하는 양극활물질에 따라 Li/SOCl₂, Li/SO₂, Li/MnO₂, Li/(CF)ₙ 전지 등으로 나뉘어진다.

양극활물질로 이산화망가니즈를 사용한 코인형리튬전지는 전자수첩, IC카드, 완구, 계측기 등과 같이 안정된 성능과 저출력이 요구되는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양극활물질로 SO2를 사용한 전지는 주로 군수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리튬전지는 용도에 따라 원통형, 핀형, 페이퍼형, 각형과 같이 여러 형상으로 만들 수 있어 사용범위가 넓다. 원통형리튬전지는 컴퓨터의 메모리 백업(기억유지기능)용, 휴대폰 등 고출력이 요구되는 전자기기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5~10년간 사용이 가능하다. 핀형리튬전지는 야간 낚시용 전기찌의 전원으로 사용되며, 페이퍼형리튬전지는 얇은 메모리 카드나 IC 카드 등에 사용된다.

이밖에도 망가니즈건전지의 음극을 아연 대신 마그네슘으로 한 마그네슘건전지가 있다. 양극에 산화은을 사용한 산화은전지는 전압이 상당히 안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수명이 다하는 직전까지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기 때문에 카메라의 노출계, 수정시계와 같은 정밀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산화은전지는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그에 비해 경제성이 뛰어난 알칼리버튼전지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공기아연 전지는 양극에 공기 중의 산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지 내 음극에 다량의 아연을 채울 수가 있어 적은 크기로 대용량을 낼 수가 있어서 보청기나 포켓 벨 등에 사용되고 있다. 양극에 산화수은을 사용하는 수은전지는 사용 중 전압이 1.35V로 거의 일정하며 자체방전이 적어 제조 후 1년이 지나도 용량이 감소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형으로 전기용량이 큰 것을 만들 수 있으며 고온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꾸준한 연구개발로 유해한 중금속으로 지목되어온 수은과 카드뮴이 사용되지 않은 환경친화적인 무수은전지, 무카드뮴전지가 생산되고 있다.

전지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지를 장착할 때 양극과 음극을 확인하여 역접속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종류가 다른 전지는 같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전해질용액이 샐 염려가 있으므로 전지 표면의 비닐을 벗기거나 흠집을 내어서는 안되며, 전해질용액이 눈에 들어가면 바로 물로 씻어 낸다. 다 쓴 후에는 전지를 불 속에 넣지 않도록 하며, 전지에 적혀 있는 지시에 따라 여러 가지 주의를 하면서 버려야 한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1차전지 문서는 배터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