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운트곡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9.0.52.41 (토론) (→해킹 피해 보상금 비트코인으로 지급) |
(→해킹 피해 보상금 비트코인으로 지급: 오타를 고침)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 최근 현황 == | == 최근 현황 == | ||
=== 해킹 피해 보상금 비트코인으로 지급 === | === 해킹 피해 보상금 비트코인으로 지급 === | ||
− | 2020년 3월 25일 코인데스크 등 외신에 따르면 마운트곡스는 '제4회 채권자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 마운트곡스는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 두 가지 자산에 대해서는 고객이 요청한 형태로 보상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었던 고객이라면 현금이 아닌 비트코인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운트곡스는 해킹 시점의 암호화폐 시세를 기준으로 피해 보상금을 법정화폐로 지급해 왔다. 그러나 암호화폐 가격이 상승하면서 고객들은 법정화폐가 아닌 당시 보유하고 있던 암호화폐만큼 보상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번 수정안은 고객들의 이러한 요구가 반영됐다.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를 제외한 나머지 암호화폐는 기존과 | + | 2020년 3월 25일 코인데스크 등 외신에 따르면 마운트곡스는 '제4회 채권자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 마운트곡스는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 두 가지 자산에 대해서는 고객이 요청한 형태로 보상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었던 고객이라면 현금이 아닌 비트코인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운트곡스는 해킹 시점의 암호화폐 시세를 기준으로 피해 보상금을 법정화폐로 지급해 왔다. 그러나 암호화폐 가격이 상승하면서 고객들은 법정화폐가 아닌 당시 보유하고 있던 암호화폐만큼 보상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번 수정안은 고객들의 이러한 요구가 반영됐다.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를 제외한 나머지 암호화폐는 기존과 동일하게 법정화폐로 환전해 보상한다. 노부아키 고바야시 마운트곡스 신탁 관리자는 "법정화폐를 받기 원하는 투자자부터 보상을 진행할 것"이라며 "비트코인 및 비트코인캐시 투자자도 원한다면 법정화폐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피해 보상을 위해 지급할 현금을 마련하기 위해 법원의 허락을 받아 일부 암호화폐를 매각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법원이 이번 피해 보상 수정안을 받아들인다면 비트코인 계열 암호화폐의 하드포크로 생긴 에어드롭 물량을 어떻게 배분할지에 대한 논란도 생길 수 있다. 현재 마운트곡스 신탁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은 4억 6,000만 달러(약 5,646억 원) 상당인 것으로 추산된다. 자산에 따른 개별 암호화폐 보유량은 공개하지 않았다. 지난 2019년 3월 기준 마운트곡스는 14만 6,186BTC와 14만 2,846BCH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운트곡스는 지난 2014년 해킹을 당하면서 대량의 암호화폐를 분실했다. 피해 자산은 85만 BTC, 피해 고객은 2만 4,000여 명으로 추정된다. 마운트곡스는 해킹 이후 기업 파산을 신청했지만 지난 2017년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면서 채권자들이 법원에 기업 회생을 신청했다. 법원이 이를 승인하면서 마운트곡스는 파산이 아닌 회생절차를 밟게 됐다.<ref> 노윤주 기자, 〈[https://decenter.kr/NewsView/1Z0CKTE73N/GZ03 마운트곡스 "해킹 피해 보상금, 원한다면 비트코인으로 지급"]〉, 《디센터》, 2020-03-26</ref> |
=== 배상 계획안 제출 연기 === | === 배상 계획안 제출 연기 === |
2021년 10월 7일 (목) 22:35 판
마운트곡스(Mt. Gox)는 일본 도쿄 시부야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2007년 7월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이 TGC 게임 카드 온라인 거래소로 설립하였고, 2010년 7월 17일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거래소로 전면 개편했다. 2011년 제드 맥케일럽은 마크 카펠레스(Mark Karpeles)에게 마운트곡스를 넘겨주었다. 이후 마운트곡스는 2014년까지 전 세계 모든 비트코인 거래 중 70% 이상을 처리하는 세계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성장했다.[1] 현재는 대형 해킹 사건으로 파산한 상태이다.
목차
개요
마운트곡스는 일본 도쿄 시부야에 위치한 비트코인 거래소이다. 2007년 TGC 게임카드 온라인 거래소로 설립되어, 2010년 7월 비트코인 거래소로 업종을 변경하게된다. 이는 2010년 7월 12일 비트코인의 가격이 0.008달러에서 0.08달러로 급등한 사건이 있은 직후의 일이다. 개설 이후 마운트 곡스는 지금처럼 수많은 거래소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선점효과를 보며 승승장구 했다. 대표적으로 2011년 2월 9일 마운트곡스에서 1비트코인의 가격이 1달러를 달성한 역사적인 날이었는데, 이 것은 개설 시점과 비교해 반년이 갓 넘은 상태에서 벌어진 엄청난 성과였다. 그렇게 2013년과 2014년에 이르러 전 세계 최대 비트코인 중개자 및 세계 최고의 비트코인 거래소로서 전 세계 모든 비트코인 거래의 70% 이상을 처리했다. 하지만 2014년 2월 마운트곡스는 해킹을 당해 85만개의 비트코인을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마운트곡스 사이트는 폐쇄되고, 회사는 파산을 선언했으며, CEO인 마크 카펠레스는 체포되었다. 마운트곡스 해킹 사건을 계기로 암호화폐가 해킹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했다. 이후 수년간 해커를 추적하는 한편, 피해자 보상과 남은 자산 처분을 위한 법원 경매가 진행되었다. 2017년 말 비트코인 가격이 폭등하여, 회사를 청산하는 것보다 회생시키는 것이 더 이익이 됨에 따라, 피해자들은 마운트곡스 회생 신청을 요구하고 있다.
배경
마운트곡스는 2007년 7월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이 설립했다. 제드 맥케일럽은 2000년 오픈한 피투피(P2P) 거래 사이트인 당나귀(eDonkey)의 개발자였다. 초기에는 온라인 판타지 기반 TGC 카드게임인 "매직: 더 개더링"(Magic: The Gathering)의 사용자를 위한 온라인 카드 거래소에서 출발하였다. 마운트곡스(MTGOX)란 Magic The Gathering Online eXchange의 약자이다.[2] 이후 2010년 7월 17일 제드 맥케일럽은 비트코인과 달러를 거래할 수 있는 비트코인 교환소로 사이트를 전면 개편했다. 이를 계기로 마운트곡스는 본격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로 발전하였다.[3] 이후 2011년 제드 맥케일럽은 일본에 거주하고 있던 프랑스인 마크 카펠레스(Mark Karpeles)에게 마운트곡스 사장 자리를 넘겨주었다. 그 후 제드 맥케일럽은 국제 송금용 암호화폐인 리플(XRP)의 공동 개발자로 활약했으며, 이후 리플에서 나와 기존의 리플을 하드포크한 스텔라루멘(XLM)을 창시 했다. 한편 마운트곡스를 넘겨받은 마크 카펠레스는 3년간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거래소를 크게 발전시켰다. 2014년 기준으로 마운트곡스는 전 세계 비트코인 거래의 약 70%를 차지하면서, 세계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성장했다.
주요 인물
-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 :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마운트곡스(Mt. Gox)의 창업자로서, 국제 송금용 코인인 리플(ripple)의 공동 개발자 겸 스텔라루멘(Stellarlumen)의 창시자이다. 제드 맥칼렙이라고도 한다. 제드 맥케일럽은 피투피(P2P) 거래 사이트인 당나귀(eDonkey)의 개발자이다. 당시 세계 최대의 비트코인 거래소였던 마운트곡스(Mt. Gox)의 창업자이다. 2011년 마크 카펠레스(Mark Karpeles)에게 마운트곡스 거래소를 넘겼다. 이후 국제 송금용 코인인 리플의 공동 개발자로 활약했다. 리플에서 나온 후 기존 리플의 성능을 향상시킨 암호화폐인 스텔라루멘(XLM)을 창시 했다. 스텔라루멘 기반으로 만든 암호화폐인 모비우스(Mobius)의 어드바이저를 맡고 있다.
- 마크 카펠레스(Mark Karpelès) : 프랑스 출신의 사업가 겸 기술자로서,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마운트곡스(Mt. Gox)의 대표이사를 지냈다. 2011년 당시 세계 최대의 비트코인 거래소였던 마운트곡스를 창업자인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으로부터 넘겨받았다. 그는 약 3년간 마운트곡스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마운트곡스를 세계 최대의 비트코인 거래소로 성장시켰다. 하지만, 2014년 2월 마운트곡스 해킹 사건이 발생했다. 이 해킹 사건을 조사하던 일본 경찰은 대표이사(CEO)인 마크 카펠레스가 이 해킹 사건에 책임이 있다고 보고 2015년 그를 체포했다. 그는 마운트곡스의 대표이사로서 거래소 시스템에 접근해 잔액 데이터를 조작했다는 협의를 받고 있다. 마크 카펠레스는 1년 이상 일본 감옥에서 징역형을 살다가 2016년 6월 보석으로 풀려났다. 2018년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 있는 런던트러스트미디어(London Trust Media) 회사의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일하고 있다. 런던트러스트미디어는 익명성 기반의 암호화폐인 지캐시(ZCash)의 초기 투자자로서, 마크 카펠레스를 암호 해독 분야의 기술자로 영입했다.
- 제시 파월(Jesse Powell) :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마운트곡스의 거래소 운영장을 지냈다. 현재는 미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크라켄(Kraken)의 창업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마운트곡스에서 근무하다가 해킹 사건으로 회사를 떠난 후 미국에서 크라켄이라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창업했다. 제시 파월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철학(윤리, 법) 학사를 졸업하고 Verge gallery & Studio를 창업하였고,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와 디아블로 등 인기 있는 온라인 게임에서 거래되는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거래소인 류트(Lewt)를 만들어 운영해 왔다. 2011년 6월부터는 마운트곡스로 스카우트되어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을 담당했다. 이후 회사를 떠나, 2011년 8월 크라켄(Kraken Exchange) 거래소를 공동 창업하여 대표이사(CEO)를 역임해 오고 있다.
주요 사건
해킹 사건
2014년 2월 마운트곡스 해킹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을 좀 더 살펴보자면, 마운트곡스는 설립 이후, 비트코인의 성장과 함께 세계 80%의 거래량을 차지하며 엄청난 성장을 하게 된다. 무서운 성장세 속에서 2011년 거래소 지갑의 프라이빗 키가 도난을 당했고, 그로 인해 지갑 데이터 파일이 복사되었다. 즉, 2011년 상반기 이후 85만개에 해당하는 비트코인이 해킹을 당한 것이다. [4]이에 대해 마운트곡스의 CEO였던 마크 카펠리스는, 도난 사건이 마운트곡스 거래소 내부적인 시스템 결함이 아닌 비트코인 기반인 블록체인 자체의 기술적인 결함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주장이었다. 왜냐하면, 블록에는 거래내역과 이 거래내역을 인증하는 서명이라는 2가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거래내역 안에는 이전에 거쳤던 모든 블록이 새로 생성될 때마다 함께 만들어진 모든 거래내역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자체적으로 해킹을 하고자 하면, 이전에 있었던 모든 거래 내역을 기존의 블록보다 빠르게 생성하고 입력하여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해킹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주장으로 인해 블록체인이 기술적 결함을 갖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어, 비트코인의 가격은 폭락을 겪게 되었다. 실제로 사건의 전말은, 2011년 마운트곡스의 거래소 자체 프라이빗 키가 도난을 당해 해커가 데이터 파일을 복사할 수 있어서 거래소의 지갑이 털린 것으로 판명됐다. 결국 거래소의 자체적인 시스템의 보안성 문제로 인해 비트코인이 해킹된 것이었다.[4] 해커들이 획득한 비트코인은 러시아인 알렉산더 비닉이 관리하는 지갑으로 이동되었다. 비닉의 지갑에 입금된 해킹 비트코인들은 다시 대부분 비티씨이(BTC-e)라는 동유럽 불가리아 소재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옮겨졌다. 또, 비티씨이 거래소로 입금된 30만개 분량의 비트코인이 고객의 주소가 아닌 거래소 자체의 내부 저장소로 이동된 것이 포착되었다. 한편 비티씨이 거래소로 입금되지 않은 코인의 절반은 마운트곡스 거래소의 다른 지갑주소로 다시 재입금되거나 다른 거래소들로 입금되었는데, 러시아 경찰은 마운트곡스 거래소로 재입금된 비트코인의 주소를 추적해 알렉산더 비닉을 검거할 수 있었다. 이렇게 많은 비트코인이 상당한 시간에 걸쳐서 불법 출금됐음에도 불구하고 마운트곡스 거래소는 별다른 조치를 내리지 않았다. 이는 마운트곡스 내부자가 해킹의 공범이라는 추정에 힘을 실어주었으며, 이는 거래소가 해킹사태에 대해 상당한 과실이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5]
피해 보상
마운트 곡스는 분실된 비트코인 중 약 4분의 1인 20만 비트코인을 회수할 수 있었다. 마크 카펠레스는 "비트코인을 매매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했던 디지털 파일에서 지난 7일 20만 비트코인을 우연히 찾을 수 있었다"며 "파산보호 신청 뒤 과거 저장해둔 파일을 확인하다가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채권자들은 도쿄 파산 법원에 마운트 곡스 기업 회생 절차를 신청했고, 법원에서는 비트코인을 현금화해 채권자들에게 돌려주는 것을 허락했다.[5] 2018년 6월 기준으로 일본 법원 결정에 따라 앞으로 마운트곡스는 채권자들이 만족할 만한 회생 계획안을 수립하고 동의를 받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번 회생절차 개시 결정은 마운트곡스 해킹사건의 피해자들이 지난해 11월 제출한 회생신청을 법원이 수용한 결과다. 당시 마운트곡스는 피해자에 대한 보상을 비트코인 개수가 아닌 피해금액을 기준으로 삼아 파산 당시 시세인 1BTC 당 400달러를 기준으로 피해금액을 계산해 현금으로 보상했다. 그러나 보상이 이뤄지기까지의 법적 절차를 밟는 4년 동안 마운트곡스가 보유한 비트코인의 가치는 파산 당시인 2014년 3월 120억엔(1,170억 원)에서 3년 후 600억엔(5,800억원)으로 5배 가량 급증했다. 비트코인 가격의 시세 차이가 반영되지 않은 채 보상을 받은 채권자들이 법원에 회생신청을 제기한 것이다. 도쿄 지방법원 관계자는 "채권자들이 파산절차를 통해 얻는 이익보다 회생절차를 통해 비트코인 가격이 반영된 보상액을 지급한다는 것을 조건으로 회생절차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피해자가 실제 비트코인을 분배받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피해자이자 채권자는 2019년 2월까지 피해규모를 법원에 신고해야 하며, 마운트곡스는 신고를 바탕으로 회생절차 계획을 법원에 보고해야 한다. 일부 언론은 이 같은 절차로 인해 늦으면 피해 보상이 2019년 말이나 실시될 것으로 추정했다.[6]
마운트곡스 자산 매각
마운트곡스는 2014년 해킹 사건 이후, 파산과 회생절차를 밟아왔고 해킹으로 인한 피해액도 보상했다. 그런데 최근 마운트곡스 채권자 지원 사이트로 알려진 곡스닥스(Goxdox)에 따르면, 마운트곡스 신탁 관리인 노부아키 고바야시의 계좌로 약 3,500억 원이 입금되었다고 했다. 이 돈은 마운트곡스의 비트코인(BTC)과 비트코인캐시(BCH)를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포인트를 통해 매각하여 이뤄진 것이라 하였다. 고바야시는 2017년 12월에도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를 약 4,470억 원 규모로 매각했었다.
현재, 크라켄 거래소의 대표인 제시 파월(Jesse Powell)은 2011년 6월 마운트곡스에 스카우트되어 거래소 운영을 담당했다. 그는 2014년 마운트곡스 해킹 사건으로 회사를 떠나기 전, 마운트곡스가 도난당한 암호화폐 추적을 하기 위해 고용한 노부아키 고바야시에게 마운트곡스의 암호화폐를 처분하지 않도록 당부하였다. 그리고 그는 만약 피치 못할 사정으로 매도하는 경우,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경매 또는 장외시장(OTC)을 이용하라고 하였다.[7]
최근 현황
해킹 피해 보상금 비트코인으로 지급
2020년 3월 25일 코인데스크 등 외신에 따르면 마운트곡스는 '제4회 채권자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 마운트곡스는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 두 가지 자산에 대해서는 고객이 요청한 형태로 보상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었던 고객이라면 현금이 아닌 비트코인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운트곡스는 해킹 시점의 암호화폐 시세를 기준으로 피해 보상금을 법정화폐로 지급해 왔다. 그러나 암호화폐 가격이 상승하면서 고객들은 법정화폐가 아닌 당시 보유하고 있던 암호화폐만큼 보상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번 수정안은 고객들의 이러한 요구가 반영됐다.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를 제외한 나머지 암호화폐는 기존과 동일하게 법정화폐로 환전해 보상한다. 노부아키 고바야시 마운트곡스 신탁 관리자는 "법정화폐를 받기 원하는 투자자부터 보상을 진행할 것"이라며 "비트코인 및 비트코인캐시 투자자도 원한다면 법정화폐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피해 보상을 위해 지급할 현금을 마련하기 위해 법원의 허락을 받아 일부 암호화폐를 매각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법원이 이번 피해 보상 수정안을 받아들인다면 비트코인 계열 암호화폐의 하드포크로 생긴 에어드롭 물량을 어떻게 배분할지에 대한 논란도 생길 수 있다. 현재 마운트곡스 신탁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은 4억 6,000만 달러(약 5,646억 원) 상당인 것으로 추산된다. 자산에 따른 개별 암호화폐 보유량은 공개하지 않았다. 지난 2019년 3월 기준 마운트곡스는 14만 6,186BTC와 14만 2,846BCH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운트곡스는 지난 2014년 해킹을 당하면서 대량의 암호화폐를 분실했다. 피해 자산은 85만 BTC, 피해 고객은 2만 4,000여 명으로 추정된다. 마운트곡스는 해킹 이후 기업 파산을 신청했지만 지난 2017년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면서 채권자들이 법원에 기업 회생을 신청했다. 법원이 이를 승인하면서 마운트곡스는 파산이 아닌 회생절차를 밟게 됐다.[8]
배상 계획안 제출 연기
마운트곡스 홈페이지에 따르면 2020년 7월 1일로 예정돼 있던 배상 계획안 제출 기한이 2020년 10월 15일로 재차 미뤄졌다. 지난 3월 마운트곡스 해킹 피해자의 코인들을 보유한 파산 수탁관리자 노부아키 고바야시는 법정화폐, 비트코인, 비트코인캐시로 배상하는 내용을 담은 계획안 초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다수 채권자들은 불만을 품었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 마운트곡스의 희생 에이전트는 그들의 채권자에게 약 14만 비트코인을 지급해야 한다. 기존 구매 비용이 400 달러이고 회수율이 20%라고 가정하면 채권자 비용은 약 2,000 달러로 추정된다. 이러한 채권자 중 일부는 해당 비트코인을 보유할 수도 있지만 300% 이상의 이익이 발생한다는 것을 감안했을 때 해당 비트코인을 매도하는 채권자도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예상으로 인해 실제 지급이 발생하기 전에 이미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했다. 하지만 현재 지급이 연기되면서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요소가 사라졌다.[9]
각주
- ↑ "Mt.Gox", Wikipedia
- ↑ 〈Mt. Gox〉, 《나무위키》
- ↑ 땡그랑, 〈마운트곡스(Mt. Gox) 해킹사건〉, 《티스토리》
- ↑ 4.0 4.1 IOST Korea, 〈(IOST) 마운트곡스 파산사태(상편)〉, 《네이버 블로그》, 2018-05-11
- ↑ 5.0 5.1 IOST Korea, 〈(IOST) 마운트곡스 파산사태(하편)〉, 《네이버 블로그》, 2018-05-14
- ↑ 박정연 기자, 〈마운트곡스 청산에서 회생으로 전환…피해자 요구 반영〉, 《서울경제》, 2018-06-25
- ↑ Yogita Khatri, 〈마운트곡스, 암호화폐 3,500억 원어치 처분한 듯〉, 《코인데스크》, 2019-02-06
- ↑ 노윤주 기자, 〈마운트곡스 "해킹 피해 보상금, 원한다면 비트코인으로 지급"〉, 《디센터》, 2020-03-26
- ↑ 재이 윤, 〈마운트곡스 10월 15일까지 다시 연기〉, 《바이비트 공식 블로그》, 2020-07-01
참고자료
- 일본어, 영어
- 마운트곡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tgox.com/ (파산으로 인하여 현재는 소송 관련 안내만 보임)
- Wikipedia Inc., "Mt.Gox", Wikipedia
- 한국어
- 오태민 연구소장,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은 2년...‘최대 거래소’ 마운트곡스 해킹 진범 잡기〉, 《한경비즈니스》, 2018-08-21
- 박정연 기자, 〈마운트곡스 청산에서 회생으로 전환…피해자 요구 반영〉, 《서울경제》, 2018-06-25
- keepit, 〈Keepit 블록체인 칼럼: 해킹 잔혹사 1편〉, 《스팀잇》, 2017년 11월
- IOST Korea, 〈(IOST) 마운트곡스 파산사태(상편)〉, 《네이버 블로그》, 2018-05-11
- IOST Korea, 〈(IOST) 마운트곡스 파산사태(하편)〉, 《네이버 블로그》, 2018-05-14
- Yogita Khatri, 〈마운트곡스, 암호화폐 3,500억 원어치 처분한 듯〉, 《코인데스크》, 2019-02-06
- 노윤주 기자, 〈마운트곡스 "해킹 피해 보상금, 원한다면 비트코인으로 지급"〉, 《디센터》, 2020-03-26
- 재이 윤, 〈마운트곡스 10월 15일까지 다시 연기〉, 《바이비트 공식 블로그》, 2020-07-01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