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부성급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중국 부성급시 위치''' '''부성급시'''(중국어: 副省级城市)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단위...)
 
잔글 (성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6번째 줄: 36번째 줄:
  
 
분단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타이완]]도 자국령이라고 헌법에 명시하고, 마찬가지로 중화민국 정부도 [[중화인민공화국]]이 가진 전체 영역을 자국의 영토로 헌법에 명시하여 영토주권에 대해 대립하고 있다.
 
분단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타이완]]도 자국령이라고 헌법에 명시하고, 마찬가지로 중화민국 정부도 [[중화인민공화국]]이 가진 전체 영역을 자국의 영토로 헌법에 명시하여 영토주권에 대해 대립하고 있다.
 +
=== 역사 ===
 +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직후까지 중화민국 행정구역([[대만]]/영유권 주장 지역도 참조)을 그대로 사용했다. 그러나 1949년에 6대 지리구를 6대 행정구(六大行政区) 및 둥베이 9성이 랴오둥성(辽东省), [[랴오시성]](辽西省), [[헤이룽장성]], 쑹장성, [[지린성]] 5개 성과 [[내몽골 자치구]] 동 4맹으로 개편되었으며, [[장쑤성]]이 쑤베이성(苏北省)과 쑤난성(苏南省)으로, [[안후이성]]이 완베이성(皖北省)과 완난성(皖南省)으로 분할되었으며, [[쓰촨성]]이 촨둥성(川东省), 촨시성(川西省), 촨난성(川南省), 촨베이성(川北省)으로 분할되었고, 산둥성 서부 및 [[허난성]] 북부를 핑위안성(平原省)으로 분할했다.
 +
 +
1952년, 장쑤성과 안후이성, 쓰촨성이 기존 형태로 복원되었으며 핑위안성, 차하얼성(察哈尔省)이 폐지되고 주변 성급행정구역으로 합병되었다. 이후 난징시가 장쑤성에 합병되고 창춘시가 직할시로 승격된다. 그러나 직할시는 1953년, 베이징시, 톈진시, 상하이시만 남기고 모두 폐지됐다. 이와 동시에 둥베이 5성이 현 둥베이 3성 체계로 개편됐다.
 +
 +
1954년에 닝샤성(宁夏省)이 폐지되었고 대행정구가 폐지되고 현재와 같이 지리구분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으며 1955년에 러허성(热河省)과 시캉성(西康省)이 해체되고, 신장성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1957년에 구 닝샤성 중 간쑤성으로 편입된 지역과 광시성이 각각 닝샤 후이족 자치구와 광시 좡족 자치구로 개편된다.
 +
 +
1958년에 톈진시가 허베이성에 편입되었으며, 향급행정구와 촌급행정구가 일괄 인민공사(人民公社) 체제로 변경되었다.
 +
 +
1965년에 티베트지방이 티베트 자치구로 변경되었고 하위 행정단위인 기교(基巧)와 종(宗)이 각각 전구(专区)와 현(县)으로 개칭되었으며 1967년에 톈진시가 다시 직할시로 지정되었다.
 +
 +
1980년대부터 지구, 전구를 상당수 지급시 체제로 전환하였으며, 1982년에 인민공사를 폐지하고 향급행정구와 촌급행정구으로 환원하였다. 단 관할구역은 인민공사 관할구역을 기준으로 했다. 1988년에 광둥성에서 하이난성이 분리되었다.
 +
 +
1997년에 [[충칭시]]가 [[직할시]]로 분리되고 동년에 [[홍콩]]이 반환과 함께 특별행정구로 지정되었다. 한편 1999년에는 [[마카오]]가 반환과 함께 특별행정구로 지정되었다.<ref>〈[https://namu.wiki/w/%EC%A4%91%EA%B5%AD/%ED%96%89%EC%A0%95%EA%B5%AC%EC%97%AD  중국 행정구역]〉, 《나무위키》</ref>
  
 
== 부성급시 목록 ==
 
== 부성급시 목록 ==
44번째 줄: 58번째 줄:
 
*[[청두시]]([[쓰촨성]]) - [[청두시]]는 [[중국]] [[쓰촨성]] 지역의 성도이자 부성급시이다. 청두는 특히 서부대개발 사업을 계기로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청두시]]([[쓰촨성]]) - [[청두시]]는 [[중국]] [[쓰촨성]] 지역의 성도이자 부성급시이다. 청두는 특히 서부대개발 사업을 계기로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선양시]]([[랴오닝성]]) - [[중국]] [[랴오닝성]]의 성도이자 부성급시이다. 국가역사문화명성(國家歷史文化名城)에 선정된 [[관광도시]]이다.
 
*[[선양시]]([[랴오닝성]]) - [[중국]] [[랴오닝성]]의 성도이자 부성급시이다. 국가역사문화명성(國家歷史文化名城)에 선정된 [[관광도시]]이다.
*[[시안시]]([[산시성 (섬서성)]]) - [[중국]]의 섬서성(陝西省)의 주요 [[도시]]이자 섬서성의 성도이며 부성급시이다.
+
*[[시안시]],[[산시성 (섬서성)]] - [[중국]]의 섬서성(陝西省)의 주요 [[도시]]이자 섬서성의 성도이며 부성급시이다.
 
*[[우한시]]([[후베이성]]) - [[중국]] [[후베이성]]의 성도이며 부성급 도시이다. 징한 [[평원]]의 동부에 놓여있고 [[장강]]과 한수이가 합류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세 도시 우창, 한커우, 한양이 합쳐져 만들어진 도시이다.
 
*[[우한시]]([[후베이성]]) - [[중국]] [[후베이성]]의 성도이며 부성급 도시이다. 징한 [[평원]]의 동부에 놓여있고 [[장강]]과 한수이가 합류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세 도시 우창, 한커우, 한양이 합쳐져 만들어진 도시이다.
*[[지난시]]([[산둥성)]) -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의 성도로 부성급시이다.
+
*[[지난시]]([[산둥성]]) -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의 성도로 부성급시이다.
*[[창춘시]]([[지린성]]) -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에 있는 부성급시이다. 지린성의 성도이며,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을 담당하고 있다.  
+
*[[창춘시]]([[지린성]]) -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에 있는 부성급시이다. 지린성의 성도이며,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을 담당하고 있다.  
 
*[[하얼빈시]]([[헤이룽장성]]) - 하얼빈시는 부성급시이자 [[중국]] [[헤이룽장성]]의 성도이다. 쑹화강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공업도시]]이다.
 
*[[하얼빈시]]([[헤이룽장성]]) - 하얼빈시는 부성급시이자 [[중국]] [[헤이룽장성]]의 성도이다. 쑹화강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공업도시]]이다.
 
*[[항저우시]]([[저장성]]) -  장강 삼각주 지역에 자리 잡고 있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의 성도이자 부성급시이다.
 
*[[항저우시]]([[저장성]]) -  장강 삼각주 지역에 자리 잡고 있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의 성도이자 부성급시이다.
 +
 
=== 경제특구 ===
 
=== 경제특구 ===
 
*[[샤먼시]]([[푸젠성]])- [[푸젠성]] 내에서는 가장 큰 [[도시]]다. [[중국]]의 5대 경제특구 중 하나이고, 부성급시로도 지정되어 있다.
 
*[[샤먼시]]([[푸젠성]])- [[푸젠성]] 내에서는 가장 큰 [[도시]]다. [[중국]]의 5대 경제특구 중 하나이고, 부성급시로도 지정되어 있다.
73번째 줄: 88번째 줄: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4%B1%EA%B8%89%EC%8B%9C    부성급시]〉,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4%B1%EA%B8%89%EC%8B%9C    부성급시]〉, 《위키백과》
 
*〈[https://namu.wiki/w/%EB%B6%80%EC%84%B1%EA%B8%89%EC%8B%9C  부성급시]〉,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B6%80%EC%84%B1%EA%B8%89%EC%8B%9C  부성급시]〉,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A4%91%EA%B5%AD/%ED%96%89%EC%A0%95%EA%B5%AC%EC%97%AD  중국 행정구역]〉, 《나무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EC%B9%AD%EB%8B%A4%EC%98%A4%EC%8B%9C  칭다오시]〉,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9%AD%EB%8B%A4%EC%98%A4%EC%8B%9C  칭다오시]〉,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8B%A4%EB%A1%84%EC%8B%9C  다롄시]〉,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8B%A4%EB%A1%84%EC%8B%9C  다롄시]〉, 《위키백과》

2023년 11월 15일 (수) 10:26 기준 최신판

중국 부성급시 위치

부성급시(중국어: 副省级城市)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단위로, 지급시 중 성 정부에서 경제와 법률에 대해 독립적 권한을 가진 도시이다. 1994년 2월 25일, 16개 도시가 부성급시로 지정되었으며, 그중 충칭이 1997년 직할시로 승격되어 현재는 15개이다.[1]

개요[편집]

중국의 행정구역 중 하나로, 성급시(省级市)가 어느 성에도 속하지 않은 직할시인 것과는 다르게 부성급시는 (省)에 속해있다는 점에서 도에 속해 있는 대한민국의 특례시나, 북한의 옛 특급시와 비슷하다.

원래는 1980년대 중국의 주요 도시를 '국가사회 및 경제발전 계획단열시'(计划单列市)로 지정한 데에서 기인한다. 첫번째가 바로 충칭시. 1994년 부성급시로 승격시키면서 추가로, 계획단열시가 아닌 항저우시, 지난시를 포함하게 된다.

부성급시는 오로지 지방정부의 급을 결정하는 제도로, 실제로는 공산당과 중국 정부의 지침대로 지방의 당 조직 수장의 서열을 올려주고 지방 행정조직의 기관장들을 부성급(차관급)에 보임시키는 것에 그친다. 단지 빅4(당서기, 시장, 인대상무위주임, 정협주석)의 정치적 서열이 올라갈 뿐, 항저우와 지난등 계획단열시가 아닌 부성급시의 경제,사회분야 권한은 일반 지급시와 다름없고, 보고라인 또한 성급을 경유해야 한다.

계획단열시는 부성급시와 다른 개념이고, 상황에 따라 보고라인이 성급을 뛰어 넘어 국무원으로 직통이 가능하다. 국무원령에 법적근거를 찾을 수 있다.

한국인들이 한번쯤 이름을 들어봤을 만한 중국의 도시는 대개 성급시가 아니면 부성급시에 해당한다.[2]

중국 행정구역[편집]

중국은 지방 행정을 4계층의 수직 구조로 나누어 통치하고 있다. 최상층을 제1급 행정구역이라고 부르고, 중화인민공화국의 광대한 영역을 22개의 , 5개의 자치구, 4개의 직할시에 수평 분할하고 있다. 특별행정구는 엄밀하게는 제1급 행정구역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는 그것과 동등하게 다루고 있다.

제2계층의 지급의 행정 단위는 지급시, 자치주, 지구 등이 있다. 현재, 중국은 성과 현·현급시의 중간에 위치하는 지급시로 재편되고 있다. 지급시는 시라고 칭하지만, 도시 지역과 주변의 농촌 부를 포함한 비교적 큰 행정 단위이다. 자치주나 지구는 영어에서는 prefecture 로 번역되어 지급시는 prefecture-level city 로 번역된다.

제3계층의 행정 단위가 현급시이다. 중국의 현은 영어에서는 county로 번역된다. 일본과 비교했을 경우, 현에서 군에 가까운 규모이다. 또 영어에서는 county-level city로 번역되는 현급시가 일본의 시에 가까운 존재이다.

제4계층에 해당되는 것이 향급의 행정 단위로, 향(鄕)이나 진(鎮) 등으로 불린다. 영어에서는 향은 township, 진은 town으로 번역된다.

각 계층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성급 행정구 / 省级行政区(1급 행정구, 33개) - 직할시, 성, 자치구, 특별행정구

지급 행정구 / 地级行政区(2급 행정구, 334개) - 부성급성시(副省级城市), 지급시, 자치주, 지구, 맹

현급 행정구 / 县级行政区(3급 행정구, 2852개) - 현급시, 현, 자치현, 시할구(市辖区), 기, 자치기, 민족구, 특구

향급 행정구 / 乡级行政区(4급 행정구, 40466개) - 진, 향, 민족향, 현할구(县辖区), 가도, 소목, 민족소목, 虚拟镇

촌급 행정구 村级行政区(5급 행정구, 704,386개) - 촌민위원회(촌민소조, 촌, 嘎查), 사구거위원회(사구社区, 거민구居民区)

분단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타이완도 자국령이라고 헌법에 명시하고, 마찬가지로 중화민국 정부도 중화인민공화국이 가진 전체 영역을 자국의 영토로 헌법에 명시하여 영토주권에 대해 대립하고 있다.

역사[편집]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직후까지 중화민국 행정구역(대만/영유권 주장 지역도 참조)을 그대로 사용했다. 그러나 1949년에 6대 지리구를 6대 행정구(六大行政区) 및 둥베이 9성이 랴오둥성(辽东省), 랴오시성(辽西省), 헤이룽장성, 쑹장성, 지린성 5개 성과 내몽골 자치구 동 4맹으로 개편되었으며, 장쑤성이 쑤베이성(苏北省)과 쑤난성(苏南省)으로, 안후이성이 완베이성(皖北省)과 완난성(皖南省)으로 분할되었으며, 쓰촨성이 촨둥성(川东省), 촨시성(川西省), 촨난성(川南省), 촨베이성(川北省)으로 분할되었고, 산둥성 서부 및 허난성 북부를 핑위안성(平原省)으로 분할했다.

1952년, 장쑤성과 안후이성, 쓰촨성이 기존 형태로 복원되었으며 핑위안성, 차하얼성(察哈尔省)이 폐지되고 주변 성급행정구역으로 합병되었다. 이후 난징시가 장쑤성에 합병되고 창춘시가 직할시로 승격된다. 그러나 직할시는 1953년, 베이징시, 톈진시, 상하이시만 남기고 모두 폐지됐다. 이와 동시에 둥베이 5성이 현 둥베이 3성 체계로 개편됐다.

1954년에 닝샤성(宁夏省)이 폐지되었고 대행정구가 폐지되고 현재와 같이 지리구분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으며 1955년에 러허성(热河省)과 시캉성(西康省)이 해체되고, 신장성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1957년에 구 닝샤성 중 간쑤성으로 편입된 지역과 광시성이 각각 닝샤 후이족 자치구와 광시 좡족 자치구로 개편된다.

1958년에 톈진시가 허베이성에 편입되었으며, 향급행정구와 촌급행정구가 일괄 인민공사(人民公社) 체제로 변경되었다.

1965년에 티베트지방이 티베트 자치구로 변경되었고 하위 행정단위인 기교(基巧)와 종(宗)이 각각 전구(专区)와 현(县)으로 개칭되었으며 1967년에 톈진시가 다시 직할시로 지정되었다.

1980년대부터 지구, 전구를 상당수 지급시 체제로 전환하였으며, 1982년에 인민공사를 폐지하고 향급행정구와 촌급행정구으로 환원하였다. 단 관할구역은 인민공사 관할구역을 기준으로 했다. 1988년에 광둥성에서 하이난성이 분리되었다.

1997년에 충칭시직할시로 분리되고 동년에 홍콩이 반환과 함께 특별행정구로 지정되었다. 한편 1999년에는 마카오가 반환과 함께 특별행정구로 지정되었다.[3]

부성급시 목록[편집]

충칭시는 1997년까지는 쓰촨성의 부성급시 였으나 직할시로 독립 승격되었다. 신장 생산 건설 병단도 부성급시 수준의 권한을 가진다. 상하이시의 푸둥은 현급구이긴 하지만 부성급시 권한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난징시도 꾸준히 인구가 늘어나고 있고 정치와 경제 등 다방면적으로 많이 발전하여 곧 직할시로 승격될 예정이다. 부성급시 중에서 행정구역이 아닌 실제 도시지역 기준으로 난징, 청두, 광저우, 선양, 우한 등이 큰편이다.

성도[편집]

경제특구[편집]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편집]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부성급시〉, 《위키백과》
  2. 부성급시〉, 《나무위키》
  3. 중국 행정구역〉,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부성급시 문서는 세계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