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루나민트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루나민트(Lunamint)
루나민트(Lunamint)
루나그램(Lunagram) 지갑
코스모스코인(Cosmos Coin)

루나민트(Lunamint)는 코스모스코인(Cosmoscoin)이 운영하는 코스모스 아카데미(Cosmos Academy)의 로컬 파트너 기업이다. 코스모스 루나민트(Cosmos Lunamint)라고도 한다. 공동 설립자는 윤승완이다. 루나민트(Lunamint)는 분산된 네트워크와 다양한 암호자산의 소유자에게 신뢰성 있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방식의 블록체인 회사이다. 블록체인 전문가, 유명 개발자, 암호 전문가로 구성된 루나민트는 분산형 프로토콜의 미래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기회를 찾는 기업이다. 루나민트는 코스모스 기반의 메신저 및 지갑 서비스를 제공하는 루나그램(Lunagram)을 개발했다.

개요

루나민트(Lunamint)는 2018년 설립된 블록체인 기업이다. 루나민트의 윤승완 대표는 코스모스 초기 커뮤니티 멤버로서 국내 코스모스 밋업을 운영하였다. 루나민트는 코스모스팀 소속이 아니며,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루나민트는 코스모스 블록체인 생태계를 중심으로 검증인(validator) 운영과 디앱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루나민트는 코스모스 테스트넷 초기부터 검증인을 운영해왔으며, 국내에 코스모스 자료 등을 전달하고 있다. 루나민트는 코스모스 모바일 지갑 루나그램(Lunagram)을 개발하고 있다. 루나그램은 텔레그램 오픈소스 클라이언트를 기반으로 개발된 메신저 지갑으로, 코스모스의 상호호환성 프로토콜 IBC(Interblockchain)를 통한 인터체인 호환성을 적용했다.

주요 인물

  • 윤승완 : 윤승완은 코스모스코인(Cosmoscoin) 아카데미의 로컬 파트너인 루나민트(Lunamint)의 공동 설립자이자 블록인프레스의 COO이다. 또,그는 코스모스 커뮤니티 매니저로서 다양한 밋업 및 컨퍼런스에 연사로 참여하여 코스모스에서 개발한 기술들과 프로젝트들을 홍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주요 활동

디앱 개발

루나민트는 디앱 개발을 통해 코스모스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코스모스는 ‘블록체인의 인터넷(Internet of Blockchains)’르로, 독립적인 수천 개의 블록체인들을 연결할 수 있는 인터체인 프로젝트 중 하나다. 코스모스는 존(Zone)이라 불리는 독립된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이고, 전체 시스템을 위한 토큰의 ‘중앙 원장’역할을 하고, 존들을 관리하는 게 허브인데, 존들은 최근의 블록 커밋들을 끊임없이 허브로 전송하며, 허브는 이를 통해 항상 최신 상태를 유지한다. 코스모스는 허브와 존의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수의 체인들이 연결돼 있고, 다수의 체인을 기반으로 확장가능한 형태의 기술이기에 확장성의 특징을 지닐 수 있으며, 자유롭게 존과 허브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독자적인 규칙과 검증인 세트를 생성하고 필요시에만 존이나 허브에 연결할 수 있는 선택적인 탈중앙성의 구조를 지닐 수도 있다. 코스모스 네트워크의 허브와 존들은 블록체인 간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은 IBC Protocol(Inter-Blockchain Communication)과 코스모스 SDK를 통해 이뤄진다. 그간 블록체인 위에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했지만 코스모스가 제공하는 SDK[1]를 사용하면 블록체인 개발에 드는 개발 비용과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또, 기존에는 하나의 컨트랙트가 하나의 블록체인 위에 올라갔지만, SDK는 텐더민트 비잔틴 장애 허용(TBFT; Tendermint Byzantine Fault Tolerant) 합의 알고리즘 구조 덕분에 블록체인 간 전송의 확장성을 수초 내에 가능케하여 여러 가지 체인들이 연결될 수 있고, 한 디앱이 한 체인 위에서 돌아가고 이 디앱들이 체인 간의 연결을 통해 상호호환 될 수 있어 성능 향상이 이뤄진다.

검증인

루나민트는 코스모스의 검증인(Validator)을 운영해 왔다. 검증인은 새로운 블록을 제안하거나 제안된 블록에 동의 또는 거절을 할 수 있는 풀 노드이다. 검증인이 아닌 노드들은 ‘아톰 토큰'을 임의의 검증인에게 위임하여 일정한 블록 수수료와 아톰 보상을 제공한다. 텐더민트 블록체인은 검증자 수가 많아질수록 통신의 복잡도가 증가하여 속도가 느려진다. 반면 검증인들을 통해 블록체인의 전 세계 분산, 매우 빠른 이체확인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텐더민트는 처음 최대 검증인 수가 100명이 되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10년동안 매년 13%비율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는 총 300명의 검증인을 가질 예정이다. 코스모스의 지분증명(PoS)을 BPOS(Bonded Proof Of Stake)라고 부른다. BPoS는 구현이 어렵고 DPoS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PoS 프로토콜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한다. BPOS는 의무와 보상의 개념으로 ‘네트워크 관리, 거버넌스 투표, 생태계 확장’이라는 의무를 이행했을 때 보상이 이뤄진다. BPOS 형태의 코스모스 검증인의 경우, 연속으로 블록을 자기 차례에서 일정 시간 내에 생성하지 못하면 패널티가 부과된다. 단순히 노드를 돌려놓고 보상을 받는 개념이 아니라 투표가 진행됐을 때 투표권을 행사하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와 의무를 행해야 보상을 받게 되는 셈이다. 의무가 없으면 지속적으로 지식과 자본을 투입하기가 쉽지 않은데 의무를 규정하고 시스템적으로 패널티를 적용하면 검증인들의 자세가 바뀔 수 없다. 네트워크를 잘 운영하는 경우에는 신규 발행되는 토큰 아톰(ATOM)과 포톤(PHOTON)이 주어지고, 허브에서 이뤄지는 모든 전송 수수료가 검증인들한테 돌아간다. 보상으로 주어지는 아톰, 노드 운영을 위해서는 지식이 각각 있어야 하기 때문에 코스모스의 검증인은 자본과 지식이 동시에 필요하다. 루나민트는 이러한 검증인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2]

루나그램

루나그램(Lunagram)은 메신저-지갑으로 텔레그램의 오픈소스 클라이언트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텔레그램 메시지를 통한 토큰 전송, 봇 결제 시스템, Lunagram Message Interface 등 실사용과 확장성을 고려한 기능을 도입했다. 뿐만 아니라 코스모스의 상호호환성 프로토콜 IBC(Interblockchain Protocol)을 통한 인터체인 호환성을 적용할 계획이다. IBC(Interblockchain Communication)은 카바의 인터레저 솔루션이 이용되었다. 코스모스 생태계와 외부 블록체인 생태계 간의 장벽 없는 호환성을 추구한다.

코스모스 아카데미

윤승완은 개발자들에게 코스모스 SDK, 코스모스 허브, 코스모스 Zone 등 코스모스 블록체인과 관련된 여러 주제에 대한 정보를 밀도있게 제공할 수 있는 코스모스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코스모스 아카데미는 코스모스 공식 팀이 운영한다. 루나민트는 2018년 11월 2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드림플러스에서 제1회 코스모스 아카데미 행사를 개최했다.[2] 이 때 코스모스 SDK와 텐더민트 기반의 블록체인 개발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한다.

행사

제1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루나민트(Lunamint)가 제1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에 참가했습니다.

동영상

각주

  1.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특정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하드웨어 플랫폼, 컴퓨터 시스템, 운영체제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개발 도구의 집합
  2. 2.0 2.1 김가현 기자, 〈‘3세대 코스모스, 무엇이 다른가’…첫 코스모스 아카데미 서울서 열려〉, 《블록인프레스》, 2018-10-03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루나민트 문서는 블록체인 개발업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