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데이비드 핸슨 (핸슨로보틱스)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데이비드 핸슨(David Hanson Jr.) 소피아 개발자
핸슨로보틱스(Hanson Robotics)
소피아(Sophia) 휴머노이드 로봇

데이비드 핸슨(David Hanson Jr.)은 미국의 로봇 기술자이며, 홍콩 로봇제조회사 핸슨로보틱스(Hanson Robotics)의 창시자이자 대표이사(CEO)이다. 인공지능 기반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소피아(Sophia)를 개발하여 업계에 널리 알려졌다.

약력[편집]

데이비드 핸슨은 1969년 12월 20일에 미국의 텍사스주 댈러스(Dallas)에서 태어났다.

1992년에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대학교에 입학하여 영화/애니메이션/비데오 학과를 전공하였고, 1996년에 미술학사 자격을 취득하였다. 2002년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캠퍼스(University of Texas at Dallas)에 입학하여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s)와 엔지니어링 학과를 전공하고 2007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로드아일랜드 스쿨을 졸업한 후 핸슨은 아티스트로 로스안젤스의 디즈니 엔지니어링 랩(Disney Imagineering Lab.)에서 6년간 근무하였다. 2010년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캠퍼스에서 인터랙티브 아트 & 로봇틱 조각학과의 강사로 근무했다. 그 뒤에 북텍사스대학교 비주얼 아트와 디자인(Visual arts and Design) 학원에서 부교수로 2013년까지 근무하였다.

2013년에 홍콩에서 핸슨로보틱스(Hanson Robotics) 회사를 창설하고 대표이사(CEO)를 맡아 현재까지 역할을 하고 있다.[1][2]

주요활동[편집]

제노

▷ 로봇 개발

1995년, 로드아일랜드 대학 졸업 1년 전에 유체이탈 관련 자주 연구 프로젝트의 일부분으로 데이비드 핸슨은 원격제어 휴머노이드 헤드를 구축하였다.

2004년에 데이비드 핸슨은 미국의 덴버(Denver)에서 개최된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컨퍼런스에서 로봇헤드 케이봇(K-Bot)을 소개하였다. 케이봇은 폴리머 피부와 자연스럽게 조각된 특징, 그리고 파란색의 큰 눈을 갖고 있으며 2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를 추진하고 눈안에 장착한 카메라로 밖을 내다보고 24개 서보모터(servomotor)로 현실과 유사하게 움직일 수 있었다. 케이봇의 제어는 원격제어의 방식으로 실현하였다.

2007년에 데이비드 핸슨은 애니메이션 형태의 로봇 제노를 등장시켰다. 이 때의 제노는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었으며 대화를 할 수 있었다. 제노는 28개 이상의 모토를 사용하며 영리한 몸 자세와 풍부한 얼굴 표정을 갖고 있다. 2012년에 개선 버전을 제출하였다.

2015년에 홍콩에서 개최된 Global Sources electronics fair 에서 Han을 전시하였다. Han은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와 음성확인기술로 사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대의 성별, 년령, 정서를 읽을 수 있다. Han은 영국식발음으로 대화를 하며 인간과 유사한 얼굴표정을 짓는데 특화되어 있다.

2016년에 Hanson Robotics의 대표작 소피아를 출시했다. 소피아는 세상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로봇이다. 수차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TV쇼에 출연하였다.

2017년 1월에 Hanson Robotics의 첫 상용화 제품 Professor Einstein을 출시하였으며 라스베이거스 (Las Vegas) 의 Consumer Electronics Show (CES) 에서 공중들을 대면하였다. Professor Einstein은 교육용 로봇으로 8세~13세 사이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을 진행한다. 로봇은 과학이야기를 할 수 있고 우스개도 할 수 있으며 wifi와 연결하여 날씨 체크도 가능하고 인터넷정보에 엑세스 가능하다.

Professor Einstein에는 Stein-O-Matic라는 앱이 장착되어 게임, 비데오, 교학이 가능하며 모터가 장착되어 주행이 가능하고 틀린 얼굴표정을 지을 수 있으며 가슴부에 장착한 카메라로 얼굴을 추적할 수 있다.[3]

2019년 말까지 50여개의 로봇이 파인아트 (fine art), 연구플랫폼, 헬스케어, autism treatment, 자폐증치료 및 소비자제품 등의 형식으로 전 세계에 분포되었으며 Hanson Robotics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Cambridge University), 미국질병통제센서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캘리포니아대학 제트추진연구소 (JPL/Caltech), 제네바 대학교 (the University of Geneva), the Open Cog foundation, 그리고 많은 박물관들과 합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각주[편집]

  1. "David Hanson (robotics designer)", Wikipedia
  2. "David Hanson Resume", Hanson Robotics
  3. "Hanson Robotics", Wikipedia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데이비드 핸슨 (핸슨로보틱스) 문서는 기업인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