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 동위원소(安定同位元素, stable isotope)는 방사성 붕괴를 하지 않는 안정한 동위원소를 말한다. 254개의 안정 동위 원소가 존재하며 이들은 모두 안정하다.
개요
안정 동위원소는 동위원소 가운데서 방사성동위원소를 뺀 나머지 원소를 말하는데, 동위원소를 화학적으로 분리할 수 없으므로 자연상태에서 동일 원소의 그 존재비는 지구상에서 일정하다.
안정동위원소를 포함하는 안정한 핵종(核種)의 수를 질량수(A)와 원자번호(Z)로 분류하면 된다. 이 분류로부터 짝수인 질량수와 짝수인 원자번호가 짝짓는 일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 짝수인 질량수와 홀수인 원자번호를 가지는 원소는 불안정하다는 것(예외 H², Li⁶ B¹⁰, N¹⁴), 홀수인 원자번호를 가지는 원소는 2개 이상인 안정동위원소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핵자(核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중요한 지침을 부여한다. 동위원소는 화학적으로는 분리할 수 없으므로 자연상태에서의 동일 원소의 안정동위원소의 존재비는 지구상에서 일정하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질량을 가진 안정동위원소는 자연에 안정하게 존재하지만 매우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탄소의 경우, ¹²C는 11.4 kg인데 반해 ¹³C는 겨우 137 g에 불과하다. 질소의 경우도 ¹⁴N은 1.3 kg인데 비해 ¹⁵N은 5.1 g 에 불과하다. 가장 가벼운 안정동위원소에 비해 무거운 안정동위원소는 약 0.5 ~ 1% 정도 밖에 없는 셈이다.
분류
안정 동위 원소는 ¹H에서 ²⁰⁸Pb까지 254개가 존재한다. 이중 164개의 동위 원소들은 이론상으로 붕괴할 수 있는 조건이 존재하므로 관측상 안정 동위 원소로 구분되고 있다.
무거운 안정동위원소 표시 방법
이런 작은 비율의 무거운 안정동위원소를 나타내는 방법은 가벼운 안정동위원소에 대한 무거운 안정동위원소의 비를 기준이 되는 표준물질과 대상 물질을 비교하여 천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탄소 안정동위원소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물질은 PDB(Pee Dee Belemnite) 석회암으로 무거운 탄소 동위원소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다. 대상 물질, 즉 시료의 무거운 안정동위원소 비율은 δ(델타) 기호를 써서 나타낸다. 탄소의 경우를 예로 들면, 무거운 탄소 안정동위원소인 ¹³C의 비율, 즉 δ¹³C은
의 식으로 나타낸다. 대부분의 시료에서 무거운 탄소 동위원소의 비율은 기준물질인 PDB 석회암의 값보다 낮으므로, δ¹³C 값은 대부분 음수로 나타난다. 질소 안정동위원소의 기준물질은 대기 질소로 무거운 질소 동위원소의 비율이 매우 낮아 시료의 δ¹⁵N 값은 대부분 양수로 나타난다.
관측상 안정 동위 원소의 붕괴 여부
¹H에서 ⁹²Zr까지의 90개의 안정 동위 원소는 이론상으로 붕괴를 하지 않고 영원히 존재한다. 만약에 양성자가 붕괴된다면 이들도 붕괴를 하겠지만 아직 양성자(¹H )가 붕괴하는 모습이 관측되지 않았고, 어쩌면 양성자는 이론과는 다르게 영원히 존재할 수도 있다. 양성자가 붕괴하지 않는다면 이들 90개의 안정 동위 원소는 영원히 존재하게 된다.
⁹³Nb이상의 핵자수 93개 이상의 동위 원소는 붕괴할 수 있는 조건이 매우 약간이나마 존재하기 때문에 관측상 안정 동위 원소로 구분되고 있다. 하지만 가장 무거운 ²⁰⁸Pb조차도 붕괴되는 모습이 관측되지 않았다. 만약에 이들이 붕괴한다고 해도 반감기가 매우 길기 때문에 먼 미래에도 관측이 불가능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관측상 안정 동위 원소들도 이론과는 다르게 영원히 존재할 수도 있다.
안정 동위원소의 활용
먹이그물 연구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는 양도 상대적으로 풍부해 측정이 쉽고 영양단계를 거치면서 탄소 안정동위원소의 값은 거의 변하지 않는데 비해 질소 안정동위원소의 값은 평균적으로 3.4‰ 씩 증가하는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자연계의 먹이 관계를 나타내는 데 많이 이용된다. 두 가지 다른 먹이를 먹는 포식자의 δ¹³C는 두 먹이의 δ¹³C값 사이에서 먹는 비율에 따라 많이 먹는 쪽으로 치우친다. 따라서 δ¹³C는 포식자의 먹이원을 나타내고, δ¹⁵N값은 포식자의 영양 단계를 나타낸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의 비율로 나타낸 한강 장항습지의 먹이그물. (출처:한국식물학회, 양동우, 참고:Han D, Yang D, Lee EJ 등 (2012) Food web structure in a Salix subfragilis dominated wetland in Hangang estuary using stable isotopes and fatty acid biomarker. Animal Cells and Systems 16: 162-171)
원산지 확인
안정동위원소 활용 분야 중의 하나는 원산지 확인이다. 야외에서 방목하여 목초를 주로 먹은 뉴질랜드산 소의 δ¹³C값이 -24 ~ -28 범위이나 옥수수 사료를 주로 먹는 미국산 소는 δ¹³C값이 -9 ~ -14의 범위를 보여 확연히 구분된다. 한우는 목초와 옥수수 사료를 함께 먹여 뉴질랜드산과 미국산 소의 중간에 위치하는 값을 보인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안정동위원소의 몸 속에서의 반감기는 50 kg 몸무게의 사람의 경우 약 20일 정도이다. 따라서 약 3주 정도면 안정동위원소의 비율이 상당히 변할 수 있다. 매일 먹은 것을 바로 반영하지는 못하지만 몇 주에 걸쳐 먹은 식단에 따라 사람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의 비율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이 안정 동위원소 문서는 원소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산업 : 산업, 산업혁명, 기술, 제조, 기계, 전자제품, 정보통신, 반도체, 화학, 바이오, 건설, 유통, 서비스, 에너지, 전기, 소재, 원소 □■⊕, 환경, 직업, 화폐, 금융, 금융사,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토지
|
|
원소
|
갈륨 • 경수소 • 구리 • 규소 • 금 • 금속 • 금속이온 • 나트륨(소듐) • 나트륨이온 • 납 • 네오디뮴 • 네온 • 니켈 • 동소체 • 동위원소 • 라돈 • 라듐 • 란타넘 • 란타넘족 • 루비듐 • 루테늄 • 리튬 • 리튬메탈 • 리튬이온 • 마그네슘 • 망가니즈(망간) • 바나듐 • 바나듐이온 • 방사성 동위원소 • 백금 • 베릴륨 • 붕소 • 브로민 • 비소 • 비철금속 • 사마륨 • 산소 • 삼중수소 • 세슘 • 셀레늄 • 수소 • 수소이온 • 수은 • 스칸듐 • 아르곤 • 아연 • 아연이온 • 아이오딘(요오드) • 악티늄 • 악티늄족 • 안정 동위원소 • 알루미늄 • 염소 • 오가네손 • 우라늄 • 원소 • 원자 • 은 • 인 • 저마늄(게르마늄) • 전이금속 • 전이후금속 • 전형금속 • 제논 • 족 • 주기 • 주기율표 • 주석 • 준금속 • 중금속 • 중수소 • 지르코늄 • 질소 • 철 • 초우라늄 • 카드뮴 • 칼륨(포타슘) • 칼슘 • 코발트 • 코페르니슘 • 크로뮴(크롬) • 크립톤 • 타이타늄(티타늄) • 탄소 • 탄소-14 • 텅스텐 • 토륨 • 팔라듐 • 플루오린 • 플루토늄 • 할로젠(할로겐) • 핵종 • 헬륨 • 헬륨3 • 황
|
|
화합물
|
LNO • pH • 갈륨비소 • 강 • 강철 • 경수 • 고분자 • 공유결합 • 과산화수소 • 과산화은 • 그래핀 • 금속결합 • 금속산화물 • 뉴세라믹 • 단백질 • 단일결합 • 두랄루민 • 디메틸 카보네이트 • 리간드 • 리튬 니켈 산화물 • 리튬산화물 • 리튬인산철 • 리튬 코발트 산화물 • 리튬 티타늄 산화물 • 메탄올 • 메탈실리콘 • 메테인 • 무기화합물 • 무쇠(주철) • 무수수산화리튬 • 물 • 반응식 • 벤젠 • 분자 • 분자량 • 분자식 • 불소 • 불화리튬(플루오린화 리튬) • 불화수소 • 붕산리튬 • 뷰텐(부틸렌) • 비금속 • 산 • 산성 • 산화물 • 산화은 • 산화제 • 산화철 • 산화칼슘 • 산화코발트 • 삼중결합 • 삼중수 • 상대이온 • 선철 • 설탕 • 세라믹 • 셀룰로이드 • 소금 • 수산화나트륨 • 수산화니켈 • 수산화리튬 • 수산화물 • 수산화아연 • 수산화이온 • 수산화칼륨 • 수산화칼슘 • 수산화코발트 • 수소결합 • 수증기 • 순물질 • 순철 • 실리카(이산화규소) • 실리콘 (규소) • 실험식 • 아미노산 • 아세테이트 • 아세트산 • 아세틸렌 • 아이소프렌(이소프렌) • 아크릴로나이트릴 • 알칼리 • 알칼리성 • 알코올 • 암모니아 • 얼음 • 에탄올 • 에테인 • 에틸렌 • 에틸렌 카보네이트 • 연철 • 염 • 염기 • 염기성 • 염산 • 염화나트륨 • 염화마그네슘 • 염화비닐라이덴 • 염화수소 • 염화칼륨 • 염화칼슘 • 올레핀 • 옹스트롬 • 요소 • 요소수 • 유기화합물 • 유리탄소 (free carbon) • 유리탄소 (glassy carbon) • 이산화망가니즈 • 이산화탄소 • 이산화티타늄 • 이소부틸렌(아이소뷰텐) • 이오노머 • 이온결합 • 이중결합 • 인산 • 인산리튬 • 인산염 • 인산철 • 인조흑연 • 일산화탄소 • 전기화학반응 • 중수 • 증류수 • 질산 • 질산나트륨 • 질산염 • 질산칼륨 • 질화리튬 • 질화물 • 착이온 • 천연흑연 • 청동 • 초분자 • 카르빈 • 카보네이트(탄산염) • 카본블랙 • 킬레이트 • 탄산 • 탄산나트륨 • 탄산리튬 • 탄산에틸렌 • 탄산이온 • 탄산칼륨 • 탄산칼슘 • 탄소강 • 탄소나노튜브 • 탄소화합물 • 탄화규소 • 탄화수소 • 특수강 • 페놀 • 페라이트 • 페로브스카이트 • 폴리부틸렌 • 폴리아미드 • 풀러렌 • 프로포폴 • 프로필렌 • 하이니켈 • 합금 • 홑원소물질 • 화학 • 화학결합 • 화학반응 • 화학반응식 • 화학식 • 화합물 • 환원제 • 황동 • 황산 • 황산니켈 • 황산망간 • 황산코발트 • 황화리튬 • 황화물 • 흑린 • 흑연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