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조호르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호르주(말레이어: Johor)는 말레이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13개 주의 하나이다. [1][2]

개요[편집]

조호르주의 면적은 19,166㎢이며 인구는 3,700,000명(2017년 기준)이며 주도는 조호르바루이다. 조호르바루는 말레이시아 제2의 도시이자 대표적인 무역 중심지이다. 북서쪽으로는 믈라카주느그리슴빌란주, 북쪽으로는 파항주에 접해 있다.

조호르 해협을 사이에 두고, 이웃 나라 싱가포르와 조호르-싱가포르 코즈웨이(Causeway)로 연결되어 있지만, 교통 체증이 심했기 때문에 조호르바루 서쪽 탄중쿠팡(Tanjung Kupang)에서도 싱가포르 서부를 연결하는 다리인 말레이시아-싱가포르 보조 링크가 1998년에 완성되었다. 조호르주는 말레이시아에서는 언제나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다.

싱가포르와 지리적으로 인접해있을 뿐더러, 물가가 싱가포르에 비해 저렴한 편이라 많은 싱가포르인들이 주말을 이용하여 조호르바루에서 쇼핑을 즐기는 추세이다. 싱가포르의 방송과 라디오의 전파가 잡혀서, 대다수의 조호르 사람들은 싱가포르 방송과 라디오의 청취가 가능하다.

말레이시아는 13개 주 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두 개의 큰 지역으로 나뉘는데 11개의 주와 2개의 연방 직할구가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에 있고 2개의 주와 1개의 연방 직할구가 동말레이시아에 있다. 각 주는 시 또는 구역으로 나뉘며, 또다시 소구역(mukim)으로 나뉜다. 사바와 사라왁의 구역들은 분할에 따라 묶인다. 1963년 말레이시아가 신설되었던 당시 총 14개의 주만 있었으나, 1965년 싱가포르가 탈퇴하여 13개로 줄어들었다. 당초 연방 직할구는 없었으나, 1974년 쿠알라룸푸르가 슬랑오르에서 떨어져 나온 것을 시작으로 생겼으며 이후 푸트라자야와 라부안이 신설되었다.

주의 관할은 연방 정부와 주 정부 둘 다인데, 각각 다른 권한을 갖고 있으며 연방 직할구는 연방 정부가 직접 관할한다. 비록 자치법령의 몸체가 연방 정부와 주 정부가 제정하여 중요한 문제들을 처리하지만, 시의회, 구의회, 지방의회 등 하위 관할은 각 지역이 맡는다. 연방 헌법은 연방 직할구 외의 지역 관할을 각 주의 전담관할로 하지만, 실제로는 연방 정부가 각 지역의 부의 내정에 간섭한다. 총 144개의 지역의회가 있는데, 11개는 시의회, 33개는 지방의회, 97개는 구의회이다.

13개의 주 모두 역사 속의 말레이 왕조를 바탕으로 하며,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의 주 11개 중 9개는 말레이 주(또는 이슬람 주)라 하여 고유의 왕실을 두고 있다. 국가원수인 양디-퍼르투안 아공(국왕)은 5년마다 이 9개의 주의 지도자(술탄)가 번갈아가며 선출한다. 이렇게 해서 선출된 왕은 군주제를 시행하지 않는 주에서 각 주수상과의 합의를 거쳐 4년간 업무를 수행할 정부 수반을 임명한다. 각 주에는 주의회로 알려진 단원제 의회가 존재하며, 나름의 주 헌법을 작성한다. [3][4]

자연환경[편집]

말레이반도의 최남단을 차지하며, 동서 양안이 각각 남중국해와 말라카 해협에 면하고, 남쪽은 조호르 수로를 사이에 두고 싱가포르섬과 마주한다. 구릉성 산지가 있지만 지형은 비교적 평탄하다.

믈라카 해협과 남중국해를 따라 400km가량 뻗은 해안선이 싱가포르 공화국의 북쪽 국경과 이웃하며 앞바다에는 작은 섬들이 있다. 큰 습지들과 밀림으로 덮여 있고 대체로 평평한 지대로 이루어져 있지만 중동부 지역에는 900m가 넘는 봉우리들이 솟아 있다.

역사[편집]

1511년 믈라카 왕국이 포르투갈에게 정복된 뒤, 믈라카에서 도망쳐온 술탄 마뭇 샤와 그의 아들 알라우딘 리아얏 샤가 건설한 곳이다. 18세기에 도읍지가 싱가포르 남쪽의 리아우 제도로 옮겨진 뒤 번영을 구가하다가, 네덜란드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쇠퇴했다. 조호르 술탄국의 총독들은 1819년 싱가포르를 할양할 때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았다. 19세기에 영국 세력이 처들어오고, 영국과 네덜란드 사이 이권 분쟁 틈에서 술탄 가문 자체가 내분에 휩싸이며 친영파, 친화란파 사이 정국이 왔다갔다 하다 결국 사이좋게 나라 전체가 분할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이때 생긴 분할은 결국 지금까지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가 갈라서게 된 계기가 되었다.

1830년 이후 중국의 후추와 감비어(카테큐) 재배농민들이 이 평원에 자리잡았고, 몇몇 작은 교역소들이 강을 따라 세워졌다. 1919년 철도가 말레이 반도(말라야)의 주석·고무 생산지대에서 남쪽으로 싱가포르까지 연장되자, 습지로 인해 반도의 나머지 지역과 떨어져 역사적으로 고립되어왔던 조호르는 반도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되면서 경제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제1차 세계대전 뒤 대규모의 고무나무 농장들이 생겼고 주석과 철 광산들이 발견되었다. 텔루크라무니아에서 보크사이트가 채굴된다. 오늘날 조호르는 기름야자 생산으로 유명하며 코코넛(코프라)과 파인애플 농장이 습지평원, 특히 서쪽의 이탄지대에 펼쳐져 있다. 통조림 공장들이 농장 옆에 있다.

처음에는 소위 "조호르-리아우"라고 하여 싱가포르 남부의 리아우 제도까지도 어울러서 부르는 경향이 있었지만 나중에 영국이 들어왔을 때 북부를 차지하였고, 남부는 네덜란드에 남게 되면서 갈라졌다.분단?[4] 이렇게 되면서 영국령은 오늘날 말레이시아 조호르 주로, 네덜란드령은 인도네시아 리아우 제도 주로 계승되었다. 만약 이런 분쟁이 없었다면 리아우 제도는 현재 말레이시아나 싱가포르령 이었을 거란 말이 있다. 곧바로 영국으로 편입되었고 1946년 말라야 연합의 일부로, 이어서 1948년 말라야 연방의 일부로 계승되었으며 1957년 8월 31일 다른 주와 함께 독립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정작 남부의 싱가포르는 제외되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영국이 소위 "자유무역"을 이유로 싱가포르를 제외시킨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는 1963년 신설 말레이시아로 편입되었고, 조호르는 싱가포르의 항구를 통해서 대대적인 항만도시이자 국제적인 곳으로 변화할 희망을 얻을줄 알았는데 2년 뒤 싱가포르가 쫓겨나면서 모두 끝이 났다. 이렇게 되니 조호르는 항만을 통한 무역보다는, 차라리 어마어마한 평지를 이용해서 플랜테이션 농업으로 먹고사는 길을 택한다.

그런데 싱가포르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주 자체가 싱가포르에 흡수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고,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에 자극을 받아 남부 조호르바루를 중심으로 탄중푸트리라는 대규모 신도시를 건설하여 국제적인 곳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리하여 조호르바루는 풀라우피낭 등을 제치고 말레이시아 제2의 도시로 성장하였고 1994년 특별시로 승격되었다.

2015년 조호르 주 이슬람협회가 전자담배를 하람(금지)으로 분류하여, 무슬림들에게 한해 금지되었다. 그러다가 주민들 전체로 금지사항이 확대되었다. 아마도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금지시킨 것으로 보인다.

산업[편집]

조호르의 항만은 수심이 얕기 때문에 무역은 싱가포르 항만 시설에 의존한다. 오늘날 상품의 운반은 주로 주도인 조호르바루를 중심으로 뻗어 있는 도로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조호르바루는 간선 도로를 통해 싱가포르와 이어지며, 싱가포르는 조호르의 테브라우 강(Tebrau River)에서 물을 공급받는다. 조호르는 행정적으로는 말레이시아에 속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싱가포르의 배후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북쪽의 파항주와는 경제적으로 거의 관계가 없다. 조호르바루 외의 다른 주요 도시로는 무아르·바투파핫·메르싱·스가맛 등이 있다.

교통[편집]

이 주의 유일한 공항인 스나이 국제공항이 조호르바루에서 북쪽으로 2~30㎞가량 떨어진 스나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 명실공히 말레이시아 제2 도시의 관문으로서 김해국제공항과 유사한 위상이라지만, 실상은 열악하다. 노선도 몇 개 되지도 않고 크기조차 보면 너무 작다. 이게 말레이시아 제2의 도시의 관문이 맞나가 의심스러울 정도다.

한국에서는 스나이로 가는 직항이 거의 없기 때문에 쿠알라룸푸르나 코타키나발루를 거쳐서 가야 한다. 그래도 싱가포르인들도 비행기값 절약하고자 커다란 공항 놔두고 굳이 스나이 국제공항으로 와서 쿠알라룸푸르나 다른 국가로 출국한다.

교육[편집]

말레이시아공과대학교[편집]

말레이시아공과대학교(UTM)는 말레이시아 조호르주 스쿠다이에 설립된 연구중심 국립 이공계 종합대학교이다. 재학생 수를 기준으로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대학교이며 말레이시아 최고의 대학 중 한 곳으로 평가받는다.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분교가 있다.

UTM은 대학원 중심 대학교로 대학원생의 비율이 전체 재학생의 33%에 이른다. UTM에는 120여 개국에서 온 외국 유학생이 전체 재학생의 약 20%를 차지한다. 2023년 유에스뉴스&월드리포트의 글로벌대학순위에서 세계 379위, 아시아 72위, 말레이시아 2위에 올랐다.

UTM의 기원은 1904년 개교한 기술학교이다. 이 학교는 영국 식민지행정관 윌리엄 트레처 경의 이름을 딴 트레처 기술학교로 불렸으며 말레이연방 철도국과 공공사업부를 위한 기술 보조원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됐다. 1941년 기술학교 자문위원회는 학교를 대학으로 승격시킬 것을 권고하고 새로운 기술대학 건설을 제안했다. 이후 기술대학 건설 계획이 수립됐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보류됐다.

기술대학 설립 초창기에는 토목공학과 기계공학, 전기 및 전파공학 등의 과정을 개설했으며 운송집행관에게는 자동차공학 특강이 제공됐다. 1958/1959 학년도에는 320명의 학생이 입학했다. 1972년 3월 14일 말레이시아 국왕에 의해 케방산공과대학교가 설립됐으며 이전 기술대학 시설을 사용하며 계승했다.

1975년 4월 1일 케방산공과대학교가 국립 말레이시아공과대학교가 됐다. 스쿠다이 캠퍼스는 1978년 건축이 시작됐고 1985년 개교했다. 2012년 1월 8일 말레이시아 고등교육부는 말레이시아공과대학교를 정부로부터 완전한 자율권을 획득한 최초의 말레이시아 대학으로 선언했다. 이를 통해 UTM은 지역 학생 중에서 가장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 효율적인 행정을 위해 경영 대부분을 내부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2017년 5월 2일 UTM의 3번째 분교가 조호르주 파고에 개교했다.[5]

사회[편집]

조호르주는 비말레이계 무슬림이 많은 동네인데 의무적으로 무슬림이어야 하는 말레이인이 52%인데 반해 이 지역의 무슬림의 비율이 58%나 된다. 중국인이 30%이며 그 영향력도 강한 편이다. 그리고 의외로 인도네시아에서 온 불법체류자들도 많다. 이런 점을 보자면 말레이시아판 싱가포르라고 봐도 무방하지만 정작 인구수로는 쿠알라룸프르나 수도권이 중국계가 더 많다.

현지 방언으로는 조호르 방언이 있다. 한국어로 따지면 경상도 방언 정도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오히려 경기도 방언에 해당되는데, 이는 믈라카 방언을 사용하던 이들이 이쪽으로 몰려들면서 생긴 일로 보이기도 한다. 물론 전 지역이 똑같은 방언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조호르바루에서 사용되는 말과 무아르 및 바투파핫에서 사용하는 말이 조금씩 다르다. 서북쪽으로는 느그리슴빌란이 있어 느그리슴빌란 방언의 영향이 크고, 동북쪽으로는 파항이 있으며 파항 방언의 영향이 다소 있다.

안타깝게도 이 방언은 온전한 방언을 듣기가 어려운게, 근래에는 조호르 사람들이 쿠알라룸푸르로 상경하거나 돈 좀 있는 사람들은 인접한 싱가포르로 가서 유학하다 보니 주민들이 여기저기 흩어지고, 이들이 다시 돌아올 때는 이미 말투가 쿠알라룸푸르나 싱가포르 사람들처럼 변해있다보니 고유의 방언이 유지되지 못하는 것이다. 게다가 오늘날 수도권에서 쓰이는 말이 매체를 통해 전국적으로 사용되는 추세이고, 애당초 조호르 자체가 싱가포르 때문에 발전한 점을 보면 싱가포르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영향이 너무 커, 쿠알라룸푸르나 싱가포르 말씨의 영향이 커지는 수밖에 없다.

영어를 주로 사용하는 싱가포르의 영향이 세고 싱가포르 사람들이 주말만 되면 쇼핑하러, 방학만 되면 놀러오다 보니 영어가 전국적으로 통용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소위 "맹글리시"라고 불리는 말레이시아식 영어가 종종 사용되지만, 여기서만은 맹글리시보다 싱가포르식 영어인 싱글리시가 주로 사용된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조호르주〉, 《위키백과》
  2. 조호르〉, 《나무위키》
  3. 말레이시아〉, 《위키백과》
  4. 두산백과: 조호르주〉, 《네이버 지식백과》
  5. 세계의 대학: 말레이시아공과대학교〉,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남아시아 국가
동남아시아 도시
동남아시아 지리
동남아시아 바다
동남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조호르주 문서는 동남아시아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