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SM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세대 (LFD)) |
잔글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5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SM6.jpg|300픽셀|오른쪽|썸네일|'''SM6 ''']] | + | [[파일:SM6.jpg|300픽셀|오른쪽|썸네일|'''르노 SM6 '''(Renault SM6)]] |
[[파일:르노삼성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르노삼성자동차㈜]]'''(Renault Samsung Motors)]] | [[파일:르노삼성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르노삼성자동차㈜]]'''(Renault Samsung Motors)]] | ||
− | '''SM6'''는 '''[[르노삼성자동차㈜]]'''(Renault Samsung Motors)가 2016년 | + | '''르노 SM6'''(Renault SM6, 르노 에스엠식스)는 '''[[르노삼성자동차㈜]]'''(Renault Samsung Motors)가 2016년 3월 1일에 공식 출시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이다. '''르노삼성 SM6'''라고도 부른다. 차명은 르노삼성자동차(Samsung Motors)를 의미하는 'SM'에 SM5와 SM7의 중간급을 상징하는 숫자 6을 결합한 것이다. 르노와 르노삼성자동차가 공동 개발했으며, QM3와는 달리 부산 공장에서 생산되어 대한민국에서는 국산차로 분류되고 있다. |
+ | {{:자동차 배너|유럽}} | ||
+ | == 개요 == | ||
+ | 르노 SM6는 [[르노그룹]]에서 자사의 중형차종인 [[르노 SM5]]와 [[르노 라구나]](SM5 L43)를 대체할 후속 모델로서 개발되었다. 하지만, 4세대인 SM5 대신 SM6으로 차명이 결정되었고 SM6는 유럽에서 르노 탈리스만을 판매명으로 불리운다. SM6 차량의 설계는 한국의 르노삼성자동차㈜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판매량 역시 한국에서 SM6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단, 플랫폼 자체를 기존 르노 닛산 얼라이언스의 공용 플랫폼인 CMF-CD을 사용하고 있다. 같은 계열사에서 하나의 프레임을 공유하는 것은 단순한 트렌드 차원을 넘어서 기업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요소가 되었기 때문에 르노 본사의 플랫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공유 플랫폼을 사용해서 르노본사 주도로 차를 개발한 것은 아니다. 르노 그룹은 원래 유럽에서 소형차를 생산하는 회사이고, 중형차는 한국의 르노삼성의 SM5가 그나마 팔릴 뿐 그 이외에는 그다지 좋은 판매량을 보이지 않았다. SM6 역시 한국 시장의 SM5 후속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었고, 실제로 그룹 내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대부분 한국의 르노삼성에서 설계되었다. SM6는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에서 '2017년 올해의 차' 및 '올해의 디자인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으며 SK엔카의 소비자 설문 조사 결과 국산차 부분에서 '내가 뽑은 올해의 차'로도 선정되었다.<ref name=나무위키>르노삼성 SM6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A5%B4%EB%85%B8%EC%82%BC%EC%84%B1%20SM6</ref> | ||
− | + | 르노 SM6의 형제 차인 [[르노 탈리스만]]에는 [[왜건]] 사양이 있지만, SM6는 대한민국 시장에서 왜건 모델이 인기가 낮아 세단 사양만 존재한다. 동급 경쟁 차량으로는 [[현대 쏘나타]], [[쉐보레 말리부]], [[기아 K5]], [[폭스바겐 파사트]], [[혼다 어코드]], [[토요타 캠리]], [[닛산 알티마]], [[포드 몬데오]] 등이 있다.<ref name=위키백과>르노삼성 SM6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A5%B4%EB%85%B8%EC%82%BC%EC%84%B1_SM6</ref> | |
− | |||
== 주요 모델 == | == 주요 모델 == | ||
=== 1세대 (LFD) === | === 1세대 (LFD) === | ||
− | + | 2016년 1월 13일, SM6는 기자 간담회를 통하여 언론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2016년 3월 1일에 정식 출시했다.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취향과 도로 환경을 반영하여 기반이 된 탈리스만과 차별화 되는 파워트레인과 인테리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운전의 재미를 극대화한 멀티 센스 시스템은 스티어링 답력과 엔진 및 트랜스미션의 응답성 등 주행 감각은 물론 엔진 사운드와 실내 라이팅, 시트 마사지 기능 등 감성적인 부문에도 관여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차량 특성과 분위기를 고를 수 있다. 나만의 차로 세팅할 수 있는 운전자별 프로파일 설정, 5가지 색상의 앰비언트 라이팅, 8.7인치 에스링크(S-Link) 시스템 등이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적용되었고, 풀 LED 헤드 램프를 비롯하여 19인치 알루미늄 휠, 헤드 업 디스플레이 등이 중형차 최초로 적용되는 등 편의성과 고급감을 높였다. 2016년 8월 1일에는 QM3와 SM3에 장착되는 유로 6 배기 가스 기준에 충족하는 1.5ℓ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 1ℓ의 연료로 17.0km(16/17인치 휠 장착 사양 복합 연비 기준)까지 달릴 수 있는 높은 연비와 배기량이 1,461cc라 소형차로 분류되는 이점을 통하여 경제성을 내세우고 있다. 2017년에는 애머시스트 블랙, 2018년에 브로드 레드 색상이 추가되었다. 동시에 2.0L 엔진에 프라임 트림이 추가되었으며, 기존 SM5의 2.0리터 엔진을 갖고 온 트림이다. 2019년에는 1.5 디젤 모델의 생산을 중단했으며, 2019년 4월에 LPG 차량의 일반인 판매가 전면 허용되자 SM7과 더불어 2.0 LPG의 일반인 판매를 시작했다. 2.0 LPG 엔진은 SM5의 엔진을 그대로 이용한다. SM6는 1세대 출시 이후에 2020년 9월까지 국내시장에서 총 14만5,000여 대가 판매되었다.<ref name=위키백과></ref> | |
− | |||
− | |||
− | 2017년에는 애머시스트 블랙, 2018년에 브로드 레드 색상이 추가되었다. 동시에 2.0L 엔진에 프라임 트림이 추가되었으며, 기존 SM5의 2.0리터 엔진을 갖고 온 트림이다. | ||
− | + | ====SM6 2019==== | |
+ | 2018년 3월 4일, 르노삼성자동차㈜가 2019년 형 SM6를 출시했다. 2017년부터 현대자동차㈜의 쏘나타 뉴 라이즈와 더 뉴 K5의 판매율과 SM6의 품질 문제로 판매량이 K5에 비해 크게 떨어져 성능 향상을 통해 탄생한 차량이 2019년 형 SM6이다. 2019년형 SM6는 모든 트림에 차음 윈드쉴드 글라스와 자외선 차단 윈드쉴드 글라스를 적용했다. 그리고 18인치 투톤 알로이휠도 새로 디자인했으며, 보조 제동등도 LED 갯수를 8개로 늘렸다. 색상은 와인색인 보르도 레드 컬러가 추가됐다.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트렁크 하단에 발을 넣었다 빼면 트렁크 리드가 열리는 매직트렁크, 하이패스 등의 편의 기능도 탑재되었다. SE 트림에는 열선 스티어링 휠이 추가되고 뒷좌석에도 열선 기능을 넣었다. LE 트림은 차량 내 세균과 유해물질을 제거해 공기를 정화해주는 이오나이저 기능과 3차원(D) 타입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기본 적용됐다. LE 트림에는 시에나 브라운 컬러 인테리어가 추가됐다. 그 중 최상위 모델인 RE 트림에는 LED 퓨어비전 헤드램프, 스티어링 휠과 연동하는 LED 안개등이 기본 장착되었고 기존 RE 트림에만 실렸던 고급옵션도 LE와 SE트림에서 선택 가능하다. LED 퓨어비전 헤드램프, 19인치 휠과 노면 감쇄력을 제어하는 액티브 댐핑 컨트롤(ADC)기능, 사각지대 경보 시스템(BSW), 주차 조향보조 시스템(EPA)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랙 타입 스티어링휠 보조장치(R-EPS)를 사용해 조향 때 이질감이 적고,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등도 적용됐다. 디젤모델인 1.5 dCi는 복합연비가 ℓ당 17㎞정도이다.<ref>김준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3041331001 르노삼성차 상품성 높인 2019년형 SM6 판매]》, 《경향신문》, 2018-03-04</ref> 2019년 형 SM6이 출시된 3월에 중형차 시장 점유율 7%를 기록하였지만 2018년 2월 대비 1450여 대를 더 판매해 중형차 시장 점유율을 13%까지 대폭 끌어올리며 기대를 모았던 것에 비해 2018년 4월부터 다시 실적이 떨어지며 2018년 06월에는 점유율이 11%대로 떨어졌다. 2019년 9월에는 979대로 월 1,000대까지 떨어졌다. 2019년 10월에도 1,443대에 그쳤으며, 2019년 11월에는 프라임 모델의 단종으로 인해 975대로 급감했다. 2019년 12월에는 1,719대로 상승했지만 역시 2천대를 넘기지는 못했다. 하지만, 2020년 1월에는 1.6리터 가솔린 터보인 TCe 190 모델의 단종 영향으로 단 669대만 판매되었고, 2020년 2월에는 731대만이 판매되는데 그쳤으며, 2020년 3월에는 1,147대로 회복하나 싶더니 2020년 4월에는 757대, 2020년 5월에는 740대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ref name=나무위키></ref> | ||
− | === | + | ====더 뉴 SM6==== |
− | + | 2020년 7월 15일에 새롭게 출시된, 2020년 형 더 뉴 SM6(The New SM6)는 고객의 니즈에 맞춰 업그레이드되었다. 이에 따라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주요 편의사양이 기본적용되었으며 가격은 30만원에서 50만원까지 인하해 고객 혜택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기존의 Tce 모델의 스포츠 주행 감성을 높이며 르노그룹의 고성능 브랜드 알핀과 르노 RS 모델에 탑재된 Tce 300엔진을 장착해 스포츠 주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더 뉴 SM6의 내부 디자인은 모든 트림의 기어노브 데코가 변경되었고 SE 트림에는 LED 룸램프가 장착되었다. 라이트 그레이 나파 가죽시트와 뒷좌석 프레스티지 헤드레스트, 전용 로즈우드 그레인으로 감성 디자인에 변화를 주었다. LE 트림은 다이아몬드 패턴의 그레인을 적용했다. 그리고 운전피로도 경보 시스템과 안드로이드 오토 사양을 새롭게 추가하였으며 RE 트림은 블랙 헤드라이닝을 추가하였다. LE 와 RE 트림은 18인치 투톤 알로이휠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스포티 패키지인 S-Look은 블랙 사이드미러 커버와 19인치 블랙 알로이 휠, 일체형 알로이 스포츠 페달로 구성되어 있다. S-Look은 5개 모드와 8개 시스템 등의 멀티센스 기능을 통해 다양한 주행 모드의 제공이 가능하다. 게다가 최상위 트림인 [[프리미에르]](PREMIERE)를 추가하였다. SM6의 외부 디자인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사이드 엠블리셔에 전용 로고를 적용했으며 19인치 투톤 전용 알로이 휠을 장착했으며 에스링크를 탑재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프리미에르 고객을 위한 전용 프리미엄 멤버십 서비스로 3년 내 왕복 2회에 한해 차량 정비와 점검 시 픽업과 딜리버리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의 영업본부장인 김태준은 "2020년형 SM6는 고객 선호도가 높은 사양은 추가해 가치를 높이면서 불필요한 사양을 제외해 가격을 내렸다"라며 "S-Look 패키지와 프리미에르 트림을 추가해 고객의 선택 폭도 확대했다"라고 말했다.<ref>윤경현 기자,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0110311253641536 (시승기)르노삼성 ‘역작’ SM6, 품질 자신감···韓 대표 세단 명맥 잇다]〉, 《뉴스웨이》, 2020-11-03</ref><ref>정치연 기자, 〈[https://www.etnews.com/20190715000105 르노삼성차 "거품 싹 걷어냈다" '2020년형 SM6' 출시]》, 《전자신문》, 2019-07-15</ref> | |
− | |||
== 주요 기능 == | == 주요 기능 == | ||
− | + | === 선진주행보조시스템 === | |
− | + | 선진주행보조시스템(ADAS)은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상황 가운데 일부를 차량 스스로 인지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복잡한 차량 제어 프로세스에서 운전자를 돕고 보완이 가능하다. 이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객체와 차량 환경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는 것과 안정적으로 교통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충돌 위험시 운전자가 제동장치를 밟지 않아도 스스로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는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AEB)과 차선 이탈 시 주행 방향을 조절해 차선을 유지하는 주행 조향보조 시스템(LKAS), 사전에 정해 놓은 속도로 달리면서도 앞차와 간격을 알아서 유지하는 어드밴스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사각지대 충돌 위험을 감지해 안전한 차로 변경을 돕는 후측방 충돌 회피 지원 시스템(ABSD) 그리고 차량 주변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AVM)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선진주행보조시스템의 핵심은 ASCC인데 이 기술은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로 자동 운행하며 차량 전방에 장착된 레이더 센서를 이용해 차간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 적정 차간거리를 유지한다. 그리고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은 ASCC와 함께 선진주행보조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기술이다. 차량 전방 카메라 센서와 레이더 센서로 전방 차량이나 보행자를 감지,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긴급 제동해 준다. 또한 주행 조향보조 시스템은 졸음운전이나 운전 미숙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시스템이다. 운전자가 방향지시 등 조작 없이 차로를 이탈하면 자동으로 핸들을 조향해 차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후측방 충돌 회피 지원 시스템은 후측방 사각지대 차량을 감지해 사이드미러에 경보등을 켜주는 것에서 나아가 운전자가 사각지대 차량을 보지 못하고 차로를 변경하려 하면 이를 제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따라서 이 기술들을 통해 궁극으로는 자율주행 기술을 완성할 수 있으며 2020년을 중심으로 AEB 등 ADAS 장착 비율은 선진 자동차 시장을 위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2021년 이후에는 고속도로에서 레벨2 이상의 자율주행이 유럽과 미국, 일본, 한국 등의 주요 자동차 제조사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 시장의 규모가 2017년 대비 3.3배 증가한 2조 9958억 5500만엔 으로 한국 돈 약 30조 1164억원 가량으로 증가할 전망이다.<ref>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166&cid=59277&categoryId=59283</ref><ref>박진우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03/2018070303448.html ADAS·자율주행 센서 시장 2030년 32조9000억원으로 성장]〉, 《조선비즈》, 2018-07-03</ref> | |
− | * ''' | + | * '''에스링크 시스템'''(S-Link system) |
− | : | + | : 에스링크 시스템 옵션은 8.7인치 대형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장착해 차의 모든 기능을 터치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 | + | === 헤드업디스플레이 === | |
− | + | 헤드업디스플레이(HUD)는 차량의 속도와 연료 잔량 그리고 길 안내 정보 등을 운전자 바로 앞의 유리창에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다. 1960년대 항공기에 처음 적용됐고, 2010년대 들어 자동차로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다. 별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프로젝터용 레이저 구동 칩, 화면 확대용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자동차 제조사 중에서는 독일의 [[비엠더블유]](BMW)가 2003년에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후 독일의 [[아우디]](AUDI), 일본의 [[도요타]](TOYOTA) 등이 이를 적용한 자동차를 선보였다. 국내의 경우 2012년에 기아자동차㈜(KIA Motors)가 K9에 처음으로 적용시켰다. 헤드업디스플레이는 LED 타입이나 TFT-LCD 타입, 프로젝터 타입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현대자동차㈜는 2015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CES)에서 첨단 자동차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이 중 차세대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시스템을 넣은 신형 쏘나타와 증강현실(AR) HUD를 적용한 제네시스가 눈길을 끌었다. 증강현실 HUD는 운전 시 필요한 정보가 전면 유리 창에 3차원(3D) 이미지로 구현됐다. 기존보다 크기가 약 4배, 해상도는 6배 가량 좋아졌다. 당시 CES에서는 새로운 자동차 기술도 대거 소개됐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더 뉴 C클래스에 한층 진화된 HUD를 장착했다. 운전자 전방 유리창에 주행 속도, 내비게이션 등의 정보를 띄우는 것은 물론, 운전자 눈높이에 맞춰 화면 높낮이가 자동 조절된다. 자동차가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는 유리창에 뜨는 디스플레이의 높이도 시선을 따라 조절된다. 시장조사기관 테크사이 리서치(TechSci Research)는 헤드업디스플레이시장이 2020년 5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방위 부문의 경우 전투기, 헬리콥터, 장갑차 등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고급차 탑재 증가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저가 자동차 시장에서도 순정형 또는 애프터마켓(Aftermarket)에 출시된 제품을 통해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ref>헤드업 디스플레이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191&cid=59277&categoryId=59283</ref> | |
− | + | === 장치 및 컨트롤 === | |
− | + | 4륜 조향 장치(4WS)는 차량의 조정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앞뒤 4바퀴가 모두 조향되도록 한 장치로, 저속에서는 역위상으로 하여 최소 회전 반지름을 감소시키고, 고속에서는 동위상으로 하여 차량의 운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4륜 조향 장치를 탑재한 차량은 안정감이 있고, 선회 성능이 우수하며, 최소 회전 반지름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이 장치를 도입한 SM6는 후륜에 토션 빔 서스펜션을 쓰고도 핸들링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국내의 사양에는 탑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SM6의 액티브 댐핑 컨트롤(ADC)은 주행모드에 따라 댐퍼 세팅이 변화되며, 센서 정보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주행 상황의 분석이 가능하다. 서스팬션 댐퍼 내의 오일 흐름제어를 통해서 승차감을 개선하고 노면 접지력을 향상시켜 주행감과 승차감을 더 높여주는 기능이다. 따라서, 방지턱이 없는 자동차 전용 도로나 고속도로에서는 이 기능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요철이나 방지턱이 많은 구간에서 큰 효율성을 보인다.<ref name=나무위키></ref> | |
− | + | == 제원 == | |
− | + | :{|class=wikitable width=1120 | |
+ | |+<big>'''더 뉴 SM6'''</big> | ||
+ | !align=center width=10%|구분 | ||
+ | !align=center|TCe 260 SE | ||
+ | !align=center|TCe 260 SE Plus | ||
+ | !align=center|TCe 260 LE | ||
+ | !align=center|TCe 260 RE | ||
+ | !align=center|TCe 260<br>PREMIERE | ||
+ | !align=center|TCe 300 LE | ||
+ | !align=center|TCe 300<br>PREMIERE | ||
+ | |- | ||
+ | |align=center|가격 | ||
+ | |align=center|24,500,000 ~<br>24,950,000만원 | ||
+ | |align=center|26,810,000 ~<br>27,300,000만원 | ||
+ | |align=center|28,960,000 ~<br>29,500,000만원 | ||
+ | |align=center|31,120,000 ~<br>31,700,000만원 | ||
+ | |align=center|32,650,000 ~<br>33,250,000만원 | ||
+ | |align=center|30,730,000 ~<br>31,300,000만원 | ||
+ | |align=center|34,220,000 ~<br>34,850,000만원 | ||
+ | |- | ||
+ | |align=center|엔진형식 | ||
+ | |align=center colspan=7|터보 직분사 가솔린 | ||
+ | |- | ||
+ | |align=center|배기량 | ||
+ | |align=center colspan=5|1,332cc | ||
+ | |align=center colspan=2|1,798cc | ||
+ | |- | ||
+ | |align=center|최고출력 | ||
+ | |align=center colspan=5|156ps/5,500rpm | ||
+ | |align=center colspan=2|1225ps/5,600rpm | ||
+ | |- | ||
+ | |align=center|최대토크 | ||
+ | |align=center colspan=5|26.5kg.m/2,250 ~ 3,000rpm | ||
+ | |align=center colspan=2|30.6kg.m/2,000 ~ 4,800rpm | ||
+ | |- | ||
+ | |align=center|복합연비 | ||
+ | |align=center colspan=2|13.6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13.3km/ℓ | ||
+ | |align=center|12.9km/ℓ | ||
+ | |align=center|11.8km/ℓ | ||
+ | |align=center|11.6km/ℓ | ||
+ | |- | ||
+ | |align=center|도심 | ||
+ | |align=center colspan=2|12.1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11.9km/ℓ | ||
+ | |align=center|11.4km/ℓ | ||
+ | |align=center|10.5km/ℓ | ||
+ | |align=center|10.2km/ℓ | ||
+ | |- | ||
+ | |align=center|고속도로 | ||
+ | |align=center colspan=2|16.0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15.7km/ℓ | ||
+ | |align=center|15.2km/ℓ | ||
+ | |align=center|13.7km/ℓ | ||
+ | |align=center|13.9km/ℓ | ||
+ | |} | ||
− | + | :{|class=wikitable width=1120 | |
− | : | + | !align=center width=10%|구분 |
+ | !align=center|2.0 LPe SE | ||
+ | !align=center|2.0 LPe SE Plus<br>(과세) | ||
+ | !align=center|2.0 LPe LE<br>(과세) | ||
+ | !align=center|2.0 LPe RE<br>(과세) | ||
+ | !align=center|2.0 LPe SE<br>(면세) | ||
+ | !align=center|2.0 LPe SE Plus<br>(면세) | ||
+ | !align=center|2.0 LPe LE<br>(면세) | ||
+ | !align=center|2.0 LPe RE<br>(면세) | ||
+ | |- | ||
+ | |align=center|가격 | ||
+ | |align=center|24,010,000 ~ 24,450,000만원 | ||
+ | |align=center|26,310,000 ~ 26,800,000만원 | ||
+ | |align=center|28,470,000 ~ 29,000,000만원 | ||
+ | |align=center|30,490,000 ~ 31,050,000만원 | ||
+ | |align=center|22,965,088 ~ 24,450,000만원 | ||
+ | |align=center|25,164,992 ~ 26,800,000만원 | ||
+ | |align=center|27,230,989 ~ 29,000,000만원 | ||
+ | |align=center|29,163,079 ~ 31,050,000만원 | ||
+ | |- | ||
+ | |align=center|엔진형식 | ||
+ | |align=center colspan=8|LPG 액상 분사 | ||
+ | |- | ||
+ | |align=center|배기량 | ||
+ | |align=center colspan=8|1,998cc | ||
+ | |- | ||
+ | |align=center|최고출력 | ||
+ | |align=center colspan=8|140ps/6,000rpm | ||
+ | |- | ||
+ | |align=center|최대토크 | ||
+ | |align=center colspan=8|19.7kg.m/3,700rpm | ||
+ | |- | ||
+ | |align=center|복합연비 | ||
+ | |align=center colspan=2|9.5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9.4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9.5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9.4km/ℓ | ||
+ | |- | ||
+ | |align=center|도심 | ||
+ | |align=center colspan=2|8.5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8.4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8.5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8.4km/ℓ | ||
+ | |- | ||
+ | |align=center|고속도로 | ||
+ | |align=center colspan=2|11.0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10.9km/ℓ | ||
+ | |align=center|11.0km/ℓ | ||
+ | |align=center|11.0km/ℓ | ||
+ | |align=center colspan=2|10.9km/ℓ | ||
+ | |}<ref>르노삼성자동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renaultsamsungm.com/new/main/main.jsp</ref> | ||
== 논란 == | == 논란 == | ||
− | + | 2016년, 르노삼성자동차㈜가 SM6의 서스펜션 논란으로 주목받았다. 서스펜션은 바퀴와 차체를 연결하는 장치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차체와 따로 움질일수록 충격을 잘 흡수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따로 움지이는 것이 과할 경우 주행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업계에서는 이를 조율하고자 노력한다. 서스펜션은 토션빔 방식과 멀티링크 방식으로 나눠지는데 토션빔은 뒷바퀴 두개를 하나의 빔으로 묶은 것을 뜻한다. 그리고 멀티링크는 각각의 바퀴를 독자적으로 차체와 결합한 것을 뜻한다. 결론적으로는 멀티링크의 승차감이 토션빔보다 높으며 고급차에 주로 사용된다. SM6가 고급 중형 세단을 표방하는데 반해 원가절감을 위해 저가형 자동차에 주로 사용되는 토션빔 방식을 리어 서스펜션에 적용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르노삼성은 SM6의 리어 서스펜션의 경우 일반적인 저가형 서스펜션과 달리 자체 특허기술까지 적용해 개량한 것으로, 고급차의 서스펜션과 다를 바 없다고 반박했다. 르노삼성의 SM6는 LFD-D 플랫폼의 개발 조건때문에 후륜에 토션빔 서스펜션을 사용한 것인데 이에 논란이 더욱 거세지자 르노삼성자동차㈜의 관계자는 "통합 플랫폼 개발 과정에서 토션빔을 채택했고 국내에는 승차감 개선을 위해 토션빔을 개량한 어댑티브 모션 링크(AM LINK) 서스펜션을 적용했다"라고 밝혔다. 또한, 르노삼성자동차의 부사장인 박동훈은 2016년 1월 13일에 충남 태안군 한서대학교 비행교육원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서스펜션 논란은 사실 어느 정도 예상은 하고 있었다"며 "경쟁사가 의도를 가지고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중형차 이상에는 승차감에 장점을 가진 고가의 멀티링크 서스펜션, 준중형차 이하에는 핸들링에 장점이 있는 저가의 토션빔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SM6 후륜에 도입된 토션빔 방식이 통상적으로 성능보다는 가격이 중요한 경차나 준중형에 많이 쓰이는 만큼 고급 중형 세단의 이미지를 담은 SM6와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었다.<ref>이다일 기자,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221 르노삼성 SM6 서스펜션 논란..토션빔은 멀티링크보다 나쁘다?]》, 《M오토데일리》, 2016-01-13</ref><ref>노병우 기자,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325732 'SM6 서스펜션 논란' 속 타는 르노삼성]》, 《프라임경제》, 2016-01-14</ref> | |
− | |||
{{각주}} | {{각주}}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 르노삼성자동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renaultsamsungm.com/new/main/main.jsp | ||
*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166&cid=59277&categoryId=59283 | *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166&cid=59277&categoryId=59283 | ||
* 박진우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03/2018070303448.html ADAS·자율주행 센서 시장 2030년 32조9000억원으로 성장]〉, 《조선비즈》, 2018-07-03 | * 박진우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03/2018070303448.html ADAS·자율주행 센서 시장 2030년 32조9000억원으로 성장]〉, 《조선비즈》, 2018-07-03 | ||
52번째 줄: | 156번째 줄: | ||
* 르노삼성 SM6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A5%B4%EB%85%B8%EC%82%BC%EC%84%B1%20SM6#s-2.1.2 | * 르노삼성 SM6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A5%B4%EB%85%B8%EC%82%BC%EC%84%B1%20SM6#s-2.1.2 | ||
* 르노삼성 SM6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A5%B4%EB%85%B8%EC%82%BC%EC%84%B1_SM6 | * 르노삼성 SM6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A5%B4%EB%85%B8%EC%82%BC%EC%84%B1_SM6 | ||
+ | * 윤경현 기자,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0110311253641536 (시승기)르노삼성 ‘역작’ SM6, 품질 자신감···韓 대표 세단 명맥 잇다]〉, 《뉴스웨이》, 2020-11-03 | ||
+ | * 정치연 기자, 〈[https://www.etnews.com/20190715000105 르노삼성차 "거품 싹 걷어냈다" '2020년형 SM6' 출시]》, 《전자신문》, 2019-07-15 | ||
+ | * 김준 기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3041331001 르노삼성차 상품성 높인 2019년형 SM6 판매]》, 《경향신문》, 2018-03-04 | ||
+ | * 이다일 기자,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221 르노삼성 SM6 서스펜션 논란..토션빔은 멀티링크보다 나쁘다?]》, 《M오토데일리》, 2016-01-13 | ||
+ | * 노병우 기자,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325732 'SM6 서스펜션 논란' 속 타는 르노삼성]》, 《프라임경제》, 2016-01-14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 | * | + | * [[르노삼성자동차㈜]] |
− | + | * [[르노 SM5]] | |
− | + | * [[르노 탈리스만]] | |
− | |||
− | {{ | + | {{유럽 자동차|검토 필요}} |
− |
2023년 3월 11일 (토) 19:05 기준 최신판
르노 SM6(Renault SM6, 르노 에스엠식스)는 르노삼성자동차㈜(Renault Samsung Motors)가 2016년 3월 1일에 공식 출시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이다. 르노삼성 SM6라고도 부른다. 차명은 르노삼성자동차(Samsung Motors)를 의미하는 'SM'에 SM5와 SM7의 중간급을 상징하는 숫자 6을 결합한 것이다. 르노와 르노삼성자동차가 공동 개발했으며, QM3와는 달리 부산 공장에서 생산되어 대한민국에서는 국산차로 분류되고 있다.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
목차
개요[편집]
르노 SM6는 르노그룹에서 자사의 중형차종인 르노 SM5와 르노 라구나(SM5 L43)를 대체할 후속 모델로서 개발되었다. 하지만, 4세대인 SM5 대신 SM6으로 차명이 결정되었고 SM6는 유럽에서 르노 탈리스만을 판매명으로 불리운다. SM6 차량의 설계는 한국의 르노삼성자동차㈜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판매량 역시 한국에서 SM6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단, 플랫폼 자체를 기존 르노 닛산 얼라이언스의 공용 플랫폼인 CMF-CD을 사용하고 있다. 같은 계열사에서 하나의 프레임을 공유하는 것은 단순한 트렌드 차원을 넘어서 기업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요소가 되었기 때문에 르노 본사의 플랫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공유 플랫폼을 사용해서 르노본사 주도로 차를 개발한 것은 아니다. 르노 그룹은 원래 유럽에서 소형차를 생산하는 회사이고, 중형차는 한국의 르노삼성의 SM5가 그나마 팔릴 뿐 그 이외에는 그다지 좋은 판매량을 보이지 않았다. SM6 역시 한국 시장의 SM5 후속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었고, 실제로 그룹 내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대부분 한국의 르노삼성에서 설계되었다. SM6는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에서 '2017년 올해의 차' 및 '올해의 디자인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으며 SK엔카의 소비자 설문 조사 결과 국산차 부분에서 '내가 뽑은 올해의 차'로도 선정되었다.[1]
르노 SM6의 형제 차인 르노 탈리스만에는 왜건 사양이 있지만, SM6는 대한민국 시장에서 왜건 모델이 인기가 낮아 세단 사양만 존재한다. 동급 경쟁 차량으로는 현대 쏘나타, 쉐보레 말리부, 기아 K5, 폭스바겐 파사트, 혼다 어코드, 토요타 캠리, 닛산 알티마, 포드 몬데오 등이 있다.[2]
주요 모델[편집]
1세대 (LFD)[편집]
2016년 1월 13일, SM6는 기자 간담회를 통하여 언론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2016년 3월 1일에 정식 출시했다.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취향과 도로 환경을 반영하여 기반이 된 탈리스만과 차별화 되는 파워트레인과 인테리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운전의 재미를 극대화한 멀티 센스 시스템은 스티어링 답력과 엔진 및 트랜스미션의 응답성 등 주행 감각은 물론 엔진 사운드와 실내 라이팅, 시트 마사지 기능 등 감성적인 부문에도 관여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차량 특성과 분위기를 고를 수 있다. 나만의 차로 세팅할 수 있는 운전자별 프로파일 설정, 5가지 색상의 앰비언트 라이팅, 8.7인치 에스링크(S-Link) 시스템 등이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적용되었고, 풀 LED 헤드 램프를 비롯하여 19인치 알루미늄 휠, 헤드 업 디스플레이 등이 중형차 최초로 적용되는 등 편의성과 고급감을 높였다. 2016년 8월 1일에는 QM3와 SM3에 장착되는 유로 6 배기 가스 기준에 충족하는 1.5ℓ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 1ℓ의 연료로 17.0km(16/17인치 휠 장착 사양 복합 연비 기준)까지 달릴 수 있는 높은 연비와 배기량이 1,461cc라 소형차로 분류되는 이점을 통하여 경제성을 내세우고 있다. 2017년에는 애머시스트 블랙, 2018년에 브로드 레드 색상이 추가되었다. 동시에 2.0L 엔진에 프라임 트림이 추가되었으며, 기존 SM5의 2.0리터 엔진을 갖고 온 트림이다. 2019년에는 1.5 디젤 모델의 생산을 중단했으며, 2019년 4월에 LPG 차량의 일반인 판매가 전면 허용되자 SM7과 더불어 2.0 LPG의 일반인 판매를 시작했다. 2.0 LPG 엔진은 SM5의 엔진을 그대로 이용한다. SM6는 1세대 출시 이후에 2020년 9월까지 국내시장에서 총 14만5,000여 대가 판매되었다.[2]
SM6 2019[편집]
2018년 3월 4일, 르노삼성자동차㈜가 2019년 형 SM6를 출시했다. 2017년부터 현대자동차㈜의 쏘나타 뉴 라이즈와 더 뉴 K5의 판매율과 SM6의 품질 문제로 판매량이 K5에 비해 크게 떨어져 성능 향상을 통해 탄생한 차량이 2019년 형 SM6이다. 2019년형 SM6는 모든 트림에 차음 윈드쉴드 글라스와 자외선 차단 윈드쉴드 글라스를 적용했다. 그리고 18인치 투톤 알로이휠도 새로 디자인했으며, 보조 제동등도 LED 갯수를 8개로 늘렸다. 색상은 와인색인 보르도 레드 컬러가 추가됐다.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트렁크 하단에 발을 넣었다 빼면 트렁크 리드가 열리는 매직트렁크, 하이패스 등의 편의 기능도 탑재되었다. SE 트림에는 열선 스티어링 휠이 추가되고 뒷좌석에도 열선 기능을 넣었다. LE 트림은 차량 내 세균과 유해물질을 제거해 공기를 정화해주는 이오나이저 기능과 3차원(D) 타입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기본 적용됐다. LE 트림에는 시에나 브라운 컬러 인테리어가 추가됐다. 그 중 최상위 모델인 RE 트림에는 LED 퓨어비전 헤드램프, 스티어링 휠과 연동하는 LED 안개등이 기본 장착되었고 기존 RE 트림에만 실렸던 고급옵션도 LE와 SE트림에서 선택 가능하다. LED 퓨어비전 헤드램프, 19인치 휠과 노면 감쇄력을 제어하는 액티브 댐핑 컨트롤(ADC)기능, 사각지대 경보 시스템(BSW), 주차 조향보조 시스템(EPA)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랙 타입 스티어링휠 보조장치(R-EPS)를 사용해 조향 때 이질감이 적고,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등도 적용됐다. 디젤모델인 1.5 dCi는 복합연비가 ℓ당 17㎞정도이다.[3] 2019년 형 SM6이 출시된 3월에 중형차 시장 점유율 7%를 기록하였지만 2018년 2월 대비 1450여 대를 더 판매해 중형차 시장 점유율을 13%까지 대폭 끌어올리며 기대를 모았던 것에 비해 2018년 4월부터 다시 실적이 떨어지며 2018년 06월에는 점유율이 11%대로 떨어졌다. 2019년 9월에는 979대로 월 1,000대까지 떨어졌다. 2019년 10월에도 1,443대에 그쳤으며, 2019년 11월에는 프라임 모델의 단종으로 인해 975대로 급감했다. 2019년 12월에는 1,719대로 상승했지만 역시 2천대를 넘기지는 못했다. 하지만, 2020년 1월에는 1.6리터 가솔린 터보인 TCe 190 모델의 단종 영향으로 단 669대만 판매되었고, 2020년 2월에는 731대만이 판매되는데 그쳤으며, 2020년 3월에는 1,147대로 회복하나 싶더니 2020년 4월에는 757대, 2020년 5월에는 740대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1]
더 뉴 SM6[편집]
2020년 7월 15일에 새롭게 출시된, 2020년 형 더 뉴 SM6(The New SM6)는 고객의 니즈에 맞춰 업그레이드되었다. 이에 따라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주요 편의사양이 기본적용되었으며 가격은 30만원에서 50만원까지 인하해 고객 혜택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기존의 Tce 모델의 스포츠 주행 감성을 높이며 르노그룹의 고성능 브랜드 알핀과 르노 RS 모델에 탑재된 Tce 300엔진을 장착해 스포츠 주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더 뉴 SM6의 내부 디자인은 모든 트림의 기어노브 데코가 변경되었고 SE 트림에는 LED 룸램프가 장착되었다. 라이트 그레이 나파 가죽시트와 뒷좌석 프레스티지 헤드레스트, 전용 로즈우드 그레인으로 감성 디자인에 변화를 주었다. LE 트림은 다이아몬드 패턴의 그레인을 적용했다. 그리고 운전피로도 경보 시스템과 안드로이드 오토 사양을 새롭게 추가하였으며 RE 트림은 블랙 헤드라이닝을 추가하였다. LE 와 RE 트림은 18인치 투톤 알로이휠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스포티 패키지인 S-Look은 블랙 사이드미러 커버와 19인치 블랙 알로이 휠, 일체형 알로이 스포츠 페달로 구성되어 있다. S-Look은 5개 모드와 8개 시스템 등의 멀티센스 기능을 통해 다양한 주행 모드의 제공이 가능하다. 게다가 최상위 트림인 프리미에르(PREMIERE)를 추가하였다. SM6의 외부 디자인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사이드 엠블리셔에 전용 로고를 적용했으며 19인치 투톤 전용 알로이 휠을 장착했으며 에스링크를 탑재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프리미에르 고객을 위한 전용 프리미엄 멤버십 서비스로 3년 내 왕복 2회에 한해 차량 정비와 점검 시 픽업과 딜리버리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의 영업본부장인 김태준은 "2020년형 SM6는 고객 선호도가 높은 사양은 추가해 가치를 높이면서 불필요한 사양을 제외해 가격을 내렸다"라며 "S-Look 패키지와 프리미에르 트림을 추가해 고객의 선택 폭도 확대했다"라고 말했다.[4][5]
주요 기능[편집]
선진주행보조시스템[편집]
선진주행보조시스템(ADAS)은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수많은 상황 가운데 일부를 차량 스스로 인지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복잡한 차량 제어 프로세스에서 운전자를 돕고 보완이 가능하다. 이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객체와 차량 환경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는 것과 안정적으로 교통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충돌 위험시 운전자가 제동장치를 밟지 않아도 스스로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는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AEB)과 차선 이탈 시 주행 방향을 조절해 차선을 유지하는 주행 조향보조 시스템(LKAS), 사전에 정해 놓은 속도로 달리면서도 앞차와 간격을 알아서 유지하는 어드밴스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사각지대 충돌 위험을 감지해 안전한 차로 변경을 돕는 후측방 충돌 회피 지원 시스템(ABSD) 그리고 차량 주변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AVM)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선진주행보조시스템의 핵심은 ASCC인데 이 기술은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로 자동 운행하며 차량 전방에 장착된 레이더 센서를 이용해 차간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 적정 차간거리를 유지한다. 그리고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은 ASCC와 함께 선진주행보조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기술이다. 차량 전방 카메라 센서와 레이더 센서로 전방 차량이나 보행자를 감지,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긴급 제동해 준다. 또한 주행 조향보조 시스템은 졸음운전이나 운전 미숙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시스템이다. 운전자가 방향지시 등 조작 없이 차로를 이탈하면 자동으로 핸들을 조향해 차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후측방 충돌 회피 지원 시스템은 후측방 사각지대 차량을 감지해 사이드미러에 경보등을 켜주는 것에서 나아가 운전자가 사각지대 차량을 보지 못하고 차로를 변경하려 하면 이를 제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따라서 이 기술들을 통해 궁극으로는 자율주행 기술을 완성할 수 있으며 2020년을 중심으로 AEB 등 ADAS 장착 비율은 선진 자동차 시장을 위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2021년 이후에는 고속도로에서 레벨2 이상의 자율주행이 유럽과 미국, 일본, 한국 등의 주요 자동차 제조사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 시장의 규모가 2017년 대비 3.3배 증가한 2조 9958억 5500만엔 으로 한국 돈 약 30조 1164억원 가량으로 증가할 전망이다.[6][7]
- 에스링크 시스템(S-Link system)
- 에스링크 시스템 옵션은 8.7인치 대형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장착해 차의 모든 기능을 터치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헤드업디스플레이[편집]
헤드업디스플레이(HUD)는 차량의 속도와 연료 잔량 그리고 길 안내 정보 등을 운전자 바로 앞의 유리창에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다. 1960년대 항공기에 처음 적용됐고, 2010년대 들어 자동차로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다. 별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프로젝터용 레이저 구동 칩, 화면 확대용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자동차 제조사 중에서는 독일의 비엠더블유(BMW)가 2003년에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후 독일의 아우디(AUDI), 일본의 도요타(TOYOTA) 등이 이를 적용한 자동차를 선보였다. 국내의 경우 2012년에 기아자동차㈜(KIA Motors)가 K9에 처음으로 적용시켰다. 헤드업디스플레이는 LED 타입이나 TFT-LCD 타입, 프로젝터 타입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현대자동차㈜는 2015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CES)에서 첨단 자동차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이 중 차세대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시스템을 넣은 신형 쏘나타와 증강현실(AR) HUD를 적용한 제네시스가 눈길을 끌었다. 증강현실 HUD는 운전 시 필요한 정보가 전면 유리 창에 3차원(3D) 이미지로 구현됐다. 기존보다 크기가 약 4배, 해상도는 6배 가량 좋아졌다. 당시 CES에서는 새로운 자동차 기술도 대거 소개됐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더 뉴 C클래스에 한층 진화된 HUD를 장착했다. 운전자 전방 유리창에 주행 속도, 내비게이션 등의 정보를 띄우는 것은 물론, 운전자 눈높이에 맞춰 화면 높낮이가 자동 조절된다. 자동차가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는 유리창에 뜨는 디스플레이의 높이도 시선을 따라 조절된다. 시장조사기관 테크사이 리서치(TechSci Research)는 헤드업디스플레이시장이 2020년 5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방위 부문의 경우 전투기, 헬리콥터, 장갑차 등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고급차 탑재 증가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저가 자동차 시장에서도 순정형 또는 애프터마켓(Aftermarket)에 출시된 제품을 통해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8]
장치 및 컨트롤[편집]
4륜 조향 장치(4WS)는 차량의 조정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앞뒤 4바퀴가 모두 조향되도록 한 장치로, 저속에서는 역위상으로 하여 최소 회전 반지름을 감소시키고, 고속에서는 동위상으로 하여 차량의 운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4륜 조향 장치를 탑재한 차량은 안정감이 있고, 선회 성능이 우수하며, 최소 회전 반지름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이 장치를 도입한 SM6는 후륜에 토션 빔 서스펜션을 쓰고도 핸들링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국내의 사양에는 탑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SM6의 액티브 댐핑 컨트롤(ADC)은 주행모드에 따라 댐퍼 세팅이 변화되며, 센서 정보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주행 상황의 분석이 가능하다. 서스팬션 댐퍼 내의 오일 흐름제어를 통해서 승차감을 개선하고 노면 접지력을 향상시켜 주행감과 승차감을 더 높여주는 기능이다. 따라서, 방지턱이 없는 자동차 전용 도로나 고속도로에서는 이 기능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요철이나 방지턱이 많은 구간에서 큰 효율성을 보인다.[1]
제원[편집]
더 뉴 SM6 구분 TCe 260 SE TCe 260 SE Plus TCe 260 LE TCe 260 RE TCe 260
PREMIERETCe 300 LE TCe 300
PREMIERE가격 24,500,000 ~
24,950,000만원26,810,000 ~
27,300,000만원28,960,000 ~
29,500,000만원31,120,000 ~
31,700,000만원32,650,000 ~
33,250,000만원30,730,000 ~
31,300,000만원34,220,000 ~
34,850,000만원엔진형식 터보 직분사 가솔린 배기량 1,332cc 1,798cc 최고출력 156ps/5,500rpm 1225ps/5,600rpm 최대토크 26.5kg.m/2,250 ~ 3,000rpm 30.6kg.m/2,000 ~ 4,800rpm 복합연비 13.6km/ℓ 13.3km/ℓ 12.9km/ℓ 11.8km/ℓ 11.6km/ℓ 도심 12.1km/ℓ 11.9km/ℓ 11.4km/ℓ 10.5km/ℓ 10.2km/ℓ 고속도로 16.0km/ℓ 15.7km/ℓ 15.2km/ℓ 13.7km/ℓ 13.9km/ℓ
구분 2.0 LPe SE 2.0 LPe SE Plus
(과세)2.0 LPe LE
(과세)2.0 LPe RE
(과세)2.0 LPe SE
(면세)2.0 LPe SE Plus
(면세)2.0 LPe LE
(면세)2.0 LPe RE
(면세)가격 24,010,000 ~ 24,450,000만원 26,310,000 ~ 26,800,000만원 28,470,000 ~ 29,000,000만원 30,490,000 ~ 31,050,000만원 22,965,088 ~ 24,450,000만원 25,164,992 ~ 26,800,000만원 27,230,989 ~ 29,000,000만원 29,163,079 ~ 31,050,000만원 엔진형식 LPG 액상 분사 배기량 1,998cc 최고출력 140ps/6,000rpm 최대토크 19.7kg.m/3,700rpm 복합연비 9.5km/ℓ 9.4km/ℓ 9.5km/ℓ 9.4km/ℓ 도심 8.5km/ℓ 8.4km/ℓ 8.5km/ℓ 8.4km/ℓ 고속도로 11.0km/ℓ 10.9km/ℓ 11.0km/ℓ 11.0km/ℓ 10.9km/ℓ
논란[편집]
2016년, 르노삼성자동차㈜가 SM6의 서스펜션 논란으로 주목받았다. 서스펜션은 바퀴와 차체를 연결하는 장치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차체와 따로 움질일수록 충격을 잘 흡수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따로 움지이는 것이 과할 경우 주행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업계에서는 이를 조율하고자 노력한다. 서스펜션은 토션빔 방식과 멀티링크 방식으로 나눠지는데 토션빔은 뒷바퀴 두개를 하나의 빔으로 묶은 것을 뜻한다. 그리고 멀티링크는 각각의 바퀴를 독자적으로 차체와 결합한 것을 뜻한다. 결론적으로는 멀티링크의 승차감이 토션빔보다 높으며 고급차에 주로 사용된다. SM6가 고급 중형 세단을 표방하는데 반해 원가절감을 위해 저가형 자동차에 주로 사용되는 토션빔 방식을 리어 서스펜션에 적용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르노삼성은 SM6의 리어 서스펜션의 경우 일반적인 저가형 서스펜션과 달리 자체 특허기술까지 적용해 개량한 것으로, 고급차의 서스펜션과 다를 바 없다고 반박했다. 르노삼성의 SM6는 LFD-D 플랫폼의 개발 조건때문에 후륜에 토션빔 서스펜션을 사용한 것인데 이에 논란이 더욱 거세지자 르노삼성자동차㈜의 관계자는 "통합 플랫폼 개발 과정에서 토션빔을 채택했고 국내에는 승차감 개선을 위해 토션빔을 개량한 어댑티브 모션 링크(AM LINK) 서스펜션을 적용했다"라고 밝혔다. 또한, 르노삼성자동차의 부사장인 박동훈은 2016년 1월 13일에 충남 태안군 한서대학교 비행교육원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서스펜션 논란은 사실 어느 정도 예상은 하고 있었다"며 "경쟁사가 의도를 가지고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중형차 이상에는 승차감에 장점을 가진 고가의 멀티링크 서스펜션, 준중형차 이하에는 핸들링에 장점이 있는 저가의 토션빔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SM6 후륜에 도입된 토션빔 방식이 통상적으로 성능보다는 가격이 중요한 경차나 준중형에 많이 쓰이는 만큼 고급 중형 세단의 이미지를 담은 SM6와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었다.[10][11]
각주[편집]
- ↑ 1.0 1.1 1.2 르노삼성 SM6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A5%B4%EB%85%B8%EC%82%BC%EC%84%B1%20SM6
- ↑ 2.0 2.1 르노삼성 SM6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A5%B4%EB%85%B8%EC%82%BC%EC%84%B1_SM6
- ↑ 김준 기자, 〈르노삼성차 상품성 높인 2019년형 SM6 판매》, 《경향신문》, 2018-03-04
- ↑ 윤경현 기자, 〈(시승기)르노삼성 ‘역작’ SM6, 품질 자신감···韓 대표 세단 명맥 잇다〉, 《뉴스웨이》, 2020-11-03
- ↑ 정치연 기자, 〈르노삼성차 "거품 싹 걷어냈다" '2020년형 SM6' 출시》, 《전자신문》, 2019-07-15
- ↑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166&cid=59277&categoryId=59283
- ↑ 박진우 기자, 〈ADAS·자율주행 센서 시장 2030년 32조9000억원으로 성장〉, 《조선비즈》, 2018-07-03
- ↑ 헤드업 디스플레이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191&cid=59277&categoryId=59283
- ↑ 르노삼성자동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renaultsamsungm.com/new/main/main.jsp
- ↑ 이다일 기자, 〈르노삼성 SM6 서스펜션 논란..토션빔은 멀티링크보다 나쁘다?》, 《M오토데일리》, 2016-01-13
- ↑ 노병우 기자, 〈'SM6 서스펜션 논란' 속 타는 르노삼성》, 《프라임경제》, 2016-01-14
참고자료[편집]
- 르노삼성자동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renaultsamsungm.com/new/main/main.jsp
-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166&cid=59277&categoryId=59283
- 박진우 기자, 〈ADAS·자율주행 센서 시장 2030년 32조9000억원으로 성장〉, 《조선비즈》, 2018-07-03
- 헤드업 디스플레이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86191&cid=59277&categoryId=59283
- 르노삼성 SM6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A5%B4%EB%85%B8%EC%82%BC%EC%84%B1%20SM6#s-2.1.2
- 르노삼성 SM6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A5%B4%EB%85%B8%EC%82%BC%EC%84%B1_SM6
- 윤경현 기자, 〈(시승기)르노삼성 ‘역작’ SM6, 품질 자신감···韓 대표 세단 명맥 잇다〉, 《뉴스웨이》, 2020-11-03
- 정치연 기자, 〈르노삼성차 "거품 싹 걷어냈다" '2020년형 SM6' 출시》, 《전자신문》, 2019-07-15
- 김준 기자, 〈르노삼성차 상품성 높인 2019년형 SM6 판매》, 《경향신문》, 2018-03-04
- 이다일 기자, 〈르노삼성 SM6 서스펜션 논란..토션빔은 멀티링크보다 나쁘다?》, 《M오토데일리》, 2016-01-13
- 노병우 기자, 〈'SM6 서스펜션 논란' 속 타는 르노삼성》, 《프라임경제》, 2016-01-14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