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시뇨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5번째 줄: 5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 고대 ===
 +
기원전 6세기 아테네를 이끌던 솔른이 1달란트=6,000드라크마의 가치를 1달란트=6,300드라크마로 만든 것이 기록상 남아있는 최초의 주조 차익이다.
 +
 +
=== 브레튼 우즈 체제 ===
 +
1944년 브레튼 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가 수립된 후 미국의 달러 시대가 열렸다. 달러의 [[수요]]는 세계적으로 아주 많아 미국에서는 시뇨리지를 얻어도 가치가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이 창설되면서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 시대를 열었다. [[기축통화]]가 된 달러는 많은 양의 달러를 찍어냈고 화폐 발행으로 인한 많은 수익을 냈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지속된 국제유동성 문제와 기축통화인 달러화 신용의 붕괴로 브레튼 우즈 체제는 끝이 나게 되었다.
 +
 +
=== 유로(EURO) ===
 +
2006년 유로는 달러화를 제치고 세계 1위 자리를 차지하면서 기축통화의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유로 역시 시뇨리지 효과에 기인된 것인데, 화폐발행차익을 독점하였던 미국의 달러는 최고액 지폐가 100달러이지만 유로화는 500유로가 최고액 지폐이기 때문에 미국의 달러보다 6배 이상의 시뇨리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유로는 단기간에 급속도로 확산되었다.<ref>김영우 기자, 〈[http://news.imaeil.com/NewestAll/2009011506314436568 [기고]유로가 떠오르고 있다]〉, 《매일신문》, 2009-01-15</ref>
 +
 +
 +
{{ 각주 }}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12번째 줄: 23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기축통화]]
 
* [[시뇨리지 효과]]
 
* [[시뇨리지 효과]]
 
*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

2019년 7월 4일 (목) 13:54 판

시뇨리지(Seigniorage)는 중앙은행이 발행한 화폐의 실질가치에서 발행비용을 제한 차익을 의미한다. 화폐 주조 차익 또는 인플레이션 조세(Inflation Tax)라고도 하며 중세 유럽의 봉건 영주를 지칭하는 '시뇨르(Seigneur)'가 어원이다.

개요

돈을 만드는 데는 비용이 든다. 50,000원짜리 지폐 한 장을 만드는데 드는 제조 비용이 2,000원이라 하면 48,000원의 이익이 난다. 이렇듯 화폐의 액면가에서 제조 비용을 차감한 이익을 '화폐 주조 차익'이며 국가가 화폐를 발행함으로써 얻는 수익이라고 볼 수 있다. 오늘날에는 화폐 주조권이 각국의 중앙은행에 있는데 우리나라는 중앙은행, 미국은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 발행을 한다. 하지만 미국의 달러는 기축통화로서 세계적으로 쓰이는 화폐이기 때문에 화폐 발행의 이득이 매우 크다. 만약 미국이 달러의 발권량을 늘려 인플레이션이(Inflation) 발생하면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지만, 빚이 있어도 달러를 더 발행해 갚으면 된다. 이것을 '인플레이션 조세'(Inflation Tax)라고 한다.

역사

고대

기원전 6세기 아테네를 이끌던 솔른이 1달란트=6,000드라크마의 가치를 1달란트=6,300드라크마로 만든 것이 기록상 남아있는 최초의 주조 차익이다.

브레튼 우즈 체제

1944년 브레튼 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가 수립된 후 미국의 달러 시대가 열렸다. 달러의 수요는 세계적으로 아주 많아 미국에서는 시뇨리지를 얻어도 가치가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이 창설되면서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 시대를 열었다. 기축통화가 된 달러는 많은 양의 달러를 찍어냈고 화폐 발행으로 인한 많은 수익을 냈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지속된 국제유동성 문제와 기축통화인 달러화 신용의 붕괴로 브레튼 우즈 체제는 끝이 나게 되었다.

유로(EURO)

2006년 유로는 달러화를 제치고 세계 1위 자리를 차지하면서 기축통화의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유로 역시 시뇨리지 효과에 기인된 것인데, 화폐발행차익을 독점하였던 미국의 달러는 최고액 지폐가 100달러이지만 유로화는 500유로가 최고액 지폐이기 때문에 미국의 달러보다 6배 이상의 시뇨리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유로는 단기간에 급속도로 확산되었다.[1]


각주

  1. 김영우 기자, 〈[기고유로가 떠오르고 있다]〉, 《매일신문》, 2009-01-15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시뇨리지 문서는 금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