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같이 보기)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시세'''(時勢, market price)는 어떤 물품의 현재 시장 [[가격]]이다. 영어로 '''마켓프라이스'''(market price)라고 한다. | '''시세'''(時勢, market price)는 어떤 물품의 현재 시장 [[가격]]이다. 영어로 '''마켓프라이스'''(market price)라고 한다. | ||
− | 시세는 일반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 항상 가격이 동일한 것은 아니므로 대표 가격이나 평균적인 시가(時價)를 시세라고 하기도 한다. 국가 경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항목에 대해서는 공정가격의 실현과 유지가 필요하므로,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에서 가격을 공정(公定)한다. 이를 공정시세라고 한다. | + | 시세는 일반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 항상 가격이 동일한 것은 아니므로 대표 가격이나 평균적인 '''시가'''(時價)를 시세라고 하기도 한다. 국가 경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항목에 대해서는 공정가격의 실현과 유지가 필요하므로,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에서 가격을 공정(公定)한다. 이를 공정시세라고 한다. |
시세의 대표적인 것은 거래소나 도매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이다. 매매가 진행되며 다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 사이에 성립한 매매약정가격은 일종의 표준가격이 된다. 공통으로 받아들여지는 표준가격이 시세이다. 거래소나 도매시장에서 표준가격이 성립하는 이유는 전문가인 판매자와 구매자가 경험과 지식을 이용해 매매를 진행해 결과로써 시세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며, 다수의 주관적 가격을 시장에서 서로 마주치게 함으로써 이를 객관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형성된 시세는 비교적 공평한 가격으로서 다른 거래 표준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나온 시세로는 크게 매매약정가격, 평균치, 대표치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매매약정가격을 시세로 하며, 거래소에서는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공정시세로써 일반에게 매일 공시한다. 시세가 인위적으로 무리하게 설정될 때는 암시세가 출현한다. | 시세의 대표적인 것은 거래소나 도매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이다. 매매가 진행되며 다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 사이에 성립한 매매약정가격은 일종의 표준가격이 된다. 공통으로 받아들여지는 표준가격이 시세이다. 거래소나 도매시장에서 표준가격이 성립하는 이유는 전문가인 판매자와 구매자가 경험과 지식을 이용해 매매를 진행해 결과로써 시세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며, 다수의 주관적 가격을 시장에서 서로 마주치게 함으로써 이를 객관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형성된 시세는 비교적 공평한 가격으로서 다른 거래 표준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나온 시세로는 크게 매매약정가격, 평균치, 대표치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매매약정가격을 시세로 하며, 거래소에서는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공정시세로써 일반에게 매일 공시한다. 시세가 인위적으로 무리하게 설정될 때는 암시세가 출현한다. | ||
− | 시세는 각 상품이나 증권에 내재하는 원인인 공급과 수요의 법칙에 따라 변동하고 이외 시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치, 경제 등의 일반적 요인, 나아가서는 시장 심리(인기) 등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증권 시세는 경기변동에 민감하므로 그 동향은 그 나라의 경제 | + | 시세는 각 상품이나 증권에 내재하는 원인인 공급과 수요의 법칙에 따라 변동하고 이외 시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치, 경제 등의 일반적 요인, 나아가서는 시장 심리(인기) 등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증권 시세는 경기변동에 민감하므로 그 동향은 그 나라의 경제 척도로서 판단된다. |
주가조작이 대표적인 시세조작 중 하나이다. | 주가조작이 대표적인 시세조작 중 하나이다. |
2019년 8월 11일 (일) 06:11 판
시세(時勢, market price)는 어떤 물품의 현재 시장 가격이다. 영어로 마켓프라이스(market price)라고 한다.
시세는 일반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 항상 가격이 동일한 것은 아니므로 대표 가격이나 평균적인 시가(時價)를 시세라고 하기도 한다. 국가 경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항목에 대해서는 공정가격의 실현과 유지가 필요하므로,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에서 가격을 공정(公定)한다. 이를 공정시세라고 한다.
시세의 대표적인 것은 거래소나 도매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이다. 매매가 진행되며 다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 사이에 성립한 매매약정가격은 일종의 표준가격이 된다. 공통으로 받아들여지는 표준가격이 시세이다. 거래소나 도매시장에서 표준가격이 성립하는 이유는 전문가인 판매자와 구매자가 경험과 지식을 이용해 매매를 진행해 결과로써 시세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며, 다수의 주관적 가격을 시장에서 서로 마주치게 함으로써 이를 객관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형성된 시세는 비교적 공평한 가격으로서 다른 거래 표준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나온 시세로는 크게 매매약정가격, 평균치, 대표치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매매약정가격을 시세로 하며, 거래소에서는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공정시세로써 일반에게 매일 공시한다. 시세가 인위적으로 무리하게 설정될 때는 암시세가 출현한다.
시세는 각 상품이나 증권에 내재하는 원인인 공급과 수요의 법칙에 따라 변동하고 이외 시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치, 경제 등의 일반적 요인, 나아가서는 시장 심리(인기) 등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증권 시세는 경기변동에 민감하므로 그 동향은 그 나라의 경제 척도로서 판단된다.
주가조작이 대표적인 시세조작 중 하나이다.
참고자료
- 〈시세〉,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