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리 라페라리
![](/images/thumb/5/55/%ED%8E%98%EB%9D%BC%EB%A6%AC_%EA%B8%80%EC%9E%90.png/300px-%ED%8E%98%EB%9D%BC%EB%A6%AC_%EA%B8%80%EC%9E%90.png)
페라리 라페라리(Ferrari LaFerrari)는 페라리가 2013년에 공개한 미드십 하이퍼카이다. 페라리 엔초를 계승하는 70주년 기념작 모델이며 499대만 한정 생산되고, 제네바 모터쇼에서 자동차의 외형이 공개되기 전에 다 팔렸다고 한다. 최대 800마력의 6.3리터 V12 엔진과 163마력의 전기모터를 같이 장착해 합산 963마력을 낸다. HY-KERS 시스템(전기모터)는 F1에서 가져온 기술로 출력을 보태는 역할을 하며, 일반 하이브리드 차량처럼 전기모터로만 주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0-100km/h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2.8초에서 3초 이내에 가능하며, 200km/h 까지는 7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
특징
파워트레인
라페라리는 당대 최고의 페라리인 동시에 당대 최고의 한정판 슈퍼카였다. 2013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된 지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역사상 가장 위대한 페라리 중 하나로 손꼽힌다. 288 GTO, F40, F50, 엔초와 같은 클래식 리미티드 에디션의 혈통을 이어받은 라페라리는 가장 강력하고 빠른 도로용 페라리였으며, 궁극의 페라리에 걸맞은 혁신 그 자체였다. 라페라리는 페라리가 전기 하이브리드 동력을 사용한 최초의 양산차였다. KERS(Kinetic energy recovery system)는 페라리 V12 엔진이 전달하는 강력한 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전기 동력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다른 많은 페라리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F1에서 가져온 기술이며, 2009년 시즌 스쿠데리아 페라리에서 처음 사용된 것이다. 라페라리의 심장은 페라리 역사상 가장 강력한 자연흡기 엔진인 6.3리터 V12 엔진이었으며 9,000rpm에서 무려 789hp의 출력을 냈다. 레드라인은 9,250rpm이었다. 추가적인 161hp의 출력은 전기모터가 담당해 최고 출력을 949hp까지 끌어올렸다. 라페라리와 달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사용해 최고출력 986hp를 내는 최신 모델인 SF90 스트라달레가 출시되기 전까지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양산형 페라리로 남아있었다.
라페라리의 KERS 시스템은 라페라리를 놀랍도록 빠르게 만들었다. 0-200km/h 가속에는 단 6.9초면 충분했으며 최고속도는 350km/h까지 가능하게 했으며, 트랙션도 매우 뛰어나게 만들었다. V12 엔진은 회전수가 매우 높고 강력한 출력을 내기 때문에 세계 최고의 내연기관 엔진으로 꼽힌다. 하지만 양산형 페라리에 많이 사용하는 터보차저 V8 엔진의 회전 토크는 부족하다. 그래서 라페라리의 전기모터가 부족한 회전 토크를 채워준다. 페라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파워트레인 중 하나로 찬사를 받은 라페라리는 화려하고 아름다운 사운드를 선사하는 고회전 V12 엔진과 즉각적인 스로틀 반응을 제공하고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기모터를 조용하고 매끄럽게 결합했다. 그 결과 일부 하이브리드와 달리 반응 또한 자연스럽다.[1]
디자인 및 소재
라페라리는 고도로 진보된 경량 카본 파이버 섀시를 사용했으며, 당대 최고의 에어로다이내믹스를 구현했다. 액티브 에어로에는 프런트 및 리어 디퓨저의 플랩, 프런트 언더 보디 가이드 베인, 액티브 리어 윙이 포함되었다. 그 결과 코너링과 제동을 개선하기 위해 다운포스를 높였지만 드래그 계수는 최소화했다. 낮은 보닛과 근육질의 휠 아치, 디자인도 아름다웠다. 330 P4, 312P를 비롯한 60년대 클래식 페라리 스포츠 레이서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다. 패키징을 포함한 다른 혁신도 있다. 길이가 같지만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부피가 더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엔초보다 더 좁고 낮았다. 특히 하이브리드 및 에어로 시스템을 위한 전자 제어장치는 최첨단을 달렸다.
인테리어도 혁신이었다. 라페라리는 재구성 가능한 디지털 인스트루먼트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최초의 페라리였다. F1 스타일의 스티어링휠에는 더 많은 컨트롤 버튼이 있었고, 기어박스 버튼이 위치한 우아한 플로팅 윙 스타일이었다. 7단 기어박스는 더 길고 인체공학적 디자인의 패들 시프트로 제어했다. 모든 리미티드 에디션 페라리와 마찬가지로 기술적으로도 선구적인 모델이었다. 세계 최초의 하이브리드 스포츠카 중 하나로서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 파워트레인으로 전환하게 될 것을 예고하기도 했다. 하지만 라페라리의 가장 놀라운 방식은 주행 스타일이었다. 여전히 도로와 트랙에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슈퍼카 중 하나다. 작고 민첩하며 반응이 매우 빠르다. V12 엔진은 훌륭한 아날로그 스포츠카의 폭발적인 매력을 선사했다. 그리고 뛰어난 안전성 시스템을 비롯한 전자식 제어장치들은 운전자를 만족시키고 성능을 매끄럽게 향상시켰다. 첨단기술이 운전의 즐거움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완벽히 훌륭한 예다.[1]
구매조건
한정판 페라리 라페라리는 엄청난 재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무조건 구입 할 수 있는 차량이 아니다. 영국 매체 더선에 따르면 이 차량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이 브랜드와 적합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애초에 라페라리는 499대만 생산되었지만 구매 희망자가 1,000명 이상 몰렸다. 원래 라페라리 구매 조건은 기존에 페라리 5대 이상 보유자만 구매할 수 있었지만 희망자가 많이 몰려 5대에서 20대 이상 보유한 희망자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6년 이탈리아 지진 피해를 돕기 위해 1대를 더 만들어 최종적으로 500대가 생산되었고, 마지막으로 생산된 라페라리의 가격은 무려 700만 달러에 낙찰되었다. 이후 경매로 얻은 수입금은 모두 지진 피해자를 돕는 곳에 쓰였다.[2]
평가
페라리는 2022년 3월 8일부터 공식 미디어 채널을 통해 '페라리 명예의 전당' 캠페인을 진행했다. 페라리 창립 이래 최초로 진행된 본 캠페인에는 세 달 동안 전 세계 총 430만 명이 참여, 투표에 대한 팬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투표 기준은 가장 비싸거나 가장 빠른 모델이 아닌 디자인과 성능, 사운드 측면에서 팬들과 가장 깊게 교감한 페라리를 선정하는 것이었다. 투표는 브랜드 창립 초창기부터 60년대, 70년대,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등 총 7개의 연대로 나뉘어 진행됐고, 8강 및 4강 그리고 상위 두 후보가 겨루는 최종 결승전까지 각 시대별로 일주일의 투표 기간이 소요됐다.[3]
그 결과 라페라리는 2010년대 카테고리에서 가장 많은 득표수를 기록했을 뿐 아니라, 명예의 전당 전체 순위에서도 팬들이 가장 선호하는 모델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라페라리는 2010년대 모델 중 총 27만9,000표를 획득, 458 스페치알레를 제치고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페라리 최초의 한정판 슈퍼카이자 하이브리드 모델인 라페라리는 2013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됐으며 전 세계 단 499대만 생산됐다. 특별 추가된 500번째 차량은 2016년 경매를 통해 700만 달러에 낙찰돼 수익금 전액이 이탈리아 대지진 이재민들을 위해 기부된 바 있다.[4]
라페라리 외에도 명예의 전당에 오른 차량은 1952년 파리 모터쇼에서 최초로 선보인, 날렵하고 아름다운 '250 유로파'(초창기), V12 프론트 엔진을 탑재한 '250 GTO'(60년대), V6 미드 엔진 '디노 246 GTS'(70년대), 최고 속도 324km/h의 V8 엔진을 탑재한 80년대의 아이코닉한 모델 'F40'(80년대), 페라리 창립 50주년 기념으로 제작돼 페라리 차량 중 공도용 F1 모델과 가장 유사한 'F50'(90년대), 페라리의 F1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어 낸 강력한 V12 엔진을 탑재한 '엔초 페라리'(2000년대)가 있다.[5]
각주
- ↑ 1.0 1.1 모빌리티그라운드, 〈최초의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라페라리'〉, 《브런치스토리》, 2023-08-01
- ↑ 김지연 기자, 〈"전 세계 단 499대"... 손흥민이 구입한 18억 짜리 '라페라리' 구매조건 수준〉, 《하이뉴스》, 2023-06-14
- ↑ 박혜성 기자, 〈페라리 팬들이 뽑은 최고의 페라리는 '라페라리'〉, 《모터프레스》, 2022-06-27
- ↑ 정영창 기자, 〈페라리 팬들이 뽑은 최고의 모델은 '라페라리'〉, 《오토모닝》, 2022-06-27
- ↑ 김경수 기자, 〈페라리가 뽑은 역사상 '최고의 페라리'는?〉, 《모터플렉스》, 2022-06-27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