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빈하이신구

위키원
(滨海新区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톈진시 위치

빈하이신구(중국어: 滨海新区 bīn hǎi xīn qū)는 중국 톈진시 중심 동부에 위치해 있는 이다. [1][2][3][4]

개요[편집]

빈하이신구의 면적은 2,270㎢이며 인구는 2,067,318명(2020년)이다. 북으로 허베이 펑난현(丰南县), 남으로 허베이성(河北省) 황화시(黄骅市)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지정학적 위치는 베이징-톈진(天津)-허베이성(河北省) 도시권과 환보하이(环渤海, 환발해) 경제권의 중심지로 현재 3개의 기능구인 톈진항, 톈진경제기술개발구, 보세구와 3개의 행정구인 탕구구(塘沽区, 당고구)·한구구(汉沽区, 한고구)·다강구(大港区, 대항구)를 흡수·합병하여 2009년 정식 행정구획이 되었다.

빈하이신구는 중국의 주요 유전 지대인 다강유전(大港油田)과 보하이유전(渤海油田)을 보유한 유전 지대이기도 하며, 약 100억 톤의 석유가 이 두 유전 지대에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현재 개발이 성행중이다. 또, 빈하이신구는 중국 최대의 천일염 생산지이기도 하며, 중국 최대의 단일염전인 창루염전(长芦盐场)이 있어 연 240만 톤의 소금이 이 빈하이신구에서 생산된다고 한다.

지리적으로 보면 톈진시에서 바다와 접한 구역은 전부 이 빈하이신구로 편입되어있으며 그 덕분에 남북으로 얇고 길게 구의 구역이 늘어져있다. 이 지역은 원래 '탕구'(塘沽)라고 불려왔으며 이전에도 베이징의 외항 역할을 하던 곳이었다.

빈하이신구는 경제특구인 광둥성 선전시 혹은 상하이시 푸둥신구를 모델로 삼아 2006년 5월 26일 국가급 신구로 지정되었다. 그래서 1인당 GDP가 약 4만 달러로, 톈진시에서 제일 높다.

빈하이신구의 상징적 공간 중 하나는 "중국의 맨하탄"을 목표로 기획된 위쟈푸(于家堡) 금융지구이다. 위쟈푸 금융지구는 중국 중앙정부가 뉴욕의 월스트리트 및 런던의 카나리 워프 등과 같은 다른 국가의 주요 글로벌 금융센터와 경쟁을 목적으로 2009년 2,000억 위안을 들여 건설을 시작했지만, 아직 그 원래 목표한 기능을 담당하기에는 여러모로 부족한 측면이 있다.

현재 기초 인프라 사업인 톈진(天津) 둥장항(东疆港, 동강항) 건설, 베이징~톈진(天津) 고속철도, 고속도로 건설과 주요 산업투자인 1백만 에틸렌 프로젝트, 에어버스-320 공장건설이 추진 중이며 더불어 비상장회사 주식거래소 유치, 서비스 아웃소싱 중심기지 선정 등도 추진하고 있어 향후 징진지(京津冀, 경진기) 도시권과 환보하이(环渤海, 환발해) 경제권의 중심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톈진은 중국 중앙정부 직할시로서 성급정부가 아닌 중앙정부가 직접 통제 관리하는 독특한 행정구조의 도시이다. 현재 중국 직할시는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톈진(天津), 충칭(重慶) 4개이다. 이 4개 직할시는 성이 아닌 중앙의 직속이기 때문에 중국의 다른 일반 도시들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자치권과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자율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이들 직할시들은 경제적 측면에서 다른 도시들에 비해 더 많은 통제권을 부여받아 혁신적인 제도 도입의 측면에서도 좀 더 유연성을 보인다.[5][6]

자연환경[편집]

대부분 반건조 기후(BSk)지역에 속하며 동아시아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뚜렷한 4계절,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기온과 강수량이 특징이지만, 차별점은 시베리아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바람이 많이 불고 매우 건조한 겨울이다. 월평균 기온은 1월 -3.1℃, 7월 평균 기온은 26.8℃로 기온의 연교차가 30℃ 가량 나타나며 연평균 기온은 13℃를 기록한다. 봄은 굉장히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어 고비사막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래폭풍이 도시를 덮치기도 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500~550mm로 7월과 8월에 반 이상이 집중되며 도시의 일부는 습한 대륙성기후가 나타나는 곳도 있다.

매년 5.22cm 가라앉고 있다. "가장 빠르게 가라앉는 도시는 중국 톈진으로 연 5.22㎝씩 침하 중으로 분석됐다. 침하 면적이 가장 넓은 도시는 중국 상하이시로 연 2㎜ 이상 침하된 지역이 서울 전체 면적의 3배 가량인 1,706㎢에 이르렀다. 연구팀 논문은 미국지구물리학회(AGU)가 발간하는 학술지 <지구물리연구회보>(GRL) 최근호에 실렸다.[7]

역사[편집]

톈진은 역사적으로 수나라 시기 베이징-항저우 대운하 건설 후 남운하와 북운하가 교차하는 곳으로 이름을 얻기 시작했다. 특히 톈진은 운하 북쪽에 위치하여 하천과 해상교통의 편리함으로 중요성을 얻어 더욱 발전할 수 있었다. 한 무제 시기의 염전 조성 이후 당나라 시기에는 소금창고가 세워지며 국가의 주요 지역으로 변모했다. 당나라 중기 이후에는 남쪽의 곡식과 비단을 북쪽으로 수송하는 중요 교차로로 활용되기도 했다.

1404년까지 "직고(直沽)" 로 불리었으나 영락황제에 의해 "천진(天津)"으로 개명되었다. "천진(天津)"은 글자 뜻 그대로 "하늘의 나루"인데 이는 황제(하늘의 아들)이 이곳으로 들어왔다 하여 붙여진것이다. 황제는 실제로 그의 조카로부터 왕좌를 빼앗기 위한 출정도중에 톈진에 왔으며 이후로는 베이징의 항구가 되어 이곳에 여러 무역상들이 오기도 하였다. 청나라 때는 이곳에 천진위(중국어 정체자: 天津衛)로 불리는 성채가 설립되어 군사거점이 되었다.

1725년 현으로 승격되었으며 1731년 톈진 부로 되었다. 1856년, 홍콩에 등록된 중국인 소유의 배가 영국깃발을 달고 해적질과 아편밀수를 한다고 의심받는 배로 단속되었다. 중국은 그들 12명을 체포하고 투옥하였다. 1858년 5월 영국과 프랑스는 이에 대응하여 톈진에 함대를 보냈다.

같은 해 6월에 두 번째 아편전쟁으로 인해 톈진조약이 이루어지고, 1860년 황제의 승인에 의해 톈진은 정식적으로 개항되었다. 톈진에 외국인들의 존재는 “천진교회사건”을 일으켰다.

1870년 6월 톈진의 프랑스 선교사에 의해 지어진 교회에서 아이들을 유괴한다는 소문이 일어나면서 21일 교인들과 비교인들간의 충돌이 일어난다. 격노한 주민들은 교회와 근처 프랑스 영사관을 불태우고 후에 프랑스와 그 외 서양 6개국은 청나라 정부에게 사건에 대한 배상금을 요구한다.

1927년 톈진은 중국의 자치제로 설립되었지만, 1937년 7월 30일 중일전쟁으로 일본에게 함락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톈진은 일본에게 점령되었다.

1946년 12월 베이징대 여학생이 미군에게 성폭행 당한 사건을 계기로 1947년 1월1일 톈진에서 수천 명의 학생들의 시위운동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1947년 6월 미군대는 철수하게 되었다.

톈진은 1949년 1월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점령당하고 격전이 치러졌고, 공산주의자들의 지배아래 1958년부터 1967년까지를 제외하고는 중국의 지방자치체로 남아있었다.

빈하이신구의 개발계획은 2005.11 톈진시(天津市)가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2006.3 10기 4차 전인대와 2006.5 국무원 비준을 통해 선전(深圳, 심천) 특구, 상하이(上海) 푸둥신구(浦东新区, 포동신구)에 이은 제3의 최 역점 지역발전전략으로 채택되었다. 지리적으로 ‘T자형’인 1개 축, 1개 지대, 3개 도시구역, 7개 기능구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으로 베이징~톈진(天津)~탕구(塘沽) 간의 징진탕고속공로(京津塘高速公路) 일대를 횡축으로 하여 첨단산업발전지역을 건설하고, 연안 해안선 일대를 종축으로 하여 해양경제발전대(海洋经济发展带)로 건설하며, 당고, 한고, 대항 지역을 주민생활 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기능적으로는 기존의 3개 기능구인 톈진(天津)항, 개발구, 보세구를 7개 기능구로 확대 건설하여 톈진경제기술개발구 확장, 첨단기술산업단지, 화학공업단지, 상업지역, 항구물류지역, 공항인근 산업구, 빈해관광지역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1992년 14기 공산당대회에서는 푸둥 개발을 통해 상하이(上海)를 국제적인 경제, 금융, 무역중심지로 육성한다는 경제적 의미를 강조한데 반해 공산당 16기 5중전회, 전인대 10기 4차 회의에서는 빈아이신구를 국가중점 전략개발지역으로서 종합개혁시범구지역이라는 위상을 부여하여 경제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국가전체의 전략 차원을 강조하였으며 상하이(上海) 포동이 용의 머리로서 창강(长江) 유역을 발전시키며 개방과 성장을 중시하는 선부론을 배경으로 하는 경제특구인 반면, 빈하이신구는 환보하이(环渤海)의 태양(중심)으로서 반경 5백㎞를 범위에 두며, 중국의 3북(동북, 서북, 화북)에 영향을 주고, 동북아를 지향하며 WTO 가입 후, 과학적 발전관과 조화로운 사회건설을 배경으로 개혁개방의 전면적이고 종합적이며, 최종적인 단계의 경제특구라는 차이가 있다.

산업[편집]

빈하이신구 중간즈음에 있는 위자바오금융구(于家堡金融区)는 중국정부가 뉴욕의 맨해튼을 목표로 해서 수천억 위안을 투자했지만 현재까지는 어얼둬쓰시처럼 건물만 많고 사람은 없는 유령도시가 되었다.사진 심지어 고속철도 빈하이역은 원래 위자바오역이었으나 빈하이역으로 변경이 된 상태이다. 이는 현재도 해결되지 못 하고 있어서, 결국 계획된 목표를 이루지 못해 아직까지도 위자바오금융구의 70%는 그냥 녹지로 남아있다. 다만 건설된 건물 자체는 운영되고 있다.

또 다른 빈하이신구의 경제특구로는, 샹뤄완상무구(响螺湾商务区)가 있다. 여긴 위자바오 금융구와 하이허 강(海河)을 끼고 접해있는 톈진시의 CBD로, 입주율이 높지는 않지만 그래도 위자바오금융구와는 다르게 나름대로 잘 지어져서 운영되고 있다.

관광[편집]

  • 다구커우포대(大沽口炮台)
  • 톈진항박람관(天津港博览馆)
  • 국가해양박물관(国家海洋博物馆)
  • 국가동만원(国家动漫园)
  • 친다항모주제공원(天津泰达航母主题公园) -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 1번함인 키예프함을 공원화시킨 곳이다.

교육[편집]

  • 난카이대학 친다교구(南开大学 泰达校区)
  • 난카이대학 빈하이학원(南开大学滨海学院)
  • 톈진외국어대학 빈하이교구(天津外国语大学 滨海校区)
  • 톈진외국어대학 빈하이외사학원(天津外国语大学滨海外事学院)
  • 톈진빈하이직업학원(天津滨海职业学院)
  • 톈진국토자원 및 방옥직업학원(天津国土资源和房屋职业学院)
  • 톈진공정직업기술학원(天津工程职业技术学院)
  • 톈진개발구직업기술학원(天津开发区职业技术学院)
  • 중국인민해방군해군근무학원(中国人民解放军海军勤务学院)
  • 톈진시보하이해화공직업학원(天津市渤海化工职工学院)

교통[편집]

톈진빈하이국제공항[편집]

톈진 도심으로부터 동쪽으로 13km 떨어져 있다. 중국 최초의 민간항공사인 오케이 에어웨이즈(奥凯航空公司;Okay Airways)의 허브 공항이며, 베이징서우두국제공항에 이어 중국 북부에서 2번째로 큰 공항이다. 주요 항공화물 기지가 있으며, 총면적은 비행기 40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에이프런(apron)까지 포함하여 40만㎢이다. 2007년 새로운 터미널이 완공되었고 활주로는 너비 75m, 길이 3,600m로 확장되었다.

상하이·우한·시안·선전·서울 등으로 가는 39개 중국·해외 노선이 운항되며 주요 국제항공노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항공이 인천국제공항으로 운항하는 노선, 일본의 전일본공수(全日本空輸)과 일본항공(Japan Airlines)이 나고야-시부야로 운항하는 노선이다.[8]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빈하이 신구〉, 《위키백과》
  2. 빈하이신구〉, 《나무위키》
  3. 톈진시〉, 《위키백과》
  4. 톈진시〉, 《나무위키》
  5. 국가급 중국문화유산총람: 빈하이신구〉, 《네이버 지식백과》
  6. 두산백과: 톈진 도시구조 및 행정〉, 《네이버 지식백과》
  7. 두산백과: 톈진 기후와 자연환경〉, 《네이버 지식백과》
  8. 두산백과: 톈진빈하이국제공항〉,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빈하이신구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