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닝허구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톈진시 위치

닝허구(중국어: 宁河区 níng hé qū)는 중국 톈진시 동부 외곽에 위치해 있는 이다. [1][2][3][4]

개요[편집]

닝허구의 면적은 1,298.32㎢이며 인구는 41만 명(2019년)이다. 북서쪽으로는 바오디구, 우칭구와 접하고, 남쪽으로는 베이천구와 접한다. 톈진 도심에서 80km, 톈진 신항구에서 40km 떨어져 있으며, 베이징시에서 185km, 탕산시에서 50km 거리에 있다.

실제로 닝허구 지도를 보면 개발구의 개발 상황이 그리 좋지 않은데, 그 이유는 바로 닝허구 시가지 바로 옆에 빈하이신구가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국가급 신구에 개발하는 것이 돈이 더 되기 때문에 굳이 닝허구를 개발할 이유가 없고, 거기에 변변찮은 상권이나 학군도 없어 개발이 더딘 편이다. 그래서 톈진시에서도 닝허구 내부에 여러 개발구를 설치하고 개발을 독려하고 있다.[5]

자연환경[편집]

닝허구는 대부분 반건조 기후(BSk)지역에 속하며 동아시아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뚜렷한 4계절,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기온과 강수량이 특징이지만, 차별점은 시베리아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바람이 많이 불고 매우 건조한 겨울이다. 월평균 기온은 1월 -3.1℃, 7월 평균 기온은 26.8℃로 기온의 연교차가 30℃ 가량 나타나며 연평균 기온은 13℃를 기록한다. 봄은 굉장히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어 고비사막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래폭풍이 도시를 덮치기도 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500~550mm로 7월과 8월에 반 이상이 집중되며 도시의 일부는 습한 대륙성기후가 나타나는 곳도 있다.

매년 5.22cm 가라앉고 있다. "가장 빠르게 가라앉는 도시는 중국 톈진으로 연 5.22㎝씩 침하 중으로 분석됐다. 침하 면적이 가장 넓은 도시는 중국 상하이시로 연 2㎜ 이상 침하된 지역이 서울 전체 면적의 3배 가량인 1,706㎢에 이르렀다. 연구팀 논문은 미국지구물리학회(AGU)가 발간하는 학술지 <지구물리연구회보>(GRL) 최근호에 실렸다.[6]

역사[편집]

톈진은 보하이 만에 들어오는 여러 강에 의해 육지가 침강하여 한때 바닷물에 잠겼으나 다시 육지화하여 생겨났다. 수나라 대운하 개통부터 상업중심지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1404년까지 "직고(直沽)" 로 불리었으나 영락황제에 의해 "천진(天津)"으로 개명되었다. "천진(天津)"은 글자 뜻 그대로 "하늘의 나루"인데 이는 황제(하늘의 아들)이 이곳으로 들어왔다 하여 붙여진것이다. 황제는 실제로 그의 조카로부터 왕좌를 빼앗기 위한 출정도중에 톈진에 왔으며 이후로는 베이징의 항구가 되어 이곳에 여러 무역상들이 오기도 하였다. 청나라 때는 이곳에 천진위(중국어 정체자: 天津衛)로 불리는 성채가 설립되어 군사거점이 되었다.

1725년 현으로 승격되었으며 1731년 톈진 부로 되었다.

1856년, 홍콩에 등록된 중국인 소유의 배가 영국깃발을 달고 해적질과 아편밀수를 한다고 의심받는 배로 단속되었다. 중국은 그들 12명을 체포하고 투옥하였다. 1858년 5월 영국과 프랑스는 이에 대응하여 톈진에 함대를 보냈다.

같은 해 6월에 두 번째 아편전쟁으로 인해 톈진조약이 이루어지고, 1860년 황제의 승인에 의해 톈진은 정식적으로 개항되었다. 톈진에 외국인들의 존재는 “천진교회사건”을 일으켰다.

1870년 6월 톈진의 프랑스 선교사에 의해 지어진 교회에서 아이들을 유괴한다는 소문이 일어나면서 21일 교인들과 비교인들간의 충돌이 일어난다. 격노한 주민들은 교회와 근처 프랑스 영사관을 불태우고 후에 프랑스와 그 외 서양 6개국은 청나라 정부에게 사건에 대한 배상금을 요구한다.

1927년 톈진은 중국의 자치제로 설립되었지만, 1937년 7월 30일 중일전쟁으로 일본에게 함락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톈진은 일본에게 점령되었다.

1946년 12월 베이징대 여학생이 미군에게 성폭행 당한 사건을 계기로 1947년 1월1일 톈진에서 수천 명의 학생들의 시위운동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1947년 6월 미군대는 철수하게 되었다.

톈진은 1949년 1월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점령당하고 격전이 치러졌고, 공산주의자들의 지배아래 1958년부터 1967년까지를 제외하고는 중국의 지방자치체로 남아있었다.

전통적으로 바오디구와 동일한 행정구역을 이루다가 청나라 때에 분리되어 설치되었다. 이후 바오디현과 함께 탕산전구에 소속되어 있다가 1973년, 톈진 산하로 들어갔으며 2015년에 현에서 구로 교체된다.

교육[편집]

톈진대학교[편집]

톈진대학교는 중국 화베이지구 톈진직할시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교이다. 중국 최초로 설립된 현대식 고등교육기관으로 중국 교육부가 직접 운영한다. 공학 중심의 학부 · 대학원 22개 아래 57 개의 학부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1895년 톈진베이양서학학당(天津北洋西學學堂)으로 개교했다. 이후 교명을 베이양(北洋)대학교로 바꾸었다. 1951년 구조개편을 거쳐 톈진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고, 중국에서 대규모로 손꼽히는 공과대학교가 되었다.

톈진대학교는 중국 정부의 대학육성 정책인 '211프로젝트'에 초기에 선정되었다. 211프로젝트는 1983년 교육부가 고등교육사업회를 발족하며 처음 구상했고 1995년 확정ᆞ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약 100개 대학과 600개 중점학과의 교육, 연구, 경영 수준 및 효율을 크게 개선해 고급인력을 양성한다는 내용이었다. 2000년 중국 교육부는 톈진직할시와 협약을 체결하고 '21세기 교육 재활성화 계획'에 따라 톈진대학교를 21세기 1등급 대학으로 발전시켜나가기로 했다.

톈진대학교는 2023년 QS의 세계대학순위에서 세계 307위, 아시아 대학 중 46위를 기록했다. 2023년 타임스고등교육의 세계대학평가에서 세계 401-500위권, 아시아 62위로 평가됐다. 2023년 유에스뉴스&월드리포트의 글로벌대학순위에서는 세계 260위, 아시아 44위, 중국 24위로 꼽혔다.

1895년 중국 청나라의 관료자본가 성쉬안화이(盛宣懷)가 광서제(光緖帝)에게 톈진에 대학을 설립할 수 있도록 허락해달라는 상소를 올렸다. 광서제의 윤허가 10월 2일 떨어졌고, 성쉬안화이는 미국 교육가 찰스 대니얼 테니와 함께 톈진베이양서학학당(天津北洋西學學堂)을 열었다. 성쉬안화이는 미국 명문대학들을 본받아 설립한 이 대학을 통해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해 중국을 부흥시키고자 했다. 이 목표에 따라 실사구시(實事求是)를 대학의 모토로 삼았다.

톈진대학교는 개교 이래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한 종합대학교로 발전해왔다. 교명은 톈진베이양서학학당에서 베이양(北洋)대학교를 거쳐 1951년 허베이공학원(河北工學院)을 통합하면서 톈진대학교가 되었다. 1952년 난카이대학(南開大學)의 공과대학과 진구대학(津沽大學)의 공과대학 등을 통합했다.

세부연혁은 다음과 같다. 1907년 문리대학과 법학대학, 사범대학을 추가한 종합대학이 되었다. 1935년 최초의 대학원 학생이 입학했다. 1937년 최초로 석사 학위를 수여했다. 1958년 최초의 도서관이 설립되었다. 1959년 중국의 16개 핵심대학교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1984년 최초의 박사과정 학생이 입학했고, 1985년 최초의 박사가 탄생했다. 1999년 국립대학과학연구단지가 준공되었다. 2000년 중국 대학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시킨다는 '985공정'의 대상 대학에 선정되었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닝허구〉, 《위키백과》
  2. 닝허구〉, 《나무위키》
  3. 톈진시〉, 《위키백과》
  4. 톈진시〉, 《나무위키》
  5. 두산백과: 닝허〉, 《네이버 지식백과》
  6. 두산백과: 톈진 기후와 자연환경〉, 《네이버 지식백과》
  7. 세계의 대학: 톈진대학교〉,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닝허구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