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둥잉시(중국어: 东营市 dōng yíng shì)는 중국 산둥성 동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3][4]
둥잉시의 면적은 7,923.26㎢이며 인구는 2,193,518명(2020년)이다. 황하(黄河)가 둥잉시(东营市, 동영시)를 거쳐 황해로 흘러들어간다. 동쪽과 북쪽으로는 발해와 인접하며, 서쪽은 빈저우시(濱州市, 빈주시), 남쪽은 쯔보시(淄博市, 치박시) 및 웨이팡시(潍坊市, 유방시)와 경계하고 있다.
중국에서 가장 소득이 높은 도시들 중 하나이며, 한국의 삼척시, 양주시와 자매결연 도시이다. 황허의 종착지이기도 하다. 성리 유전(勝利油田)이 있는 신흥 석유도시이다.
시인민정부는 둥잉구(东营区, 동영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둥잉구(东营区, 동영구), 허커우구(河口区, 하구구)의 2개 시할구와 컨리현(垦利县, 간리현), 광라오현(广饶县, 광요현), 리진현(利津县, 이진현)의 3개 현(县)으로 이루어져 있다.[5][6]
자연환경[편집]
둥잉시는 화북 요함구의 지양 요함 동쪽 끝에 위치하며, 지층은 오래된 것부터 새로운 순서대로 태고계 태산암군, 고생대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스기, 석탄기, 페름기, 중생대 쥐라기, 백악기, 신생대 제3기, 제4기로 구성되어 있다. 원생대, 고생대 상부 오르도비스기, 실루리아기, 데본기, 하부 석탄기 및 중생대 트라이아스기는 결여되어 있다. 요함과 융기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순서대로 청쯔커우 융기(동쪽 끝), 처전 요함(동부), 이허좡 융기(동부), 잔화 요함(동부), 천자좡 융기, 둥잉 요함(동부), 광라오 융기(일부) 등이 있다.
둥잉시의 지세는 황하의 흐름을 따라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경사가 진다. 남서부의 가장 높은 지점은 고도 28m(다구 고도를 기준으로 함)이며, 북동부의 가장 낮은 지점은 고도 1m로, 자연적인 경사도는 1/8000에서 1/12000이다. 서부의 가장 높은 지점은 고도 11m, 동부의 가장 낮은 지점은 고도 1m로, 자연 경사도는 1/7000이다. 황하가 지역을 가로지르며 흐르며, 강을 등진 방향으로는 강 가까운 곳이 높고, 멀리 갈수록 낮아지며, 등진 지역의 자연 경사도는 1/7000이다. 강변 지역은 강을 등진 지역보다 2~4m 높아 "지상 현하(공중에 매달린 강)"를 형성한다.
둥잉시의 미세 지형은 5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고대 강변 고지로, 둥잉시 전체 면적의 4.15%를 차지하며, 주로 황하가 터진 부채꼴 지역 상류에 분포한다. 둘째, 강변 고지로, 전체 면적의 3.58%를 차지하며, 황하의 강로와 대제 사이에 주로 분포한다. 셋째, 미세 경사지로, 전체 면적의 54.54%를 차지하며, 언덕과 저지대가 교차하는 지역이다. 넷째, 얕은 평저지로, 전체 면적의 10.68%를 차지하며, 샤오칭허 남쪽은 주로 고대 강변 고지 사이에, 샤오칭허 북쪽은 미세 경사지, 완만한 언덕, 황하의 옛 강로 저지대에 분포한다. 다섯째, 해안 지대로, 전체 면적의 27.05%를 차지하며 해안선을 따라 띠 모양으로 분포한다.
둥잉시는 중위도에 위치하고, 내륙을 등지고 바다를 향해 있으며, 유라시아 대륙과 서태평양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에 속한다. 기본적인 기후 특징은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덥으며, 사계절이 뚜렷하다는 점이다.
봄철은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며, 초봄에는 날씨가 변덕스럽고 종종 꽃샘추위가 찾아오기도 한다. 늦봄에는 기온이 빠르게 상승해 봄 가뭄이 자주 발생한다. 여름철은 덥고 비가 많이 내리며, 기온이 높고 습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때때로 태풍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가을에는 기온이 내려가면서 비가 급격히 줄어들고, 하늘이 높고 공기가 상쾌하다. 겨울철은 건조하고 추운 날씨가 지속되며, 차가운 바람이 자주 불고 북풍과 북서풍이 많이 분다. 강설과 강우는 드물다.
둥잉시에서 자주 발생하는 주요 기상 재해로는 서리 피해, 건열풍, 강풍, 우박, 가뭄, 홍수, 폭풍 해일 등이 있다. 남북 간의 기후 차이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는다. 연평균 기온은 12.8℃이며, 무상 기간은 206일이다. 농작물의 2년 3작이 가능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555.9mm로, 주로 여름철에 집중되며, 이는 연간 강수량의 65%를 차지한다. 연간 강수량은 변동이 커 가뭄과 홍수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황하의 둥잉 구간은 빈저우 경계에서 시작해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둥잉시 전역을 관통하며, 컨리구 북동부에서 발해로 흘러 들어가고, 총 길이는 138km에 이른다.
둥잉시에는 황하 외에도 주요 배수 하천이 30개 있다. 황하를 경계로 남쪽은 회하 유역에 속하며, 이 지역에는 샤오칭허와 그 지류인 쯔허, 양허, 니허쯔, 위베이허, 즈마이허와 그 지류 샤오허쯔, 우자다거우, 광푸허, 우간파이, 광리허와 그 지류 이홍허, 둥잉허, 라오광푸허, 우류간허파이, 류간파이, 융펑허와 그 지류 싼파이거우, 장전허, 샤오다오허 등 총 20개의 하천이 있다.
황하 북쪽은 해하 유역에 속하며, 차오허와 그 지류 추관허, 타이핑허, 마신허, 잔리허, 차오차오거우, 차오차오거우 동부 본류, 티아오허, 션셴거우와 그 지류 신웨이둥허 등 총 10개의 하천이 있다.[7]
기원전 6세기경에 병서를 쓴 손자(孫子)가 인근에서 출생한 것으로 보아 당시에 이미 정착촌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래 작은 어촌이었으나, 1964년 중국에서 다칭유전 다음으로 큰 성리유전 (勝利油田)이 발견된 후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1983년 지급시로 승격되었고, 2000년 전국적 선진 도시로 선정되었다. 석유 산업과 함께 타이어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듀폰의 티타늄 공장이 있다. 2015년 화학 공장의 폭발 사고로 13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있었다.
황허강 삼각주의 풍부한 천연자원,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 채취가 도시 경제활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1964년부터 개발된 성리(胜利) 유전은 중국에서 두번째로 큰 유전이며 중국 전체 석유생산량의 대략 5분의 1정도를 이곳에서 생산하고 있다.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제지, 기계, 전기, 건축, 건축자재, 식품가공, 고무타이어, 섬유공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였다. 또한 토사 퇴적물로 계속 늘어가는 경작지를 이용한 농업과 보하이만(渤海湾), 라이저우만(莱州湾)을 중심으로 한 어업도 활발하다.
2021년 기준 1인당 GDP가 $21,322에 달하며, 이는 웬만한 중국 남방 대도시들 평균보다도 높은 수치이다. 물론 둥잉시 역시 주요 산업은 여타 중국 도시들이 그렇듯 공업에서 나오지만, 소득이 높은 이유는 이게 아니다.
둥잉시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이유는 바로 둥잉시가 유전지대이기 때문이며, 매년 둥잉에서 산출되는 석유의 양은 약 2743만 톤이라고 한다. 이 뿐만 아니라 석유 생산지이니만큼 천연가스도 엄청난 양이 생산된다.
시가지 동북쪽 외곽에 둥잉 성리 공항(东营胜利机场)이 있으며,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중국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 이 성리 공항은 과거 둥잉 융안 공항(东营永安机场)이라는 명칭이었으나 2011년에 개명되었다.
열차로는 빈저우와 쯔보 방면 열차가 다닌다. 추후 톈진-웨이하이간 고속철도 지나갈 예정이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동아시아 국가
|
- 동아시아 도시
|
- 동아시아 지리
|
- 동아시아 바다
|
- 동아시아 섬
|
- 동아시아 강
|
- 동아시아 주변 지역
|
이 둥잉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베이징시
|
다싱구 • 둥청구 • 먼터우거우구 • 미윈구 • 순이구 • 스징산구 • 시청구(서청구) • 옌칭구 • 차오양구 • 창핑구 • 퉁저우구 • 팡산구 • 펑타이구 • 핑구구 • 하이뎬구 • 화이러우구
|
|
톈진시
|
난카이구 • 닝허구 • 둥리구 • 바오디구 • 베이천구 • 빈하이신구 • 시칭구 • 우칭구 • 지저우구 • 진난구 • 징하이구 • 허둥구 • 허베이구 • 허시구 • 허핑구 • 훙차오구
|
|
허베이성
|
딩저우시 • 랑팡시 • 바오딩시 • 스자좡시 • 신지시 • 싱타이시 • 장자커우시 • 창저우시 • 청더시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한단시 • 형수이시
|
|
산시성 (산서성)
|
다퉁시 • 뤼량시 • 린펀시 • 쉬저우시 • 신저우시 • 양취안시 • 윈청시 • 진중시 • 진청시 • 창즈시 • 타이위안시
|
|
네이멍구자치구
|
바옌나오얼시 • 바오터우시 • 시린궈러맹 • 싱안맹 • 아라산맹 • 어얼둬쓰시(오르도스시) • 우란차부시 • 우하이시 • 츠펑시 • 퉁랴오시 • 후룬베이얼시 • 후허하오터시
|
|
상하이시
|
민항구 • 바오산구 • 쉬후이구 • 쑹장구 • 양푸구 • 자딩구 • 자베이구 • 진산구 • 징안구 • 창닝구 • 충밍구 • 칭푸구 • 펑셴구 • 푸둥신구 • 푸퉈구 • 황푸구 • 훙커우구
|
|
산둥성
|
더저우시 • 둥잉시 • 라오청시 • 르자오시 • 린이시 • 빈저우시 • 옌타이시 • 웨이팡시 • 웨이하이시 • 지난시 • 지닝시 • 짜오장시 • 쯔보시 • 칭다오시 • 타이안시 • 허쩌시
|
|
장쑤성
|
난징시 • 난통시 • 롄윈강시 • 쉬저우시 • 쑤저우시 (장쑤성) • 쑤첸시 • 양저우시 • 옌청시 • 우시시 • 전장시 • 창저우시 • 타이저우시 • 화이안시
|
|
저장성
|
닝보시 • 리수이시 • 사오싱시 • 원저우시 • 자싱시 • 저우산시 • 진화시 • 취저우시 • 타이저우시 • 항저우시 • 후저우시
|
|
푸젠성
|
난핑시 • 닝더시 • 룽옌시 • 샤먼시 • 싼밍시 • 장저우시 • 취안저우시 • 푸저우시 • 푸톈시
|
|
안후이성
|
루안시 • 마안산시 • 벙부시 • 보저우시 • 쉬안청시 • 쑤저우시 (안후이성) • 안칭시 • 우후시 • 추저우시 • 츠저우시 • 퉁링시 • 푸양시 • 허페이시 • 화이난시 • 화이베이시 • 황산시
|
|
장시성
|
간저우시 • 난창시 • 상라오시 • 신위시 • 이춘시 • 잉탄시 • 주장시 • 지안시 • 징더전시 • 푸저우시 • 핑샹시
|
|
허난성
|
난양시 • 뤄양시 • 뤄허시 • 상추시 • 쉬창시 • 신샹시 • 신양시 • 싼먼샤시 • 안양시 • 자오쭤시 • 저우커우시 • 정저우시 • 주마뎬시 • 지위안시 • 카이펑시 • 푸양시 • 핑딩산시 • 허비시
|
|
후베이성
|
샤오간시 • 샹양시 • 선눙자 • 셴닝시 • 셴타오시 • 스옌시 • 쑤이저우시 • 어저우시 •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우한시 • 이창시 • 징먼시 • 징저우시 • 첸장시 • 톈먼시 • 황강시 • 황스시
|
|
후난성
|
뤄디시 • 사오양시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샹탄시 • 웨양시 • 융저우시 • 이양시 • 장자제시 • 주저우시 • 창더시 • 창사시 • 천저우시 • 헝양시 • 화이화시
|
|
광둥성
|
광저우시 • 둥관시(동관시) • 마오밍시 • 메이저우시 • 사오관시 • 산웨이시 • 산터우시 • 선전시 • 양장시 • 윈푸시 • 자오칭시 • 잔장시 • 장먼시 • 제양시 • 주하이시 • 중산시 • 차오저우시 • 칭위안시 • 포산시 • 허위안시 • 후이저우시
|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강시 • 구이린시 • 난닝시 • 라이빈시 • 류저우시 • 바이써시 • 베이하이시 • 우저우시 • 위린시 • 충쭤시 • 친저우시 • 팡청강시 • 허저우시 • 허츠시
|
|
하이난성
|
단저우시 • 둥팡시 • 딩안현 • 러둥 리족 자치현 • 린가오현 • 링수이 리족 자치현 •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 바이사 리족 자치현 • 싼사시 • 싼야시 • 완닝시 • 우즈산시 • 원창시 • 창장 리족 자치현 • 청마이현 •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 충하이시 • 툰창현 • 하이커우시
|
|
홍콩
|
가우룽싱구 • 군통구 • 남구 • 다이보구 • 동구 • 레이도구 • 박구 • 사이궁구 • 사틴구 • 삼서이보구 • 야우짐웡구 • 완자이구 • 웡다이신구 • 윈롱구 • 중사이구 • 췬완구 • 콰이칭구 • 튄문구
|
|
마카오
|
대당구 • 성로렌수당구 • 성안토니우당구 • 왕더당구 • 코타이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화지마당구
|
|
랴오닝성
|
다롄시 • 단둥시 • 랴오양시 • 번시시 • 선양시 • 안산시 • 잉커우시 • 진저우시 • 차오양시 • 톄링시 • 판진시 • 푸순시 • 푸신시 • 후루다오시
|
|
지린성
|
라오위안시 • 바이산시 • 바이청시 • 쑹위안시 • 쓰핑시 • 옌볜조선족자치주 • 지린시 • 창춘시 • 퉁화시
|
|
헤이룽장성
|
다싱안링지구 • 다칭시 • 무단장시 • 솽야산시 • 쑤이화시 • 이춘시 • 자무쓰시 • 지시시 • 치치하얼시 • 치타이허시 • 하얼빈시 • 허강시 • 헤이허시
|
|
산시성 (섬서성)
|
바오지시 • 상뤄시 • 셴양시 • 시안시 • 안캉시 • 옌안시 • 웨이난시 • 위린시 • 퉁촨시 • 한중시
|
|
닝샤후이족자치구
|
구위안시 • 스쭈이산시 • 우중시 • 인촨시 • 중웨이시
|
|
간쑤성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 딩시시 • 란저우시 • 룽난시 • 린샤 후이족 자치주 • 바이인시 • 우웨이시 • 자위관시 • 장예시 • 주취안시 • 진창시 • 칭양시 • 톈수이시 • 핑량시
|
|
칭하이성
|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 시닝시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둥시 •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
신장위구르자치구
|
바인골린몽골자치주 • 보얼타라몽골자치주 • 아라얼시 • 아러타이지구 • 아크수지구 • 우루무치시 • 이리카자흐자치주 • 창지후이족자치주 • 카라마이시 • 카슈가르지구 • 키질수키르기스자치주 • 타르바가타이지구 • 투르판시 • 투무수커시 • 하미시 • 호탄지구
|
|
충칭시
|
난안구 • 난촨구 • 다두커우구 • 다쭈구 • 뎬장현 • 량핑구 • 룽창구 • 바난구 • 베이베이구 • 비산구 • 사핑바구 •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스주 투자족 자치현 • 완저우구 • 우룽구 • 우산현 • 우시현 • 위베이구 • 위중구 • 윈양현 •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융촨구 • 장베이구 • 장진구 • 주룽포구 • 중심지구 • 중현 • 창서우구 • 청커우현 • 첸장구 • 치장구 • 카이저우구 • 퉁난구 • 퉁량구 • 펑두현 •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 펑제현 • 푸링구 • 허촨구
|
|
구이저우성
|
구이양시 • 류판수이시 • 비제시 • 안순시 • 쭌이시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퉁런시
|
|
쓰촨성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광안시 • 광위안시 • 난충시 • 네이장시 • 다저우시 • 더양시 • 량산 이족 자치주 • 러산시 • 루저우시 • 메이산시 • 몐양시 • 바중시 • 쑤이닝시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 야안시 • 이빈시 • 쯔궁시 • 쯔양시 • 청두시 • 판즈화시
|
|
윈난성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다리바 이족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리장시 • 린창시 • 바오산시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위시시 • 자오퉁시 • 추슝 이족 자치주 • 취징시 • 쿤밍시 • 푸얼시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
티베트자치구
|
나취시 • 라싸시 • 르카쩌시 • 린즈시 • 산난시 • 아리지구 • 창두시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