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청시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윈청시(중국어: 运城市 yùn chéng shì)는 중국 산시성 (산서성) 서남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1][2][3][4]
개요[편집]
윈청시의 면적은 14,183㎢이며 인구는 4,774,508명(2020년)이다. 북쪽으로 뤼량산(吕梁山, 여양산)을 사이로 린펀시(临汾市, 임분시), 동쪽으로 진청시(晋城市, 진성시)와 인접해 있다. 서쪽과 남쪽은 산시성 (섬서성) 웨이난시(渭南市, 위남시), 허난성(河南省) 싼먼샤시(三门峡市)와 황하(黃河)를 사이로 마주하고 있다.
시의 남쪽에 있는 제츠호는 역사가 오래된 소금못으로, 일찍부터 소금을 중심으로 한 상업이 발달하였으며, 현재도 중국 유수의 소금 산지를 이룬다.
진(秦)·진(晋)·예(豫) 황하금삼각(黄河金三角)에 위치한 지급시(地级市)로 고칭(古称)은 하동(河东)이며 삼국시기 촉한(蜀汉)의 명장 관우(关羽)의 고향이다.
예전에는 하동(河東)으로 불렸다. 시내에 있는 소금 호수인 해지(解池)에서는 예부터 소금이 생산되어 이곳의 소금은 당나라 때 장안으로 보내졌다. 2008년 7월 25일 베이징으로 가는 봉송 성화가 이곳을 통과하였다.[5] [6]
자연환경[편집]
시내 남쪽에 펼쳐진 소금호수 해지 (解池)에선 과거부터 질 좋은 소금인 하동염(河東鹽)이 생산되어 윈청의 번영을 이끌었다. 동북쪽 20km 지점의 샤현 (夏县)은 하나라 시기 수도였고, 60km 떨어진 장현(绛县)은 춘추시대 진헌공의 수도였다. 시내에서 염호를 따라 서남쪽으로 10여km 가면 쉐저우(解州)가 나오는데 관우의 고향으로서 暶관제묘(关帝庙)가 있다. 또한 시내에서 서쪽으로 50km 가면 융지현(永济县)이 나오는데 이곳은 황하가 오르도스 지역을 둘러싸고 남으로 내려가다가 동으로 꺾어져 흘러가는 중추지로써 전국시대 위나라의 초창기 수도 안읍(安邑)이었던 곳이고 당나라 대에 10도 중 하나인 하동도(河东道)의 치소로서 포주(蒲州)라고 불렸던 곳이다.
연평균강수량은 525㎜, 연평균 기온은 13℃이다.
역사[편집]
윈청시(运城市, 운성시)의 역사는 유구하여 옌후구(盐湖区, 염호구) 경내 제저우진(解州镇, 해주진)은 상고시대 염제(炎帝)와 황제(黄帝)간의 대규모 전투로 황제가 염제를 격파하고 화하족의 융합되고 확대되는 계기가 된 반천지전(阪泉之战)이 발생한 장소라는 설이 있으며, 순(舜)이 포판(蒲坂)에, 우(禹)는 안읍(安邑)에 도읍하였고 하(夏)의 도성(都城)도 모두 이곳에 위치하였다. 춘추시기에는 진(晋)에 속하였고 진헌공(晋献公)은 B.C. 669년 지금의 장현(绛县, 강현)인 강(绛)에 도읍을 정하였다.
진(晋)이 한(韩)·조(赵)·위(魏) 3개 국가로 분리된 후 윈청(运城)은 위(魏)에 속하였고 당시 위(魏)의 도성은 지금의 샤현(夏县, 하현) 우왕성(禹王城) 일대인 안읍(安邑)이었다.
시인민정부는 옌후구(盐湖区, 염호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옌후구(盐湖区, 염호구)의 1개 시할구, 융지시(永济市, 영제시), 허진시(河津市, 하진시)의 2개 현급시와 루이청현(芮城县, 예성현), 린이현(临猗县, 임의현), 완룽현(万荣县, 만영현), 신장현(新绛县, 신강현), 지산현(稷山县, 직산현), 원시현(闻喜县, 문희현), 샤현(夏县, 하현), 장현(绛县, 강현), 핑루현(平陆县, 평륙현), 위안취현(垣曲县, 원곡현)의 10개 현(县)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편집]
소금 산업이 유명하다. 원나라 때부터 소금생산으로 이름을 날렸던 도시이며, 현재도 지명에 염(盐,鹽)이 들어갈 정도로 윈청시의 소금산업은 중국 전역에서 상당히 이름을 날리고 있다. 또한 중국 내에서는 공업이 발달하지 못 한 도시이기 때문에 공업으로 내는 시 수입은 별로 없으며 시 세수 대부분을 농업으로 벌어들이는데, 시 정부에서도 이쪽으로 방향을 정했는지 황무지 개간에 열을 올리고 있다.
관우의 고향이라서 관광객도 많은데, 연 9,800만 여명의 관광객이 윈청을 방문한다고 한다. 또한 보통 중국의 중소도시는 중국 본토인이 대부분인 경우가 많은데 여긴 관우의 고향이라는 것 때문에 관광객이 많은 것인지라 홍콩, 마카오, 대만에서도 상당한 수의 관광객이 방문한다고 한다.
관광[편집]
경내에는 관광지 및 명소가 1,600여 개소에 달하며 국가급 문물 보호단위 22개소가 있는데 제저우관제묘(解州关帝庙), 저명한 명루(名楼)인 융지시(永济市, 영제시)의 관작루(鹳雀楼), 예술궁전(艺术宫殿) 루이청현(芮城县, 예성현)의 영락궁(永乐宫), 서유기(西厢记) 고사가 발생한 지역인 융지시(永济市, 영제시)의 보구사(普救寺), 윈청(运城, 운성) 염호(盐湖), 및 옌후구(盐湖区, 염호구)의 순제릉(舜帝陵), 황하대철우(黄河大铁牛, 황하대철우), 만영추풍루(万荣秋风楼), 샤현(夏县, 하현)의 사마광묘(司马光墓) 등이 있다.
출신인물[편집]
관우[편집]
자(字)는 운장(雲長, 원래의 자는 장생(長生))이다. 시호(諡號)는 장목후(壯繆侯, 壯穆侯라고도 쓴다)이다. 오래전부터 중국의 민간에서 충의(忠義)와 무용(武勇)의 상징으로 여겨져 무성(武聖)이나 관성제군(關聖帝君), 관제성군(關帝聖君) 등으로 숭배되었고, 줄여서 관성제, 관제군, 관제, 성제 등으로도 불린다. 《삼국지연의》에는 아름다운 수염을 가지고 있었고, 유비(劉備)·장비(張飛)와 함께 의형제로 도원결의(桃園結義)를 맺었다고 묘사되어 있다. 때문에 미염공(美髯公)이나 관이야(關二爺) 등으로도 불린다.
중국 하동군 해현(河東郡 解縣, 현재의 산시성[山西省] 윈청시[運城市]) 출신으로 이곳은 중국 최대의 염호(塩湖)인 해지(解池)가 있어 소금 생산지로 유명했던 곳이다. 한(漢) 나라에서는 소금이 국가 전매품이어서 밀매가 성행했는데, 관우는 소금 밀매에 관여하다가 염상(塩商)을 죽이고 유주 탁군(幽州 涿郡, 지금의 허베이성[河北省] 줘저우시[涿州市])으로 도피했다. 그리고 그곳에서 유비를 만나 장비와 함께 그의 호위관이 되었다. 유비가 평원상(平原相)이 되었을 때 관우는 장비와 함께 별부사마(別部司馬)가 되어 군대를 나누어 통솔했다. 유비와 관우, 장비는 형제처럼 관계가 돈독하였다고 한다.
199년 유비는 서주자사(徐州刺史) 차주(車胄)를 죽이고 하비성(下邳城)을 차지했고, 유비가 소패(小沛)로 귀환한 뒤에도 관우는 남아서 하비성을 지키며 태수(太守)의 일을 맡았다. 그러나 200년 조조(曹操)가 동정(東征)에 나서 유비가 원소(袁紹)에게 투항하자, 관우는 유비의 가족과 함께 조조에게 붙잡혀 포로가 되었다. 조조는 관우를 편장군(偏將軍)으로 삼아 후하게 대우했으며, 관우는 백마(白馬)에서 벌어진 원소와의 전투에서 장료(張遼)와 함께 선봉으로 나서 원소의 수하장수인 안량(顔良)을 죽이는 공을 세우기도 했다. 조조는 관우를 한수정후(漢壽亭侯)로 봉했으나 관우는 조조를 떠나 다시 유비에게 합류했다. 그리고 유비와 함께 형주(荊州)의 유표(劉表)에게 가서 신야(新野)에 주둔했다.
208년 유표가 죽은 뒤 형주목(荊州牧)의 지위를 계승한 유종(劉琮)은 남하한 조조의 군대에 항복했다. 그러자 관우는 유비와 함께 하구(夏口)에 주둔하던 유표의 장남 유기(劉琦)와 합류했다. 그리고 손권(孫權)과 연합해 벌어진 적벽대전(赤壁大戰)에서 조조의 군대를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그 뒤 형주의 남군(南郡)을 둘러싸고 벌어진 공방전에서는 조조의 원군을 차단하는 임무를 맡았고, 유비가 강남의 무릉군(武陵郡)·장사군(長沙郡)·계양군(桂陽郡)·영릉군(零陵郡) 등을 차지한 뒤에는 양양태수(襄陽太守), 탕구장군(盪寇將軍)으로 임명되어 강북 지역에 주둔했다.
유비가 익주(益州) 정벌에 나섰을 때에도 관우는 형주에 남아 그곳을 지켰다. 215년에는 손권의 수하장수인 여몽(呂蒙)이 형주 공략에 나서 장사군·계양군·영릉군을 공격해오자 관우는 병사를 이끌고 출정해 익양(益陽)에 주둔했다. 그러나 조조가 한중(漢中)을 공격해오자 노숙(魯粛)과의 담판으로 다시 손권과의 화친을 이끌어냈다. 219년 유비가 한중왕(漢中王)이 된 뒤에 관우는 전장군(前將軍)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이 해에 조인이 지키던 번성(樊城)과 여상(呂常)이 지키던 양양(襄陽)을 포위해 공격했다. 조조는 조인을 지원하기 위해 원병을 보냈는데, 우금(于禁)이 이끌던 원병은 범람한 강물에 갇혀 관우의 포로가 되었다. 관우의 공세로 천도를 고려해야 할 정도로 위협을 느낀 조조는 서황(徐晃)을 장수로 한 원군을 번성으로 보내는 한편, 강남의 영유권을 넘기는 조건으로 손권과 손을 잡았다. 손권은 자신의 영토인 상관(湘關)에서 관우가 쌀을 공출해간 것을 구실로 관우의 배후를 기습해 형주의 남군을 점령했고, 관우는 조조와 손권에게 양쪽에서 협공을 당하게 되었다. 결국 관우는 조조가 원군으로 보낸 서황의 군대에 패해 번성의 포위를 풀고 맥성(麥城)으로 퇴각했다. 그리고 포위를 뚫고 탈출을 시도하다가 중국 건안(建安) 24년 음력 12월에 임저(臨沮)에서 아들인 관평(關平)과 함께 손권의 군대에 붙잡혀 참수되었다. 손권은 그의 머리를 조조에게 보냈고, 조조는 제후의 예로 장례를 치렀다고 한다. 오늘날 그의 몸이 매장된 것으로 알려진 후베이성(湖北省) 당양(當陽)의 무덤은 관릉(關陵)으로, 그의 머리가 매장되었다는 허난 성(河南省) 뤄양(洛陽)의 무덤은 관림(關林)으로 불린다.
관우의 죽음에 분노한 유비는 221년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정벌에 나서 당양의 그의 무덤에 제사를 지내고 옥천산(玉泉山)에 사당을 세웠다. 그리고 유비의 아들인 유선(劉禪)은 260년 관우에게 장목후(壯繆侯)라는 시호를 주었다. 관우에게는 관평 이외에 관흥(關興)이라는 아들이 있었고, 관흥에게는 관통(關統)과 관이(關彛)라는 아들이 있었다. 그러나 263년 촉나라가 멸망했을 때 관우에게 죽임을 당한 방덕(龐德)의 아들 방회(龐會)가 관우의 후손들을 모두 몰살시켰다고 전해진다.
《삼국지연의》에서 관우는 신장이 9척이나 되고, 붉은 얼굴에 2척이나 되는 길고 아름다운 수염을 가지고 있으며, 82근이나 되는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를 휘두르고, 적토마(赤兎馬)를 탄 용맹한 장수로 묘사된다. 그리고 유비·장비와 의형제로 도원결의를 맺었고, 화타가 마취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독화살을 맞은 어깨를 째서 뼈를 긁어내는 수술을 하는데도 태연하게 바둑을 두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그리고 맏아들인 관평은 양자로 기록되어 있고, 관색(關索)이라는 아들도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하지만 이 내용들은 모두 실제의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고, 후대에 각색되어 덧붙여진 것들이다.
관우는 오래전부터 충의와 무용의 상징으로 중국의 민간에서 각별히 숭배되었다. 송(宋)나라 이후에는 관제묘(關帝廟)를 세워 그를 무신(武神)이나 재신(財神)으로 모시는 등 민간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도교에서는 그를 협천대제(協天大帝)·복마대제(伏魔大帝)·익한천존(翊漢天尊) 등으로 숭배하며, 유교에서도 문형성제(文衡聖帝)로 숭배된다. 불교에서도 그를 호법신(護法神)의 하나로 받아들여 가람보살(伽藍菩薩)로 숭배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우 숭배는 임진왜란 때 파병된 명나라 병사들을 통해 조선에 전해지기도 했는데, 1601년(선조 34)에는 명나라의 요청으로 왕궁 인근에 관우에게 제사를 지내는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세워지기도 했다. 줄여서 동묘(東廟)라고도 불리는 동관왕묘는 1963년에 보물 제142호로 지정되었다.[7]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윈청시〉, 《위키백과》
- 〈윈청시〉, 《나무위키》
- 〈산시성(산서성)〉, 《위키백과》
- 〈산시성(산서성)〉, 《나무위키》
- 〈두산백과: 윈청〉, 《네이버 지식백과》
- 〈중국행정구획총람: 윈청시〉,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 관우〉,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