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성동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동 행정구역

성동(城東)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주변 지역을 뜻한다. '성동'이라는 이름은 한양도성동쪽(東)에 있다 하여 붙여진 것이다. 성동구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북으로는 청계천천호대로를 끼고 동대문구에 접한다. 동으로는 동일로를 경계로 광진구에 접하고, 남으로는 한강을 끼고 강남구, 서로는 중구·용산구에 접한다. [1]

개요[편집]

성동구는 용산구와 함께 사대문 안-강남 사이에 있어, 양 방향으로 접근이 용이하고 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사대문 안에서 강남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어 위치상으로도 상당히 요충지이며 2000년대에 들어 왕십리역에 지하철 노선이 4개 이상 개통되며 크게 발전하는 중이다. 이 과정에서 왕십리 일대가 많이 발전했다. 그렇지만 정작 지하철로 경의중앙선 한 정거장 거리[9]인 청량리와는 접근성이 영 좋지 못한데, 왕십리에서 청량리로 넘어가는 쪽의 간선도로망이 청계천을 건너는 문제로 잘 정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거리상으로만 보면 연담화도 가능하겠지만, 실제 교통상의 문제로 현재는 왕십리 독자적으로 성장 중이다. 대부분의 지역이 100m 이하의 저지대를 이룬다. 중앙 지역은 청계천과 중랑천이 합류하여 한강으로 흘러드는 지역으로 범람원에 해당하는 하천퇴적지형이다. 이 지역에는 남산 줄기로 중구 신당동, 용산구 한남동, 성동구 옥수동의 경계를 이루는 응봉산(鷹峰山)을 비롯하여 대현산·금호산·매봉산 등이 있으나 산 정상 부근까지 주택지가 개발되고 도로도 개설되어 산으로서의 천이가 중단되었다. 서울을 서에서 동으로 관통하는 청계천과 의정부에서 한강으로 흐르는 중랑천이 이 지역에서 합류하여 한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한강 연안에 위치하고 있어 편서풍대의 영향을 받아 연평균 기온은 13.3°C, 1월 평균기온은 -1.5°C, 8월 평균기온은 26.1°C이며, 연 강수량은 1,499㎜ 내외이다.[2][1]

역사[편집]

  •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성동구가 설치되었다. (관할구역: 상왕십리정, 하왕십리정, 마장정, 사근정, 행당정, 응봉정, 금호정, 옥수정, 신당정)
  • 1946년 신당동 내에서 청사 이전
  • 1946년 8월 16일 경기도 서울시 성동구 설치.
  • 1946년 9월 28일 서울특별 자유시 성동구 설치(관할구역: 상왕십리동, 하왕십리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동, 응봉동, 금호동, 옥수동, 신당동)
  • 1949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 성동구가 됨.
  • 1949년 8월 13일 경기도 고양군 뚝도면이 성동구로 편입되었고, 새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하여 성동구 뚝도 출장소가 설치되었다. 성동구 뚝도 출장소의 관할지역은 서뚝도리, 동뚝도리, 송정리, 화양리, 모진리, 능리, 군자리, 중곡리, 면목리, 구의리, 광장리, 신천리, 잠실리, 자양리였다.
  • 1949년 10월 5일 정식 청사를 신당동에 착공하였다.
  • 1950년 서뚝도리, 동뚝도리가 성수동 1가, 성수동 2가로, 송정리가 송정동으로, 화양리가 화양동으로, 모진 리가 모진동으로, 능리가 능동으로, 군자리가 군자동으로, 중곡리가 중곡동으로, 면목리가 면목동으로, 구의리가 구의동으로, 광장리가 광장동으로, 신천리가 신천동으로, 잠실리가 잠실동으로, 자양리가 자양동으로 각각 바뀌었다.
  • 1959년 하왕십리동 중 일부를 도선동으로 분리하였다.
  • 1962년 12월 12일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중대면, 구천면 등이 성동구로 편입되었고, 면목동은 동대문구로 편입되었다.
  • 1964년 9월 28일 하왕십리동 중 일부를 홍익동으로 분리하였다.
  • 1966년 신당동 중에서 황학동과 흥인동을, 하왕십리동 중에서 무학동을 법정동으로서 분리하였다.
  • 1970년 5월 18일 법정동과 행정동을 일치시킬 때, 수도 동사무소를 청담동 사무소로 개칭하였다.
  • 1973년 7월 1일 영등포구 반포동·잠원동·서초동·양재동·우면동·원지동이 성동구로 편입되었다.
  • 1975년 8월 1일 - 신당동, 상왕십리동의 일부가 중구에 편입되었다.
  • 1975년 10월 1일 명일동 등이 강남구로 분리되고, 신당동과 황학동 등이 중구로 편입되었다. 장한평 일대가 장안동으로 신설되며 동대문구로 편입되었다. 이에 따라 성동구청이 중구로 편입되었다.
  • 1977년 3월 성동구청사를 자양동 민주공화당 훈련원(현재의 광진구청)으로 이전하였다.
  • 1995년 3월 1일 중곡동 등이 광진구에 속하게 되었다. (20행정동) 성동구청사가 광진구청사로 승계되었다.
  • 1995년 3월 2일 청사 이전 (청계천로 540 (마장동 527-6)번지, 현 시설관리공단)
  • 2004년 5월 1일 청사 이전 (고산자로 270 (행당1동 7)
  • 2008년 8월 11일 왕십리 1동과 도선동을 왕십리도 선동으로, 금호 2가동과 금호 3가동을 금호 2·3가동으로, 옥수 1동과 옥수 2동을 옥수동으로 합동하였다. (17행정동)
  • 2012년 10월 : 분당선이 개통되었다.
  • 2020년대 : 왕십리역 남쪽 소월아트홀으로 성동구청을 이전할 계획이 수립되었다.[3]

지역 특징[편집]

성동구 일대는 마장동과 성수동 등을 제외하면 체계적으로 개발되지 못했고, 난개발로 진행되면서 주택들이 어지럽게 밀집되었으나, 재개발 사업이 대부분 완료되어 고품격 아파트가 들어섰다. 금호동 일대에는 박원순 시장 취임 후 재개발 방식이 현 주민 위주로 변경되어 사업 진행이 속도를 내지 못하거나 취소된 곳도 몇 군데 있다. 왕십리로터리에서 을지로로 통하는 왕십리로 연변에는 상가와 업무 기능이 발달해 있으며 성수 일대는 저층 경공업 공장이 밀집해 있다. 디자인서울의 일환으로 옛 뚝섬 경마장 자리에 대규모 녹지공원인 서울숲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정문의 경우 위치가 애매한 편이며 분당선의 서울숲 역을 통해 나오면 갤러리아 포레 빌딩 방향으로 가게 된다.

성동구의 중심지역은 왕십리역 주변으로 인근 지역에는 이 지역 유일의 4년제 대학교인 한양대학교가 들어서 있으며, 이 인근은 성동구에서 최초로 스타벅스가 들어선 지역이다. 게다가 요 근래 왕십리 민자역사의 완공과 함께 엔터식스 파크에비뉴가 개장하면서 반경 300m 이내에 스타벅스가 세 곳이나 있다. 왕십리역은 왕십리에 있는 게 아니라 행당에 있다. 성동구는 서울 강북 동부에서 동대문구, 성북구, 강북구와 함께 난개발이 심했던 지역이며, 산이 매우 많아 곡선인 도로들이 많고 그에 따라 구획정리도 상당히 어렵다. 산동네답게 구불구불한 도로들이 너무 많고 거기다가 행당동이나 금호동, 옥수동 쪽은 도로의 경사도 가파른 편. 산동네에 집들이 계획 없이 우후죽순 들어선 결과라고 하겠다. 그래서 이들 지역에서 배민커넥트와 쿠팡이츠 음식배달을 하거나 퀵서비스 일을 하는 사람들은 곳곳에 있는 가파른 언덕과 계단을 항상 주의해야 한다.

2010년대 들어 성수동 일대가 새로운 부자동네로 뜨면서 갤러리아 포레, 성수동 트리마제,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등의 고급 아파트들이 들어서고 있다. 천지개벽 수준으로 아파트들이 들어선 옥수동, 금호동, 그리고 왕십리 뉴타운으로 개발된 왕십리권까지 2022년 기준 상당히 높은 평단가를 기록하고 있으며, 강남과의 접근성을 살려 강남3구에 이어 소위 마용성으로 불리며 소득수준이 높은 자치구라고 인식되고 있다. 서울 시내의 자치구들 중 관할 면적이 좁은 편이다. 2020년 시점의 인구는 자치구들 중 뒤에서 5위를 기록하고 있다.[1]

관광[편집]

  • 청계천 : 남산, 북악산 등에서 발원하여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성동구 등을 거치며 중랑천과 합류한 뒤 한강으로 흘러드는 마른 하천이다. 한강은 동에서 서로 흐르는 반면에 청계천은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 본래의 이름은 개천(開川)이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청계천”으로 바뀌어 오늘날의 이름이 되었다.
  • 살곶이다리 : 살곶이다리는 보물 제1738호로 청계천이 중랑천과 만나 한강으로 흘러드는 지역에 있으며, 현재의 위치는 한양대학교에서 내려다보이는 개울 부근이다. 조선의 수도인 한성부와 한반도 남동부를 잇는 주요 교통로에 세워진 다리로 강릉·충주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였다. ‘전곶교’라고도 한다. 현존하는 조선 시대 돌다리 중 가장 길다. 1420년 세종 2년에 다리를 짓기 시작해 1483년 성종 14년에 완공했다.
  • 응봉산 : 성수대교 북단, 서울 지하철 2호선 뚝섬역과 한양대역 사이에 보이는 야트막한 언덕이다. 도심에서 멀지 않으면서도 전망이 탁 트여 있다. 동쪽으로는 성수대교 교차로와 강남 빌딩군, 서쪽으로는 동호대교와 한강의 풍경을 찍을 수 있다.
  • 서울숲 : 본래 골프장과 승마장이 있었던 지역으로,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약 2352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2005년 6월에 완성하였다. 면적은 1,156,498m2 (약 35만 평)이며, 5개의 테마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강과 중랑천이 공원 근처에 흐르고 있다. 마포구 월드컵공원 (100만 평)과 송파구 올림픽공원 (50만 평)에 이어 서울에서 세 번째 큰 규모의 공원이다.
  • 뚝도 수원지 제1정수장 : 서울에 최초로 설치된 수원시설이었다. 1903년 미국인 콜브란 과 보스트 웍크는 대한 제국 정부로부터 상수도 시설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이들은 정수장의 송수실과 완속 여과지를 1906년 8월에 착공하여 1908년 8월에 준공하였다. 당시 정수장 건물은 수도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3]

교통[편집]

성동 내부 교통은 의외로 불편한 점이 많다. 먼저, 중랑천을 경계로 동서 방향이 갈리지만 대중교통으로 이동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당장 성수동과 금호/옥수동 사이를 이동하려면 용비교를 타는게 지름길이지만 2016년까지 용비교를 가로지르는 버스가 전혀 없었을 정도이다. 2016년 4월 11일부터 성동 13번 마을버스가 드디어 생겨났다. 옥수역에서 용비교를 지나 서울숲과 이마트 성수점을 지나 성수역으로 향하는 루트. 사실 금남시장을 중심으로 놓고 보자면 81-1, 81, 76, 154, 155 등의 버스 등이 성동구와 중구, 용산구를 가로지르며 다녔지만 여러차례 버스 통폐합 이후 노선이 생략되며 사정이 안좋아진 탓이 크다. 용비교는 강변북로 대체도로인 뚝섬로-서빙고로 측선이, 응봉교는 성수대교를 거쳐 강남으로 이어지는 기능이 주된 역할이기에 성수동과 성동구 나머지 지역을 잇는 역할은 성동교를 거쳐야 하는 일이 많다. 또한 성수동 북쪽 중랑천 건너편으로는 군자차량사업소와 중랑물 재생센터가 가로막고 있으며, 청계천 또한 제2마장교부터 중랑천 합류부까지 차량 통행이 가능한 교량이 없어 용답동도 성동구 타 지역과 막혀 있는 편이다.

금호-행당동 언덕 지역의 경우 난계로-금호로가 남북으로 관통하며 동서 방향으로는 청구로-행당로가 있지만 심한 고저차로 5호선이 지하 깊숙히 파묻히는 등 불편함을 유발하기도 한다.다른 지역과 이어지는 교통망은 잘 갖춰진 편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과 천호대로, 아차산로, 왕십리로 등이 동서로 가로지르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과 고산자로, 동일로, 동부간선도로가 남북으로 관통하며 동호로가 서쪽 끝을 훑고 지나간다. 사근램프, 마장램프를 거쳐 내부순환로도 이용 가능하다. 성수대교와 동호대교가 강남구와 연결되어 있다. 강변북로의 경우 금호동, 옥수동에서는 진출입로가 아예 없고 성수동에서도 진출입 방향이 한정적이라 특히 서쪽 방향으로는 이용이 불편한 편이다. 용답동에는 군자차량사업소가 있다. 일반철도 이용객들에게는 좀 애매한 곳이다. 서울역/용산역과 수서역의 접근성은 거의 비슷한데, 어디서 출발하는지에 따라 서울역이 나을 수도 있고, 수서역이 나을 수도 있다. 그냥 열차 시간이 맞는 곳으로 이동하면 될 듯하다. 굳이 따지면 수인분당선이 직통으로 뚫어주는 수서역이 그나마 더 나을 수도 있다.[1]

교육 기관[편집]

산업[편집]

종로구, 중구, 강남구, 영등포구 여의도 같은 서울 내 전통적인 업무지구들이나 금천구의 가산디지털단지, 강서구의 마곡지구와 같이 비교적 최근에 떠오른 서울 내 업무지구들만은 못하지만, 그래도 마냥 베드타운인 구는 아니다. 일부 기업들의 본사가 위치해 있으며 2020년대 들어 IT 업체들을 위주로 성동구 성수동에 자리 잡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1]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1.0 1.1 1.2 1.3 1.4 성동구〉, 《나무위키》
  2. 성동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3.0 3.1 3.2 성동구〉,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성동 문서는 한국 지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