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이저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같이 보기)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구이저우성.png|썸네일|300픽셀|'''구이저우성''']] | ||
'''구이저우성'''(贵州省, 귀주성, {{발음|贵州省}})은 [[중국]] 서남부에 위치하였으며 성도는 [[구이양]]이다. 북쪽으로 [[쓰촨성]]과 [[충칭]], 동쪽으로 [[후난성]], 남쪽은 [[광시좡족자치구]]와 인접하였으며 서쪽으로는 [[윈난성]]과 접하였다. | '''구이저우성'''(贵州省, 귀주성, {{발음|贵州省}})은 [[중국]] 서남부에 위치하였으며 성도는 [[구이양]]이다. 북쪽으로 [[쓰촨성]]과 [[충칭]], 동쪽으로 [[후난성]], 남쪽은 [[광시좡족자치구]]와 인접하였으며 서쪽으로는 [[윈난성]]과 접하였다. | ||
8번째 줄: | 9번째 줄: | ||
* 성장: 첸이친(谌贻琴, {{발음|谌贻琴}}) | * 성장: 첸이친(谌贻琴, {{발음|谌贻琴}}) | ||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www.guizhou.gov.cn/ |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www.guizhou.gov.cn/ | ||
+ | 구이저우성을 약칭하여 '첸(黔)' 또는 '구이(貴)'라고도 부르며, 성도(省都)은 구이양(贵阳)이다. 중국 남서부의 윈구이고원(雲貴高原) 동쪽에 있다. 전국시대에는 초(楚) 나라의 검중(黔中)과 차란(且兰), 야랑(夜郎)의 영토였고, 한(汉) 나라 때는 형주(荆州)와 익주(益州)에 속하였으며, 당(唐) 나라 때 검중도(黔中道)가 설치되었다. 송(宋) 나라 개보(开宝) 연간에 토착민 지도자가 구주(矩州)를 이끌고 귀순하자 '구(矩)'를 '귀(贵)'로 고쳐 '구이저우[贵州:귀주]'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명(明) 나라 때는 귀주포정사사(贵州布政使司)를 두었고, 청(清) 나라에 이르러 구이저우성(贵州省)이 되었다. 면적은 17만여㎢이며, 행정구역은 둥난먀오족둥족(东南苗族侗族)·첸난(黔南)·첸시난부이족먀오족(黔西南布依族苗族)의 3개 자치주와 비제(毕节)·퉁런(铜仁) 2개 지역, 귀이양·류판수이(六盘水)·쭌이(遵义)·안순(安顺) 등 4개 지급시(地級市), 9개 현급시(县級市), 56개 현, 11개 자치현, 2개 특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황궈수[黄果树] 풍경지역을 포함한 약 90%의 시현(市县)이 대외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50여개 국가 및 지역과 경제무역 교류를 하고 있다. | ||
− | == | + | 구이저우(貴州)라는 이름은 성의 성도이자 중심도시인 구이양의 옛 이름인 귀주(貴州)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이름은 구주(矩州) 원나라 대에 '矩(곱자 구)'를 발음은 유사하면서 뜻은 더 좋은 '貴(귀할 귀)'로 표기를 바꾸었고 이후 명나라 대에 정식 행정구역인 귀주승선포정사사(贵州承宣布政使司)를 설치하고 청나라 대에 귀주성으로 개편하면서 귀주성이 되었다. 남서쪽의 윈난성과 같이 소수민족이 많은 곳으로, 인구의 약 40%가 소수민족이다. 구체적으로 한족이 62%, 묘족이 12%, 포의족이 8%, 동족이 5%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지역이 고원 지대이나, 윈난 성보다는 해발고도가 약간 낮아 1,000m 정도이며 카르스트 지형이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협곡과 석회동굴 등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카르스트 지형에서도 특히 옆동네 광시좡족자치구의 명성에 밀려 관광지로서 인지도는 훨씬 낮은 편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큰 폭포인 황궈수 폭포가 있다. |
− | + | ||
+ | 중국에서 1인당 GRDP가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이다. 2016년 기준 1인당 GRDP는 $4,988[6]로 31개 지역[7] 중 29위이다. 참고로 30위가 서쪽의 윈난 성($4,707)이고, 31위 꼴찌가 시베이(西北) 지역의 간쑤성($4,134)이다. 구이저우성은 2000년부터 시작된 서부대개발 등으로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2015년 10.7%, 2016년 10.5%의 성장을 기록해 2016년 중국 GDP 성장률 6.7%를 훨씬 뛰어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1인당 GRDP가 17,000 달러가 넘는 톈진시, 베이징시, 상하이시는 물론이고, 6 ~ 7천 달러 정도의 중위권과도 여전히 격차가 크다. 2016년 GRDP는 약 1,767억 달러로 31개 지역 중 25위이며, 중국 GDP의 약 1.5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라크 정도의 경제 규모이다. 그동안 국내 항공편이 전무했으나, 2016년 5월부터 이곳의 성도인 구이양(贵阳, 귀양)에 대한항공이 주 3회 취항을 확정지으면서 직항으로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인천국제공항은 매주 3회, 제주공항은 10월 말까지 주 3회에서 2회로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술로 유명한 마오타이 진이 속해있는 곳이기도 하다. 참고로 마오타이 진은 구이저우에서 성도인 구이양에 이어서 두번째로 잘사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그래서 술 수출 문제 때문에 운남성과 같이 미세먼지가 없는 구역이다.<ref name="밈">〈[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6386&cid=40942&categoryId=40001 구이저우성]〉,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지리 == | == 지리 == | ||
− | + | 지형은 고원·산지가 89%, 나머지 11%는 구릉·계곡분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르스트 지모(地貌)가 넓게 분포되어 있다. 지세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낮아지며 남쪽과 북쪽의 변경지역에서 급강하하여 광시(广西)와 쓰촨(四川) 분지로 이어진다. '삼척(三尺)의 평지도 없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지형이 절개되고 부서져 있다. 아열대 카르스트 지역에 속하는 험준한 고원으로 평균 해발 1100m이고, 650ha 이상의 평지는 귀이양(贵阳)·안순(安顺)·카이리(凯里)·두윈(都匀) 등 약 20개 지역에 분포한다. 지형은 3개 지역으로 나뉜다. | |
+ | *첸시(黔西) 산지고원:웨이닝(威宁)과 허장(赫章) 일대에 비교적 완전하게 보존된 고원지대가 있고, 다팡(大方)과 수이청(水城) 일대에 정상부가 완만한 산마루가 있으며 해발 1200~2200m이다. 우멍산(乌蒙山) 지역의 주차이핑(韭菜坪)은 해발 2900m로 구이저우성에서 가장 높다. | ||
+ | *첸중난(黔中南) 산지고원:중부의 먀오링(苗岭)은 1100~1500m이고, 양쯔강과 주장강(珠江) 수계의 분수령이다. 남부에는 카르스트 지형이 넓게 분포되어 있고 산과 계곡이 교차한다. | ||
+ | *첸베이(黔北) 산지:다러우산(大娄山)과 우링산(武陵山) 등을 포함하며, 그 사이에 있는 러우산관(娄山关)은 쓰촨과 구이저우를 잇는 요로이다. 우링산의 주봉인 판징산(梵净山)은 세계인류 및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
+ | 구이저우성은 중국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쓰촨성과 충칭시, 동쪽으로 후난성, 남쪽으로 광시 좡족 자치구, 서쪽으로 윈난성과 접한다. 구이저우성은 운귀고원이라고 불리는 윈난성으로부터 후베이성으로 향해 낮아지는 지형이며, 평균 해발 1,000m 정도의 고원이다. 북쪽은 시촨 분지에 고도가 낮아져서 오강으로 흘러와 중칭에서 장강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남쪽은 윈난성에서 흘러오는 홍수강의 상류의 구이양, 안순, 구이저우성의 중앙은 두 개 하천의 분수령이 되어 있다. 안순시의 황과촌 폭포는 홍수강의 지류 있는 아시아 최대의 폭포이다. 구이저우성의 80% 이상이 석회암으로 덮여 있어 중국에서도 이름난 카르스트 지대이다. 남부를 중심으로 봉림, 봉암지형으로 불리는 요철형 카르스트가 두드러져 있다. 2007년에 중국남방 카르스트의 하나로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 평지는 커다란 카르스트 분지로 평지가 드물다. 오강에서 시작하는 주요 하천은 고원면을 깊게 파서 협곡을 만들고 있다. 남부의 많은 하천이 지하에 흘러들어, 수십 킬로미터에 이르는 지하 하천이 형성된 곳이 많이 있다. 그래서 대규모의 석회동굴이 발달하여 수양현에 있는 쌍하동은 총 길이가 100km를 넘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긴 길이를 자랑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직금현의 직금동, 안순시의 용궁 등의 석회동이 개발되어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
− | + | 하천의 발원지는 대부분 중서부이며, 북쪽과 동쪽, 남쪽의 세 방향으로 흘러 빗자루 모양의 수계를 이룬다. 먀오링의 남북은 각각 주장강과 양쯔강 수계에 속하며 유역 면적의 비율은 약 3 대 7이다. 양쯔강의 지류인 우장강(乌江)은 우멍산에서 발원하며, 길이 1037㎞, 유역 면적은 8만 8000㎢이다. 구이저우성에 흐르는 우장강의 길이는 약 800㎞로 급류가 많은데, 과거 홍군(紅軍)이 장정(長征)에 나섰을 때 도하(渡河)를 강행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 |
+ | |||
+ | 주요 하천으로는 첸베이(黔北)의 츠수이강(赤水河), 첸둥난(黔东南)의 칭수이강(清水江)과 두류강(都柳江), 첸시난(黔西南)의 훙수이강(红水河) 상류인 난판강(南盘江)과 베이판강(北盘江) 등이 있다. 남서부과 북서부에는 지하 하류와 복류가 많다. 성내의 호수는 많지 않은데, 비교적 큰 호수는 북서쪽의 차오하이(草海)로 면적은 약 46 ㎢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6537&cid=40942&categoryId=34031 구이저우성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역사 == | == 역사 == | ||
− | [[춘추]]시기 양랑국이 구이저우지역에 있었으며 [[전국]]시기에 초나라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검중군(黔中郡)에서 구이저우를 관할하였다.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후 구이저우지역은 바군, 촉군, 검중군, 상군에 나누어서 관할하였으며 [[서한]]초기에는 건위군(犍为郡)과 강가군(牂牁郡)에 속하였으며 서한중기와 말기에는 강가군(牂牁郡)이 구이저우성 대부분의 지역을 관할하였다. [[당나라]]시기에 검중도(黔中道), 검주군(黔州郡), 검주도독부(黔州都督府)를 구이저우지역에 세우고 관할하였으며 이 시기에 지방 토사(土司)정권이 나타났다. 당나라 말기에 이족들의 발전하면서 나라를 세우고 [[송나라]] 말기에 이족들이 세우 라시귀국(罗施鬼国)이 송나라에 귀순하고 라전국(罗殿国)은 대리국에 귀순하였다. [[원나라]]는 팔반순원선위사(八番顺元宣慰司)를 세우고 구이저우성을 | + | [[춘추]]시기 양랑국이 구이저우지역에 있었으며 [[전국]]시기에 초나라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검중군(黔中郡)에서 구이저우를 관할하였다.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후 구이저우지역은 바군, 촉군, 검중군, 상군에 나누어서 관할하였으며 [[서한]]초기에는 건위군(犍为郡)과 강가군(牂牁郡)에 속하였으며 서한중기와 말기에는 강가군(牂牁郡)이 구이저우성 대부분의 지역을 관할하였다. [[당나라]]시기에 검중도(黔中道), 검주군(黔州郡), 검주도독부(黔州都督府)를 구이저우지역에 세우고 관할하였으며 이 시기에 지방 토사(土司)정권이 나타났다. 당나라 말기에 이족들의 발전하면서 나라를 세우고 [[송나라]] 말기에 이족들이 세우 라시귀국(罗施鬼国)이 송나라에 귀순하고 라전국(罗殿国)은 대리국에 귀순하였다. [[원나라]]는 팔반순원선위사(八番顺元宣慰司)를 세우고 구이저우성을 관할였지만 후에 우강(乌江)상유에 있는 압지하(鸭池河)를 분계선으로 수동, 수서로 나누어 수동은 송씨 토사가 통치하고 수서는 안씨 토사가 통치하였다. [[명나라]]초에는 이족 토사가 구이저우 대부분 지역을 관할하였다. 1413년, 명나라는 구이저우를 성으로 편입하고 구이저우성이라 불렀다. |
+ | |||
+ | 1935년에 중국홍군은 장정 도중에 구이저우성 준의(遵义)에서 준의회의를 열고 모저우둥의 영도를 확립하였다. 1959년 부터 1961년까지 중국의 3년 대 재해시기, 1960년 6월 구이저우성 장커우현(江口县)에서 많은 농민들이 굻어 죽었으며 현 전체 인구 10만명 중에 4만명이 굶어 죽었다. | ||
+ | |||
+ | == 기후 == | ||
+ | 구이저우성 전체가 아열대 고원이기 때문에, 극단적인 더위나 추위는 없다. 연 평균 기온은 14도에서 25도 전후이다. 연간 강수량은 1,000mm에서 1,400mm로, 주로 여름에 비가 많이 내린다. 광시 방면에서 습한 공기가 고원을 따듯하게 해 맑은 날은 적고, 비가 내리지 않아도 하늘이 흐린 날이 많다. 그래서 3일 맑은 날이 없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다. | ||
+ | |||
+ | 기후는 전역이 중아열대 습윤 계절풍기후에 속하며, 겨울에는 혹한이 없고 여름에는 폭염이 없다. 대부분 지역의 1월 평균기온은 3~6℃이고, 7월은 22~26℃이다. 무상기간(無霜期間)은 2월 중순에서 3월 초순부터 시작되며 8~10개월 정도 지속된다. 일평균기온은 0℃ 이상인 날수가 340~360일, 10℃ 이상인 날수가 220~250일이다. | ||
+ | |||
+ | 구이양[贵阳]의 서쪽은 여름철 다우(多雨) 지역이며 동쪽은 겨울철과 봄철 음우(阴雨) 지역이다. 일조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1년에 약 1200~1400시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 불리한 조건이다. 생장기 농업용수 수요치는 200~700㎜가 많다. 주요 재해성기후는 첸둥(黔东)에 여름 가뭄이 잦고, 첸시(黔西)에 우박으로 인한 피해가 심한 편이다. | ||
+ | <ref>〈[https://ko.wikipedia.org/wiki/%EA%B5%AC%EC%9D%B4%EC%A0%80%EC%9A%B0%EC%84%B1 구이저우성]〉, 《위키백과》</ref> | ||
+ | |||
+ | == 산업 == | ||
+ | 구이저우성은 산지가 많고, 토지자원은 경작지 10.6%, 임지 14.5%, 목초지 24.3%이다. 1인당 평균 경작지 면적은 600여㎡에 지나지 않지만 '의림산국(宜林山国)'이라고 불릴 만큼 삼림자원이 풍부하다. 식물자원도 전국에서 4위를 차지할 만큼 풍부하며, 품질 좋은 삼나무를 비롯하여 비타민C가 풍부한 야생 츠리(刺梨)와 다래 등 500여 종이 생산된다. 또 중국의 4대 한약재 생산지의 한 곳으로서 3000종에 이르는 약용식물이 있다. 특히 천마·두중·황련·석곡·오수유는 구이저우성에서 생산되는 5대 한약재로 잘 알려져 있다. 희귀동물로는 황금빛 털을 가진 원숭이인 금사후와 큰도롱뇽 등이 있다. | ||
+ | |||
+ | 광물자원은 매장량이 탐사된 종류만 64가지이다. 이 가운데 수은과 인광은 중국 전체 매장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데, 카이양(开阳)의 인광이 특히 유명하다. 또 광학수정, 화학비료용 규석과 요오드, 희토, 보크사이트 등의 매장량은 전국에서 1~2위를 차지한다. 첸시(黔西) 지방은 '석탄의 바다(煤海)'라고 불릴 정도로 석탄이 풍부하다. 코크스가 주종을 이루는 류판수이(六盘水) 탄전은 중국 남부에서 최대 규모이다. 잠재된 수력자원도 풍부하여 1874만kW에 이르며, 그중 개발 가능한 전력량은 1635만kW이다. | ||
+ | |||
+ | 농업은 기후와 토지의 유형이 다양하여 입체형 농업과 다각경영에 적합하다. 과거의 단순한 농업경제와 낮은 생산수준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리(水利)와 농기계 정비 등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는 동시에 농업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재배업의 생산액 비중이 67%로 가장 크고 나머지는 임업 4%, 목축업 28%, 어업 1%로 채워진다. | ||
+ | |||
+ | 곡물은 벼와 옥수수가 주종으로 각각 전체 작물의 50%와 30%를 차지한다. 경제작물은 유채와 담배가 가장 중요하다. 특히 담배 생산량은 윈난성에 이어 전국 2위이며, 구이딩옌(贵定烟)은 윈난성의 윈옌(云烟), 허난성의 쉬창옌(许昌烟)과 명성을 나란히 한다. | ||
+ | |||
+ | 삼나무가 생장하는 데 최적의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진핑(锦屏)의 삼나무는 전국에서도 유명하다. 삼림 부산품인 생칠과 오동나무 기름의 생산량은 각각 전국 1위와 2위를 차지한다. 또 코르크와 오구기름, 한약재, 찻잎 그리고 각종 온대 및 아열대 과일 등도 많이 생산된다. 윈우차(云雾茶)는 우수한 품질로 수요가 많다. 목초지가 넓어 마소와 돼지 등의 가축 사육도 전국에서 일정한 수준에 올라 있다. | ||
+ | |||
+ | 특산품으로는 아열대 삼림과 농산물이 다양하다. 주요 차 품종은 눙샹젠시(浓香尖细), 모양이 참새의 혀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마오젠차(毛尖茶), 시호(西湖)의 룽징차(龙井茶)에 필적하는 메이훙차(湄红茶), 푸른빛에 그윽한 향으로 이름난 쭌이(遵义)의 마오펑차(毛峰茶) 등이 있다. | ||
+ | |||
+ | 과일은 웨이닝(威宁)의 다황리(大黄梨), 싱이(兴义)의 다훙파오(大红袍) 귤, 뤄뎬(罗甸)의 황궈(黄果), 칭전(清镇)의 쑤리(酥李) 등이 잘 알려져 있다. '과일의 왕'이라 불리는 원숭이복숭아보다 비타민C가 6~10배 더 많이 함유된 야생과일 츠리의 주생산지이기도 하다. 첸둥난(黔东南)의 먀오링(苗岭) 산악지역은 중국과학원에서 삼나무 성장의 최적지로 조사·지정한 곳으로, 이곳에서 자란 삼나무는 품질이 우수하여 예로부터 국내외에서 각광을 받아왔다. 삼림 특산품으로는 표고버섯·목이·투망버섯과 한약재인 천마·두중·복령·하수오·오배자 등이 있다. 식용하는 투망버섯은 풍부한 단백질과 16가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산에서 나는 진미로서 조공품에 포함되었다. | ||
+ | |||
+ | 양조업은 역사가 유구하다. 런화이(仁怀)에서 주조되는 마오타이주[茅台酒]는 맑고 그윽한 향이 특징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술 중의 보배'로 인정받고 '국주(国酒)'라는 칭호를 얻었다. 쭌이의 둥궁사(董公寺) 마오타이진(茅台镇)에서 생산되는 자오주(窖酒) 역시 '둥주(董酒)'라 불리며 여러 차례 국가 명주로 인정받았다. 이밖에 시수이(习水)의 다취주(大曲酒), 야시(鸭溪)의 자오주(窖酒), 수십 가지 진귀한 한약재를 첨가한 주창(朱昌)의 자오주 등이 있다. | ||
+ | |||
+ | 특산 음식으로는 웨이닝의 햄, 두산(独山)의 옌쏸차이(盐酸菜;새콤달콤한 야채절임), 싼쑤이(三穗)의 반야(板鸭), 퉁런(铜仁)의 녹두가루 등이 있다. 전통 수공예 특산품인 라란(蜡染)은 안순(安顺), 첸둥(黔东)의 난먀오족(南苗族)·부이족·거라오족 부녀자들이 발명한 고대 민간의 실용 공예품이다. 그밖에 난먀오족의 자수와 십자수, 다팡(大方)의 칠기 그리고 위핑(玉屏)의 샤오디(箫笛) 등 민간악기와 핑탕(平塘)의 야저우투타오(牙舟土陶)가 있다. | ||
+ | |||
+ | 공업은 원래 기초가 취약하여 1949년 농공업의 총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에 지나지 않았다. 근래에는 59%까지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전국 평균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초보적이기는 하지만 기계·전자·석탄·건축자재·야금·화학공업을 중심으로 한 공업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중국 서남 지역의 중요 원자재 생산기지로 변모하였다. | ||
+ | |||
+ | 국방과학기술공업도 비교적 발달하여 항공·우주 및 전자 공업기지 가운데 하나로 발전하였다. 에너지공업은 기초산업의 하나로서 천연가스와 전력 부문이 나란히 발전하였고, 수력발전과 화력발전이 서로 보완하고 있다. 류판수이는 중국 서남 지역의 '석탄의 바다'라고 불리며, 우장두(乌江渡) 발전소는 전국 10대 수력발전소 가운데 하나이다. 야금공업은 일정 집단의 대형 및 중형 알루미늄·합금주철·강철공업 기업들이 활성화되어 있다. | ||
+ | |||
+ | 화학공업은 신속하게 발전하여 카이양의 인광과 인산비료, 츠수이[赤水]의 천연가스 화학비료 생산 모두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다. 기계·전자공업은 디젤엔진과 굴착기, 절삭기계, 베어링, 연마재 및 도구, 측정기, 계량기, 절삭공구 등을 생산하여 전세계로 수출하고 있으며, 컬러텔레비전과 냉장고 등 가전제품 생산라인을 도입하였다. 경공업은 중공업보다 비중이 적고, 양조업과 연초업이 주류를 이룬다. 그밖에 제지·방직·실크·피혁 등도 비교적 중요한 업종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6538&cid=40942&categoryId=34031 구이저우성의 산업]〉,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
+ | == 교통 == | ||
+ | 험준한 지형 때문에 과거에는 교통이 불편하여 물류운송은 대부분 인력이나 말에 의존하였다. 건국 후 대대적 건설을 통하여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종합 교통망이 구축되었다. 내외 교통의 동맥이라고 할 수 있는 촨첸(川黔)·구이쿤(贵昆)·샹첸(湘黔)·첸구이(黔贵)의 4개 철로가 전철화 개조작업을 마쳤다. 새로 건설된 난쿤(南昆) 철로는 이 성의 남서부를 관통한다. 철도의 총 길이는 1893㎞이며, 구이양[贵阳]은 중국 서남부 지역의 철도와 도로의 중심지이다. | ||
+ | |||
+ | 도로의 총 길이는 4만 4220㎞이며, 충칭(重庆)~잔장(湛江), 상하이(上海)~루이리(瑞丽), 광저우(广州)~청두(成都) 등 8개의 국도가 성 안을 통과한다. 귀이양~황궈수(黄果树), 귀이양~쭌이(遵义), 구이양~신자이(新寨) 등의 고속도로도 개통되었다. 내하의 항로 길이는 2132㎞이다. 우장장(乌江)의 험준한 항로를 보수하여 원자뎬(文家店) 아래로는 소형 모터보트가 운항할 수 있게 되었고, 우장강의 쓰난(思南)과 츠수이강(赤水河)의 츠수이(赤水) 아래로는 증기선과 예인선이 운항할 수 있다. 칭수이강(清水江)과 두류강(都柳江) 하류 지역은 홍수기에 예인선이 운항할 수 있다. 구이양은 구이저우성의 항공 시설의 중심지이자 대외 항공운송의 국경출입구이다.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 선전(深圳), 우한(武汉), 홍콩 등지를 연결하는 항공 노선이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6539&cid=40942&categoryId=34031 구이저우성의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
+ | == 명승지 == | ||
+ | 구이저우성은 산천의 경관이 장엄하고 수려하기로 이름 높다. 황궈수[黄果树]·즈진둥[织金洞]·우양강(舞阳河)·훙펑호(红枫湖)·룽궁(龙宫)·리포(荔波)의 장강(樟江)·츠수이(赤水), 마링강협곡(马岭河峡谷) 등 국가지정 명승풍경지역이 8곳 있다. 귀이양(贵阳) 서쪽의 전닝(镇宁)에 있는 황궈수(黄果树) 폭포는 60여m 높이에서 시뉴호[犀牛潭]로 물길이 쏟아져 내리는 소리가 천둥처럼 웅장하며, 폭포 뒤의 절벽에 형성된 동굴인 수렴동(水簾洞)과 수상석림(水上石林) 등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 ||
+ | |||
+ | 안순(安顺)에 있는 룽궁은 지하폭포와 카르스트 지형의 수중동굴이 특징이다. 첸시베이(黔西北)의 즈진둥은 내부 높이 150m, 너비 175m로 구이저우성에 있는 석회암 동굴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구이양의 훙펑호는 구이저우성 최대의 인공호수이다. 푸른 산과 맑은 물을 자랑하는 첸시난(黔西南) 싱이(兴义)의 마링강협곡과 첸둥(黔东) 스빙(施秉)의 우양강, 첸베이(黔北)의 츠수이 등지도 모두 눈길을 사로잡는 절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밖의 명승지로는 구이양의 첸링산(黔灵山)과 화시(花溪), 첸둥베이(黔东北)의 판징산(梵净山) 국립자연보호구역, 다팡(大方)의 바이리두쥐안린(百里杜鹃林) 등지가 있다. | ||
+ | |||
+ | 인문 관광자원으로는 62곳이 국가중점보호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구이양의 자슈러우(甲秀楼), 전위안(镇远)의 칭룽동(青龙洞), 카이리(凯里) 샹루산(香炉山)의 옛 건축물, 안순의 원먀오(文庙), 비제(毕节)의 다툰쓰좡위안(大屯司庄园), 첸둥난(黔东南)의 먀오샹(苗乡)과 퉁자이(侗寨)에 있는 소수민족의 옛 건축물 그리고 중국혁명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쭌이(遵义) 회의 개최지 등지가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6540&cid=40942&categoryId=34031 구이저우성의 명승지]〉,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
+ | == 행정구역 == | ||
+ | [[파일:구이저우성 행정지도.png|썸네일|500픽셀|오른쪽|'''구이저우성''' 행정구역]] | ||
+ | |||
+ | 구이저우성은 6개의 지급시와 3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었다. | ||
+ | |||
+ | 지급시: | ||
+ | :* 구이양시(贵阳市) | ||
+ | :* 안순시(安顺市) | ||
+ | :* 쭌이시(遵义市) | ||
+ | :* 류판수이시(六盘水市) | ||
+ | :* 비제시(毕节市) | ||
+ | :* 퉁런시(铜仁市) | ||
+ | |||
+ | 자치주: | ||
+ |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黔西南布依族苗族自治州) | ||
+ |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黔南布依族苗族自治州) | ||
+ |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黔东南苗族侗族自治州) | ||
+ | |||
+ | == 인구 == | ||
+ | 2019년까지 구이저우성 인구는 36,229,500 명 명이고 그중 [[한족]]이 62.2%이고 소수민족이 37.8%이다. 먀오족, 둥족, 투자족, 이족, 거라오족, 수이족, 후이족, 바이족, 야오족, 좡족, 서족, 모난족, 만주족, 몽골족, 치앙족, 무라오족등 소수민족이 거주한다. | ||
+ | |||
+ | 10만 이상 소수민족 | ||
+ | :* 먀오족(4,299,900 명, 12.2%) | ||
+ | :* 부이족(2,798,200 명,7.9%) | ||
+ | :* 둥족(1,628,600 명,4.6%) | ||
+ | :* 투자족(1,430,300 만,4.1%) | ||
+ | :* 서족(843,600 명,2.4%) | ||
+ | :* 거라오족(559,000 명,1.6%) | ||
+ | :* 수이족(369,700 명,1.0%) | ||
+ | :* 바이족(187,400 명,0.53%) | ||
+ | :* 후이족(168,700 명,0.5%) | ||
+ | |||
+ | == 지도 == | ||
+ | {{구이저우성 행정 지도|800}} | ||
+ | {{지도|구이저우성}} | ||
+ | {{다단2 | ||
+ | |{{중국 서남지구 행정 지도}} | ||
+ | |{{중국 행정 지도}} | ||
+ | }} | ||
+ | {{다단2 | ||
+ | |{{중국 지역 지도}} | ||
+ | |{{중국 행정 지도}} | ||
+ | }} | ||
+ | |||
+ | == 동영상 == | ||
+ | <youtube>hIbOLcEMDpo</youtube> | ||
+ | <youtube>CIvuE7BC0f4</youtube> | ||
+ | |||
+ | {{각주}} | ||
+ | |||
+ | == 참고자료 ==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6386&cid=40942&categoryId=40001 구이저우성]〉, 《네이버 지식백과》 | ||
+ | *〈[https://namu.wiki/w/%EA%B5%AC%EC%9D%B4%EC%A0%80%EC%9A%B0%EC%84%B1 구이저우성]〉, 《나무위키》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6537&cid=40942&categoryId=34031 구이저우성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
+ | *〈[https://ko.wikipedia.org/wiki/%EA%B5%AC%EC%9D%B4%EC%A0%80%EC%9A%B0%EC%84%B1 구이저우성]〉, 《위키백과》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6538&cid=40942&categoryId=34031 구이저우성의 산업]〉, 《네이버 지식백과》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6539&cid=40942&categoryId=34031 구이저우성의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 ||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6540&cid=40942&categoryId=34031 구이저우성의 명승지]〉, 《네이버 지식백과》 | ||
− | + | == 같이 보기 == | |
+ | * [[중국]] | ||
+ | * [[류판수이시]] | ||
+ | * [[쭌이시]] | ||
+ | * [[안순시]] | ||
+ | * [[비제시]] | ||
+ | * [[퉁런시]] | ||
− | + | {{중국 행정구역|검토 필요}} | |
− |
2024년 1월 6일 (토) 15:28 기준 최신판
구이저우성(贵州省, 귀주성, guì zhōu shěng)은 중국 서남부에 위치하였으며 성도는 구이양이다. 북쪽으로 쓰촨성과 충칭, 동쪽으로 후난성, 남쪽은 광시좡족자치구와 인접하였으며 서쪽으로는 윈난성과 접하였다.
개요[편집]
- 행정 단위: 성(省)
- 성정부소재지:구이양시 윈옌구 중화베이루 242 (贵阳市云岩区中华北路242号)
- 면적: 17만 6167 km²
- 인구: 36,229,500 명(2019년)
- 성장: 첸이친(谌贻琴, chén yí qín)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www.guizhou.gov.cn/
구이저우성을 약칭하여 '첸(黔)' 또는 '구이(貴)'라고도 부르며, 성도(省都)은 구이양(贵阳)이다. 중국 남서부의 윈구이고원(雲貴高原) 동쪽에 있다. 전국시대에는 초(楚) 나라의 검중(黔中)과 차란(且兰), 야랑(夜郎)의 영토였고, 한(汉) 나라 때는 형주(荆州)와 익주(益州)에 속하였으며, 당(唐) 나라 때 검중도(黔中道)가 설치되었다. 송(宋) 나라 개보(开宝) 연간에 토착민 지도자가 구주(矩州)를 이끌고 귀순하자 '구(矩)'를 '귀(贵)'로 고쳐 '구이저우[贵州:귀주]'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명(明) 나라 때는 귀주포정사사(贵州布政使司)를 두었고, 청(清) 나라에 이르러 구이저우성(贵州省)이 되었다. 면적은 17만여㎢이며, 행정구역은 둥난먀오족둥족(东南苗族侗族)·첸난(黔南)·첸시난부이족먀오족(黔西南布依族苗族)의 3개 자치주와 비제(毕节)·퉁런(铜仁) 2개 지역, 귀이양·류판수이(六盘水)·쭌이(遵义)·안순(安顺) 등 4개 지급시(地級市), 9개 현급시(县級市), 56개 현, 11개 자치현, 2개 특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황궈수[黄果树] 풍경지역을 포함한 약 90%의 시현(市县)이 대외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50여개 국가 및 지역과 경제무역 교류를 하고 있다.
구이저우(貴州)라는 이름은 성의 성도이자 중심도시인 구이양의 옛 이름인 귀주(貴州)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이름은 구주(矩州) 원나라 대에 '矩(곱자 구)'를 발음은 유사하면서 뜻은 더 좋은 '貴(귀할 귀)'로 표기를 바꾸었고 이후 명나라 대에 정식 행정구역인 귀주승선포정사사(贵州承宣布政使司)를 설치하고 청나라 대에 귀주성으로 개편하면서 귀주성이 되었다. 남서쪽의 윈난성과 같이 소수민족이 많은 곳으로, 인구의 약 40%가 소수민족이다. 구체적으로 한족이 62%, 묘족이 12%, 포의족이 8%, 동족이 5%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지역이 고원 지대이나, 윈난 성보다는 해발고도가 약간 낮아 1,000m 정도이며 카르스트 지형이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협곡과 석회동굴 등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카르스트 지형에서도 특히 옆동네 광시좡족자치구의 명성에 밀려 관광지로서 인지도는 훨씬 낮은 편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큰 폭포인 황궈수 폭포가 있다.
중국에서 1인당 GRDP가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이다. 2016년 기준 1인당 GRDP는 $4,988[6]로 31개 지역[7] 중 29위이다. 참고로 30위가 서쪽의 윈난 성($4,707)이고, 31위 꼴찌가 시베이(西北) 지역의 간쑤성($4,134)이다. 구이저우성은 2000년부터 시작된 서부대개발 등으로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2015년 10.7%, 2016년 10.5%의 성장을 기록해 2016년 중국 GDP 성장률 6.7%를 훨씬 뛰어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1인당 GRDP가 17,000 달러가 넘는 톈진시, 베이징시, 상하이시는 물론이고, 6 ~ 7천 달러 정도의 중위권과도 여전히 격차가 크다. 2016년 GRDP는 약 1,767억 달러로 31개 지역 중 25위이며, 중국 GDP의 약 1.5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라크 정도의 경제 규모이다. 그동안 국내 항공편이 전무했으나, 2016년 5월부터 이곳의 성도인 구이양(贵阳, 귀양)에 대한항공이 주 3회 취항을 확정지으면서 직항으로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인천국제공항은 매주 3회, 제주공항은 10월 말까지 주 3회에서 2회로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술로 유명한 마오타이 진이 속해있는 곳이기도 하다. 참고로 마오타이 진은 구이저우에서 성도인 구이양에 이어서 두번째로 잘사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그래서 술 수출 문제 때문에 운남성과 같이 미세먼지가 없는 구역이다.[1]
지리[편집]
지형은 고원·산지가 89%, 나머지 11%는 구릉·계곡분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르스트 지모(地貌)가 넓게 분포되어 있다. 지세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낮아지며 남쪽과 북쪽의 변경지역에서 급강하하여 광시(广西)와 쓰촨(四川) 분지로 이어진다. '삼척(三尺)의 평지도 없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지형이 절개되고 부서져 있다. 아열대 카르스트 지역에 속하는 험준한 고원으로 평균 해발 1100m이고, 650ha 이상의 평지는 귀이양(贵阳)·안순(安顺)·카이리(凯里)·두윈(都匀) 등 약 20개 지역에 분포한다. 지형은 3개 지역으로 나뉜다.
- 첸시(黔西) 산지고원:웨이닝(威宁)과 허장(赫章) 일대에 비교적 완전하게 보존된 고원지대가 있고, 다팡(大方)과 수이청(水城) 일대에 정상부가 완만한 산마루가 있으며 해발 1200~2200m이다. 우멍산(乌蒙山) 지역의 주차이핑(韭菜坪)은 해발 2900m로 구이저우성에서 가장 높다.
- 첸중난(黔中南) 산지고원:중부의 먀오링(苗岭)은 1100~1500m이고, 양쯔강과 주장강(珠江) 수계의 분수령이다. 남부에는 카르스트 지형이 넓게 분포되어 있고 산과 계곡이 교차한다.
- 첸베이(黔北) 산지:다러우산(大娄山)과 우링산(武陵山) 등을 포함하며, 그 사이에 있는 러우산관(娄山关)은 쓰촨과 구이저우를 잇는 요로이다. 우링산의 주봉인 판징산(梵净山)은 세계인류 및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구이저우성은 중국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쓰촨성과 충칭시, 동쪽으로 후난성, 남쪽으로 광시 좡족 자치구, 서쪽으로 윈난성과 접한다. 구이저우성은 운귀고원이라고 불리는 윈난성으로부터 후베이성으로 향해 낮아지는 지형이며, 평균 해발 1,000m 정도의 고원이다. 북쪽은 시촨 분지에 고도가 낮아져서 오강으로 흘러와 중칭에서 장강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남쪽은 윈난성에서 흘러오는 홍수강의 상류의 구이양, 안순, 구이저우성의 중앙은 두 개 하천의 분수령이 되어 있다. 안순시의 황과촌 폭포는 홍수강의 지류 있는 아시아 최대의 폭포이다. 구이저우성의 80% 이상이 석회암으로 덮여 있어 중국에서도 이름난 카르스트 지대이다. 남부를 중심으로 봉림, 봉암지형으로 불리는 요철형 카르스트가 두드러져 있다. 2007년에 중국남방 카르스트의 하나로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 평지는 커다란 카르스트 분지로 평지가 드물다. 오강에서 시작하는 주요 하천은 고원면을 깊게 파서 협곡을 만들고 있다. 남부의 많은 하천이 지하에 흘러들어, 수십 킬로미터에 이르는 지하 하천이 형성된 곳이 많이 있다. 그래서 대규모의 석회동굴이 발달하여 수양현에 있는 쌍하동은 총 길이가 100km를 넘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긴 길이를 자랑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직금현의 직금동, 안순시의 용궁 등의 석회동이 개발되어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천의 발원지는 대부분 중서부이며, 북쪽과 동쪽, 남쪽의 세 방향으로 흘러 빗자루 모양의 수계를 이룬다. 먀오링의 남북은 각각 주장강과 양쯔강 수계에 속하며 유역 면적의 비율은 약 3 대 7이다. 양쯔강의 지류인 우장강(乌江)은 우멍산에서 발원하며, 길이 1037㎞, 유역 면적은 8만 8000㎢이다. 구이저우성에 흐르는 우장강의 길이는 약 800㎞로 급류가 많은데, 과거 홍군(紅軍)이 장정(長征)에 나섰을 때 도하(渡河)를 강행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첸베이(黔北)의 츠수이강(赤水河), 첸둥난(黔东南)의 칭수이강(清水江)과 두류강(都柳江), 첸시난(黔西南)의 훙수이강(红水河) 상류인 난판강(南盘江)과 베이판강(北盘江) 등이 있다. 남서부과 북서부에는 지하 하류와 복류가 많다. 성내의 호수는 많지 않은데, 비교적 큰 호수는 북서쪽의 차오하이(草海)로 면적은 약 46 ㎢이다.[2]
역사[편집]
춘추시기 양랑국이 구이저우지역에 있었으며 전국시기에 초나라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검중군(黔中郡)에서 구이저우를 관할하였다.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후 구이저우지역은 바군, 촉군, 검중군, 상군에 나누어서 관할하였으며 서한초기에는 건위군(犍为郡)과 강가군(牂牁郡)에 속하였으며 서한중기와 말기에는 강가군(牂牁郡)이 구이저우성 대부분의 지역을 관할하였다. 당나라시기에 검중도(黔中道), 검주군(黔州郡), 검주도독부(黔州都督府)를 구이저우지역에 세우고 관할하였으며 이 시기에 지방 토사(土司)정권이 나타났다. 당나라 말기에 이족들의 발전하면서 나라를 세우고 송나라 말기에 이족들이 세우 라시귀국(罗施鬼国)이 송나라에 귀순하고 라전국(罗殿国)은 대리국에 귀순하였다. 원나라는 팔반순원선위사(八番顺元宣慰司)를 세우고 구이저우성을 관할였지만 후에 우강(乌江)상유에 있는 압지하(鸭池河)를 분계선으로 수동, 수서로 나누어 수동은 송씨 토사가 통치하고 수서는 안씨 토사가 통치하였다. 명나라초에는 이족 토사가 구이저우 대부분 지역을 관할하였다. 1413년, 명나라는 구이저우를 성으로 편입하고 구이저우성이라 불렀다.
1935년에 중국홍군은 장정 도중에 구이저우성 준의(遵义)에서 준의회의를 열고 모저우둥의 영도를 확립하였다. 1959년 부터 1961년까지 중국의 3년 대 재해시기, 1960년 6월 구이저우성 장커우현(江口县)에서 많은 농민들이 굻어 죽었으며 현 전체 인구 10만명 중에 4만명이 굶어 죽었다.
기후[편집]
구이저우성 전체가 아열대 고원이기 때문에, 극단적인 더위나 추위는 없다. 연 평균 기온은 14도에서 25도 전후이다. 연간 강수량은 1,000mm에서 1,400mm로, 주로 여름에 비가 많이 내린다. 광시 방면에서 습한 공기가 고원을 따듯하게 해 맑은 날은 적고, 비가 내리지 않아도 하늘이 흐린 날이 많다. 그래서 3일 맑은 날이 없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다.
기후는 전역이 중아열대 습윤 계절풍기후에 속하며, 겨울에는 혹한이 없고 여름에는 폭염이 없다. 대부분 지역의 1월 평균기온은 3~6℃이고, 7월은 22~26℃이다. 무상기간(無霜期間)은 2월 중순에서 3월 초순부터 시작되며 8~10개월 정도 지속된다. 일평균기온은 0℃ 이상인 날수가 340~360일, 10℃ 이상인 날수가 220~250일이다.
구이양[贵阳]의 서쪽은 여름철 다우(多雨) 지역이며 동쪽은 겨울철과 봄철 음우(阴雨) 지역이다. 일조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1년에 약 1200~1400시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 불리한 조건이다. 생장기 농업용수 수요치는 200~700㎜가 많다. 주요 재해성기후는 첸둥(黔东)에 여름 가뭄이 잦고, 첸시(黔西)에 우박으로 인한 피해가 심한 편이다. [3]
산업[편집]
구이저우성은 산지가 많고, 토지자원은 경작지 10.6%, 임지 14.5%, 목초지 24.3%이다. 1인당 평균 경작지 면적은 600여㎡에 지나지 않지만 '의림산국(宜林山国)'이라고 불릴 만큼 삼림자원이 풍부하다. 식물자원도 전국에서 4위를 차지할 만큼 풍부하며, 품질 좋은 삼나무를 비롯하여 비타민C가 풍부한 야생 츠리(刺梨)와 다래 등 500여 종이 생산된다. 또 중국의 4대 한약재 생산지의 한 곳으로서 3000종에 이르는 약용식물이 있다. 특히 천마·두중·황련·석곡·오수유는 구이저우성에서 생산되는 5대 한약재로 잘 알려져 있다. 희귀동물로는 황금빛 털을 가진 원숭이인 금사후와 큰도롱뇽 등이 있다.
광물자원은 매장량이 탐사된 종류만 64가지이다. 이 가운데 수은과 인광은 중국 전체 매장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데, 카이양(开阳)의 인광이 특히 유명하다. 또 광학수정, 화학비료용 규석과 요오드, 희토, 보크사이트 등의 매장량은 전국에서 1~2위를 차지한다. 첸시(黔西) 지방은 '석탄의 바다(煤海)'라고 불릴 정도로 석탄이 풍부하다. 코크스가 주종을 이루는 류판수이(六盘水) 탄전은 중국 남부에서 최대 규모이다. 잠재된 수력자원도 풍부하여 1874만kW에 이르며, 그중 개발 가능한 전력량은 1635만kW이다.
농업은 기후와 토지의 유형이 다양하여 입체형 농업과 다각경영에 적합하다. 과거의 단순한 농업경제와 낮은 생산수준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리(水利)와 농기계 정비 등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는 동시에 농업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재배업의 생산액 비중이 67%로 가장 크고 나머지는 임업 4%, 목축업 28%, 어업 1%로 채워진다.
곡물은 벼와 옥수수가 주종으로 각각 전체 작물의 50%와 30%를 차지한다. 경제작물은 유채와 담배가 가장 중요하다. 특히 담배 생산량은 윈난성에 이어 전국 2위이며, 구이딩옌(贵定烟)은 윈난성의 윈옌(云烟), 허난성의 쉬창옌(许昌烟)과 명성을 나란히 한다.
삼나무가 생장하는 데 최적의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진핑(锦屏)의 삼나무는 전국에서도 유명하다. 삼림 부산품인 생칠과 오동나무 기름의 생산량은 각각 전국 1위와 2위를 차지한다. 또 코르크와 오구기름, 한약재, 찻잎 그리고 각종 온대 및 아열대 과일 등도 많이 생산된다. 윈우차(云雾茶)는 우수한 품질로 수요가 많다. 목초지가 넓어 마소와 돼지 등의 가축 사육도 전국에서 일정한 수준에 올라 있다.
특산품으로는 아열대 삼림과 농산물이 다양하다. 주요 차 품종은 눙샹젠시(浓香尖细), 모양이 참새의 혀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마오젠차(毛尖茶), 시호(西湖)의 룽징차(龙井茶)에 필적하는 메이훙차(湄红茶), 푸른빛에 그윽한 향으로 이름난 쭌이(遵义)의 마오펑차(毛峰茶) 등이 있다.
과일은 웨이닝(威宁)의 다황리(大黄梨), 싱이(兴义)의 다훙파오(大红袍) 귤, 뤄뎬(罗甸)의 황궈(黄果), 칭전(清镇)의 쑤리(酥李) 등이 잘 알려져 있다. '과일의 왕'이라 불리는 원숭이복숭아보다 비타민C가 6~10배 더 많이 함유된 야생과일 츠리의 주생산지이기도 하다. 첸둥난(黔东南)의 먀오링(苗岭) 산악지역은 중국과학원에서 삼나무 성장의 최적지로 조사·지정한 곳으로, 이곳에서 자란 삼나무는 품질이 우수하여 예로부터 국내외에서 각광을 받아왔다. 삼림 특산품으로는 표고버섯·목이·투망버섯과 한약재인 천마·두중·복령·하수오·오배자 등이 있다. 식용하는 투망버섯은 풍부한 단백질과 16가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산에서 나는 진미로서 조공품에 포함되었다.
양조업은 역사가 유구하다. 런화이(仁怀)에서 주조되는 마오타이주[茅台酒]는 맑고 그윽한 향이 특징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술 중의 보배'로 인정받고 '국주(国酒)'라는 칭호를 얻었다. 쭌이의 둥궁사(董公寺) 마오타이진(茅台镇)에서 생산되는 자오주(窖酒) 역시 '둥주(董酒)'라 불리며 여러 차례 국가 명주로 인정받았다. 이밖에 시수이(习水)의 다취주(大曲酒), 야시(鸭溪)의 자오주(窖酒), 수십 가지 진귀한 한약재를 첨가한 주창(朱昌)의 자오주 등이 있다.
특산 음식으로는 웨이닝의 햄, 두산(独山)의 옌쏸차이(盐酸菜;새콤달콤한 야채절임), 싼쑤이(三穗)의 반야(板鸭), 퉁런(铜仁)의 녹두가루 등이 있다. 전통 수공예 특산품인 라란(蜡染)은 안순(安顺), 첸둥(黔东)의 난먀오족(南苗族)·부이족·거라오족 부녀자들이 발명한 고대 민간의 실용 공예품이다. 그밖에 난먀오족의 자수와 십자수, 다팡(大方)의 칠기 그리고 위핑(玉屏)의 샤오디(箫笛) 등 민간악기와 핑탕(平塘)의 야저우투타오(牙舟土陶)가 있다.
공업은 원래 기초가 취약하여 1949년 농공업의 총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에 지나지 않았다. 근래에는 59%까지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전국 평균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초보적이기는 하지만 기계·전자·석탄·건축자재·야금·화학공업을 중심으로 한 공업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중국 서남 지역의 중요 원자재 생산기지로 변모하였다.
국방과학기술공업도 비교적 발달하여 항공·우주 및 전자 공업기지 가운데 하나로 발전하였다. 에너지공업은 기초산업의 하나로서 천연가스와 전력 부문이 나란히 발전하였고, 수력발전과 화력발전이 서로 보완하고 있다. 류판수이는 중국 서남 지역의 '석탄의 바다'라고 불리며, 우장두(乌江渡) 발전소는 전국 10대 수력발전소 가운데 하나이다. 야금공업은 일정 집단의 대형 및 중형 알루미늄·합금주철·강철공업 기업들이 활성화되어 있다.
화학공업은 신속하게 발전하여 카이양의 인광과 인산비료, 츠수이[赤水]의 천연가스 화학비료 생산 모두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다. 기계·전자공업은 디젤엔진과 굴착기, 절삭기계, 베어링, 연마재 및 도구, 측정기, 계량기, 절삭공구 등을 생산하여 전세계로 수출하고 있으며, 컬러텔레비전과 냉장고 등 가전제품 생산라인을 도입하였다. 경공업은 중공업보다 비중이 적고, 양조업과 연초업이 주류를 이룬다. 그밖에 제지·방직·실크·피혁 등도 비교적 중요한 업종이다.[4]
교통[편집]
험준한 지형 때문에 과거에는 교통이 불편하여 물류운송은 대부분 인력이나 말에 의존하였다. 건국 후 대대적 건설을 통하여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종합 교통망이 구축되었다. 내외 교통의 동맥이라고 할 수 있는 촨첸(川黔)·구이쿤(贵昆)·샹첸(湘黔)·첸구이(黔贵)의 4개 철로가 전철화 개조작업을 마쳤다. 새로 건설된 난쿤(南昆) 철로는 이 성의 남서부를 관통한다. 철도의 총 길이는 1893㎞이며, 구이양[贵阳]은 중국 서남부 지역의 철도와 도로의 중심지이다.
도로의 총 길이는 4만 4220㎞이며, 충칭(重庆)~잔장(湛江), 상하이(上海)~루이리(瑞丽), 광저우(广州)~청두(成都) 등 8개의 국도가 성 안을 통과한다. 귀이양~황궈수(黄果树), 귀이양~쭌이(遵义), 구이양~신자이(新寨) 등의 고속도로도 개통되었다. 내하의 항로 길이는 2132㎞이다. 우장장(乌江)의 험준한 항로를 보수하여 원자뎬(文家店) 아래로는 소형 모터보트가 운항할 수 있게 되었고, 우장강의 쓰난(思南)과 츠수이강(赤水河)의 츠수이(赤水) 아래로는 증기선과 예인선이 운항할 수 있다. 칭수이강(清水江)과 두류강(都柳江) 하류 지역은 홍수기에 예인선이 운항할 수 있다. 구이양은 구이저우성의 항공 시설의 중심지이자 대외 항공운송의 국경출입구이다.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 선전(深圳), 우한(武汉), 홍콩 등지를 연결하는 항공 노선이 있다.[5]
명승지[편집]
구이저우성은 산천의 경관이 장엄하고 수려하기로 이름 높다. 황궈수[黄果树]·즈진둥[织金洞]·우양강(舞阳河)·훙펑호(红枫湖)·룽궁(龙宫)·리포(荔波)의 장강(樟江)·츠수이(赤水), 마링강협곡(马岭河峡谷) 등 국가지정 명승풍경지역이 8곳 있다. 귀이양(贵阳) 서쪽의 전닝(镇宁)에 있는 황궈수(黄果树) 폭포는 60여m 높이에서 시뉴호[犀牛潭]로 물길이 쏟아져 내리는 소리가 천둥처럼 웅장하며, 폭포 뒤의 절벽에 형성된 동굴인 수렴동(水簾洞)과 수상석림(水上石林) 등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안순(安顺)에 있는 룽궁은 지하폭포와 카르스트 지형의 수중동굴이 특징이다. 첸시베이(黔西北)의 즈진둥은 내부 높이 150m, 너비 175m로 구이저우성에 있는 석회암 동굴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구이양의 훙펑호는 구이저우성 최대의 인공호수이다. 푸른 산과 맑은 물을 자랑하는 첸시난(黔西南) 싱이(兴义)의 마링강협곡과 첸둥(黔东) 스빙(施秉)의 우양강, 첸베이(黔北)의 츠수이 등지도 모두 눈길을 사로잡는 절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밖의 명승지로는 구이양의 첸링산(黔灵山)과 화시(花溪), 첸둥베이(黔东北)의 판징산(梵净山) 국립자연보호구역, 다팡(大方)의 바이리두쥐안린(百里杜鹃林) 등지가 있다.
인문 관광자원으로는 62곳이 국가중점보호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구이양의 자슈러우(甲秀楼), 전위안(镇远)의 칭룽동(青龙洞), 카이리(凯里) 샹루산(香炉山)의 옛 건축물, 안순의 원먀오(文庙), 비제(毕节)의 다툰쓰좡위안(大屯司庄园), 첸둥난(黔东南)의 먀오샹(苗乡)과 퉁자이(侗寨)에 있는 소수민족의 옛 건축물 그리고 중국혁명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쭌이(遵义) 회의 개최지 등지가 있다.[6]
행정구역[편집]
구이저우성은 6개의 지급시와 3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었다.
지급시:
- 구이양시(贵阳市)
- 안순시(安顺市)
- 쭌이시(遵义市)
- 류판수이시(六盘水市)
- 비제시(毕节市)
- 퉁런시(铜仁市)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黔西南布依族苗族自治州)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黔南布依族苗族自治州)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黔东南苗族侗族自治州)
인구[편집]
2019년까지 구이저우성 인구는 36,229,500 명 명이고 그중 한족이 62.2%이고 소수민족이 37.8%이다. 먀오족, 둥족, 투자족, 이족, 거라오족, 수이족, 후이족, 바이족, 야오족, 좡족, 서족, 모난족, 만주족, 몽골족, 치앙족, 무라오족등 소수민족이 거주한다.
10만 이상 소수민족
- 먀오족(4,299,900 명, 12.2%)
- 부이족(2,798,200 명,7.9%)
- 둥족(1,628,600 명,4.6%)
- 투자족(1,430,300 만,4.1%)
- 서족(843,600 명,2.4%)
- 거라오족(559,000 명,1.6%)
- 수이족(369,700 명,1.0%)
- 바이족(187,400 명,0.53%)
- 후이족(168,700 명,0.5%)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구이저우성〉, 《네이버 지식백과》
- 〈구이저우성〉, 《나무위키》
- 〈구이저우성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구이저우성〉, 《위키백과》
- 〈구이저우성의 산업〉, 《네이버 지식백과》
- 〈구이저우성의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 〈구이저우성의 명승지〉,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