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네이버 인증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5번째 줄: 5번째 줄:
  
 
== 개요 ==
 
== 개요 ==
21년만에 [[공인인증서]] 폐지 법안 통과에 따라 민간기업들의 인증서 시장 경제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최대 인터넷 포털인 네이버 또한 인증서 시장에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19년 6월 출시된 '네이버 고지서' 서비스는 네이버 이용자들이 앱을 통해 공공,민간(금융기관 등) 전자문서 및 등기성 고지서를 수령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이다. 네이버는 네이버 고지서에서 쓸 수 있는 자체 인증서를 확대해 향후 보편성을 갖는 서비스로 확대할 방침이다.<ref name="네이버 사설인증"> 황치규 기자,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5200 포스트 공인인증서 시대...네이버도 사설 인증서 시장 군침]〉, 《디지털투데이》, 2020-05-22</ref>
+
21년만에 [[공인인증서]] 폐지 법안 통과에 따라 민간기업들의 인증서 시장 경제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최대 인터넷 포털인 네이버 또한 인증서 시장에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19년 6월 출시된 '네이버 고지서' 서비스는 네이버 이용자들이 앱을 통해 공공,민간(금융기관 등) 전자문서 및 등기성 고지서를 수령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이다. 네이버는 네이버 고지서에서 쓸 수 있는 자체 인증서를 확대해 향후 보편성을 갖는 서비스로 확대하고 있다.<ref name="네이버 사설인증"> 황치규 기자,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5200 포스트 공인인증서 시대...네이버도 사설 인증서 시장 군침]〉, 《디지털투데이》, 2020-05-22</ref>
  
 
== 배경 ==
 
== 배경 ==

2020년 6월 3일 (수) 13:50 판

네이버(Naver)
네이버(Naver)

네이버 인증서는 검색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에서 보증하는 사설인증서이다. 금융결제원에서 보증해주는 공인인증서와는 다른 사설기관의 보증을 통한 인증서비스이다.

개요

21년만에 공인인증서 폐지 법안 통과에 따라 민간기업들의 인증서 시장 경제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최대 인터넷 포털인 네이버 또한 인증서 시장에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19년 6월 출시된 '네이버 고지서' 서비스는 네이버 이용자들이 앱을 통해 공공,민간(금융기관 등) 전자문서 및 등기성 고지서를 수령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이다. 네이버는 네이버 고지서에서 쓸 수 있는 자체 인증서를 확대해 향후 보편성을 갖는 서비스로 확대하고 있다.[1]

배경

1999년 전자서명법 발효에 따라 기틀이 마련되고, 2001년 부터는 전자정부법 발효를 통해 법용 인증서가 만들어졌다. 그게 현재까지 쓰고 있는 공인인증서이다. 하지만 해외소비자의 국내 상품구매시 공인인증서로 인한 문제점, 국내에서의 여타 서비스 이용시 공인인증서를 통한 신원 검증의 불편함 등으로 인해 공인인증서 폐지에 대한 여론이 형성 되었고, 2015년 3월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 규정을 폐지했다. 또한 도입 초기에는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에 이바지했으나 이후 시장독점을 초래하고 전자서명 기술과 서비스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2018년 9월 정부가 공인제도를 폐지하고 다양한 전자서명 수단을 활성화하는 내용의 「전자서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시간이 흘러 2020년 5월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전자서명법 전부개정법률안이 통과 되었다. 전자서명법 전부개정법률안은 국가가 정한 기관에서 발급했다는 점 때문에 그동안 우월적 지위를 누리던 공인전자서명 제도를 폐지하고, 민간기업이 발급한 다양한 전자서명과 공인인증서가 동등한 위상을 갖도록 하는 뼈대다. 공인인증서 폐지에 따라 공공기관도 공인인증서가 아닌 민간 기업이 발급한 사설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2]

특징

네이버 인증서

네이버 인증서의 주요 기능은 네이버ID를 통한 '인증'과 '고지서 납부'이다. 개인 소유의 스마트폰에 네이버 인증서를 발급해 두고 중요한 문서나 인증 요청을 확일할 때 기기에 등록된 잠금 정보를 이용해 본인만 확인할 수 있게한다. 또한 2019년 7월부터 자동차세, 재산세, 주민세, 면허세 등의 지방세 고지서를 네이버앱으로 받고, 열람과 네이버페이로 납부할 수 있다.

네이버 인증서는 실명ID로만 발급할 수 있고, 발급 시 휴대폰 본인인증이 필요하다. 개인 스마트폰에 등록한 잠금정보(비밀번호, 패턴, 지문 등)을 사용한다. 또한 지방세 고지서 신청 시 세법 상의 업무를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처리하지만 저장없이 바로 삭제한다. 고지서 자료는 기관이 정한 기간(통상 납부 기간)까지만 보관하고 기간이 지나면 완전히 삭제하며, 파기된 고지서 정보는 납부 서비스(위택스, 이택스)에서 확인가능하다. 인증서 발급과 고지서 서비스 신청은 네이버앱에서만 가능하다.[3]

네이버 고지서

네이버의 기능 중 하나인 '네이버 고지서' 서비스는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다. 네이버 인증서 기능을 활용해 본인확인 절차를 거친 후 고지서의 내용을 확인하고 '네이버페이'를 활용해 납부까지 가능하다. 또한 보안이 중요한 전자고지 서비스 특성을 고려해, 공개 키 기반구조(PKI) 기반 전자서명이 적용된 네이버 인증서를 통해 고지서의 수령인 네이버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PKI 방식은 위조 및 변경이 불가한 전자서명 방식으로, 이용자에게 안전한 검증 절차로써 활용된다.

네이버 이용자라면 인증서를 한 개씩 비대면으로 발급 받을 수 있다. 또한 네이버 인증서가 적용된 고지서 서비스를 바탕으로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와 국민연금공단 등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다수 보험사와 제휴를 진행해 이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예정이다.[1]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네이버 인증서 서비스만을 활용한 제휴 또한 확장한다. 네이버 외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할 시, 보안이 강화된 2중 보안 장치로써 인증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현재, 여러 웹사이트에서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서비스는 적용처가 약 2만 5,000 곳에 달하며, 인증서가 적용되면 이용자는 향상된 보안성을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이다.[1]

주요 사설인증서

국가에서 인정하는 인증기관을 공인인증기관, 이것이 발급하는 인증서를 공인인증서라고 부른다. 반면 개인이나 회사와 같은 조직이 정부의 인증을 받지 않고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인증서를 발급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것을 사설인증기관, 사설인증서라고 부른다. 공인인증서 폐지 이후 사설인증서 시장에서 가장 수혜를 받을 곳으로 예측되는 곳은 이동통신 3사가 내놓은 패스(PASS)와 카카오의 카카오페이, 은행엽합회가 내놓은 뱅크사인등이다.

카카오페이 인증 PASS 뱅크사인
운영 카카오 통신 3사 은행권
출시 2017년 6월 2019년 4월 2018년 8월
이용자 수 1,000만 명 2,800만 명 30만 명
주 사용처 공공기관, 금융기관 공공기관, 금융기관, 전자상거래 16개 국내 은행
특징 * 8~15자리 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증 방식
* 카카오톡에서 바로 사용
* 유효기간 2년
* 6자리 핀 번호 또는 생체인증 방식
* 별도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
* 유효기간 3년
* 6자리 핀 번호 또는 생체인증, 패턴 방식
* 별도 앱 다운로드
* 유효기간 3년
  • 카카오페이 인증(kakaopay) : ㈜카카오의 자회사이자 모바일 결제 및 디지털 자갑 서비스로, 모바일 결제 및 온라인 결제 서비스 업체인 카카오페이는 2017년 6월 사설 인증서 서비스인 카카오페이 인증을 내놨다. 카카오페이 인증은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공개키 기반구조(PKI)의 전자서명 기술 및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됐다. PKI방식은 위조 및 변경이 불가한 전자서명 방식으로, 이용자에게 안전한 검증 절차로써 활용된다. 카카오페이 인증의 가장 큰 장점은 카카오톡 안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본인을 인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카카오페이 인증을 통해 중요 전자문서 확인ㆍ서명, 제휴 기관ㆍ기업 서비스로 간편 로그인, 개인정보 이용기관 웹사이트에서의 본인 확인, 증권 거래 시 빠른 서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따. 또한 안티미러링 생체인증(FIDO) 기술 사용으로 해킹 및 보안 위험에도 강하다. 현재 카카오페이 인증 이용자 수는 1,000만 명이며,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에서 쓰이고 있다. 인증에는 8~15자리 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증이 사용되며, 유효기간은 2년이다.[4]
  • 패스(PASS) : 이동통신 3사는 2012년 부터 문자메시지를 활용해 본인인증을 하던 방식을 앱 기반으로 개선, 핀테크 기업 ㈜아톤과 협력해 2018년 공동의 인증서인 패스를 만들었다.[4] 패스는 본인인증 앱과 연동되는 사설인증서로 공공기관의 각종 본인확인·온라인 서류발급 신청·금융거래·계약서 전자서명 등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존 인증수단에 비해 편의성이 뛰어나다.[5]패스’앱 실행 후 1분 이내에 발급이 가능하고, 가입 이후에 휴대전화 번호만 입력하면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비대면 계좌 개설, 자동이체 전자서명, 보험, 전자상거래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 가능하고 ‘패스’ 앱을 활용하면 복잡한 솔루션 개발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어 관련 서비스 생태계 구축에도 용이하다.‘패스 인증서’는 기존 공인인증서나 금융권 앱 이상의 높은 보안 수준을 자랑한다. 통신사 인증서버와 인증서 플랫폼 간의 전용 네트워크를 이중화하고 통신 구간의 보안도 강화해 외부 공격에 대비했다. 백신 프로그램과 보안 키패드, 위변조 방지기술, 인증서를 휴대전화 내 보안영역에 저장하는 WBC(White Box Cryptography) 기술 등을 적용해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6]
  • 뱅크사인(BankSign) : 뱅크사인이란 한국의 은행권이 공동으로 도입한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 서비스이다. 뱅크사인은 공개키(PKI) 기반의 인증 기술, 블록체인 기술, 스마트폰 기술 등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해 전자금융거래를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해준다. 은행권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출시된 은행 공동 인증 서비스 뱅크사인은 기존의 인증기술과 스마트폰의 첨단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인증서비스로, 이를 통해 고객들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자금융거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7] 18개 컨소시엄 참여은행 중 3개 은행(산업은행, 씨티은행, 카카오은행)을 제외한 15개 은행(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스탠다드차타드 SC제일은행, KEB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SH수협은행,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BNK경남은행, K뱅크)에서 뱅크사인을 이용할 수 있다.[8]

각주

  1. 1.0 1.1 1.2 황치규 기자, 〈포스트 공인인증서 시대...네이버도 사설 인증서 시장 군침〉, 《디지털투데이》, 2020-05-22
  2. 최민영 기자, 〈'천송이 코트'논라 6년만에...오늘 공인인증서 가고 사설인증시대 열린다〉, 《한겨례》, 2020-05-20
  3. 네이버, 〈네이버인증서 서비스 소개〉, 《네이버》, 2020-03-17
  4. 4.0 4.1 최아름 기자, 〈민간 인증 시장 활기...카카오페이ㆍ패스 대세 경쟁〉, 《정보통신신문》, 2020-06-01
  5. 정미하 기자, 〈(해설) SK텔레콤 ICO 지원 서비스 물거품되나(?)〉, 《IT조선》, 2019-01-16
  6. 김상중 기자, 〈SKT,본인인증앱 기반 패스 인증서 출시〉, 《케이앤뉴스》, 2019-04-25
  7. efnews, 〈은행공동인증서비스 ‘뱅크사인’...블록체인 플랫폼 본격가동 (파이낸셜신문)〉, 《네이버 블로그》, 2018-09-04
  8. 손예술 기자, 〈은행권 블록체인 공동인증서비스 ‘뱅크사인’ 사용화〉, 《지디넷코리아》, 2018-08-27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의견.png 이 네이버 인증서 문서는 금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