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짬뽕
굴짬뽕은 굴과 채소, 육수 등을 넣어 만든 짬뽕을 말한다.
개요[편집]
굴짬뽕은 제철 재료인 굴을 이용한 모두가 아는 그 요리이다. 추운 날씨에 한 그릇 하면 뼛속까지 따뜻해지는 굴짬뽕이다. 짬뽕은 채소, 돼지고기, 해물 등을 기름에 볶아 육수를 넣고 끓인 국물에 삶은 국수를 말아서 먹는 중국 음식이다. 짬뽕의 중국식 이름은 '초마면(炒碼麵)'이다. 굴짬뽕을 만드는 재료로는 굴, 호부추, 양파, 배추, 면 등이 있다. 굴은 나중에 넣어야 굴향이 나고 질겨지지 않는다. 짬뽕의 다른 바리에이션으로는 삼선짬뽕, 고추짬뽕, 짬짜면, 짬볶면, 차돌짬뽕 등이 있다. 짬뽕(Jjamppong, champon)은 중국요리의 하나이다. 국수에 각종 해물이나 야채를 섞어서 볶은 것에 돼지뼈나 소뼈, 닭뼈를 우린 국물을 부어 만든다. 차오마몐(炒馬麵, 초마면)라고도 부른다.
짬뽕은 야채와 돼지고기, 해물 등을 기름에 볶아 닭이나 돼지뼈로 만든 육수를 넣고 끓인 중국식 요리이다. 중국말로는 차오마몐이라고 부른다. 이 요리는 해물 또는 고기와 다양한 야채를 기름에 볶아 닭이나 돼지뼈로 만든 육수를 넣고 매콤하게 끓인 다음 면을 말아 먹는 중국요리이다. 원래 돼지고기, 표고버섯, 죽순, 파 등을 넣고 끓인 국물에 국수를 넣어 먹은 탕러우쓰(湯肉絲麵)에서 유래한 음식이며 고춧가루를 넣지 않고 시원하게 끓여 후춧가루만 넣어 먹었다.
차오마몐은 대한민국에서는 '짬뽕'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일본어 '잔폰(ちゃんぽん)'에서 유래한 말이다. 차오마몐의 유래는 19세기 말 일본 나가사키(長崎)의 푸젠성(福建省) 출신의 화교에 의해서 현지화한 음식이라는 '나가사키 유래설'과 산둥성(山東省) 출신의 중국인들이 많이 거주하던 인천에서 한국인들의 식성에 맞도록 매운맛을 더하여 발전시켰다는 한국의 '인천 유래설'이 있다. 일제 침략 이후 한·중·일이 동일한 정치·경제적 권역에 묶이면서 일본의 나가사키 지방과 한국의 제물포항은 같은 시기에 중국인들의 집단이주가 이루어진 곳으로 나가사키의 '잔폰(나가사키 짬뽕)'은 진한 육수 맛을 내어 '라멘'과 비슷한 음식으로 일본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국식 변형을 거쳐 고춧가루나 고추기름을 써서 매콤한 맛을 내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짬뽕'으로 바뀌었다.
재료(4인분)는 돼지고기 또는 쇠고기 30g, 갑오징어 50g, 새우 3∼4마리, 표고 20g, 소라 1개, 죽순 20g, 양송이 2개, 청경채 1개, 양파 1/4개, 해삼 50g, 대파 1/4개, 굴소스·생강·마늘·호유·소금·후춧가루·마른고추 등을 준비한다. 양파는 채썰고 나머지 야채와 마늘·생강은 얇게 저민다. 청경채는 4cm, 대파는 2cm 길이로 썬다. 해삼·돼지고기·소라는 편으로 썰고 갑오징어 몸통 부분은 칼집을 넣어 3∼4cm 길이로 썰어 준비한다.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마른고추·고기·대파·생강·마늘을 넣고 볶다가 고춧가루를 넣고 살짝 볶는다. 준비한 야채를 볶은 후 갑오징어 및 해물을 넣고 20∼30초 정도 볶는다. 물을 100cc 정도 붓고 국물이 우러나도록 1∼2분 정도 끓인다. 육수 300cc를 더 붓고 굴소스·소금·호유·후춧가루·고추기름 등으로 양념한 후 30초 정도 끓인다. 보통 국물을 따로 만들어 두었다가 삶은 면에 부어 먹는다.[1]
조리법[편집]
굴로 국물맛을 내어 시원하면서도 담백한 맛이 일품인 굴짬뽕이다. 특히, 굴에는 칼슘 함량이 높아 알칼리성 식품으로도 유명한 해산물인데, 싱싱한 굴로 가슴 속까지 시원한 굴짬뽕 즐겨 볼 수 있다.
요리재료
- 주재료 : 굴(봉지굴) 100g, 생면 160g, 양파 1/6개(35g), 목이버섯(불린 목이버섯) 2개(20g), 애호박 1/7개(40g)
- 부재료 : 대파 5cm(10g), 양념(고춧가루 1큰술(5g), 마늘(다진 마늘) 2/3큰술(7g), 청주 1큰술(15ml), 식용유 2큰술(30ml), 치킨파우더 1큰술(10g)), 후춧가루(후춧가루 약간), 소금(소금 약간), 물 2컵(400ml)
- 대체재료
- (1) 대파 → 청경채 (청경채를 넣어도 국물맛이 시원해진다.)
- (2) 치킨파우더 → 시판용 다시다 (치킨파우더가 없을 경우에는 시판용 다시다를 약간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추는 방법도 있다.)
기본정보
- 조리시간 : 30분
- 분량 : 1인분 기준
- 칼로리 : 662kcal (1인분)
요리과정
- 1. 양파와 대파는 채 썰고 애호박은 1×5cm 크기로 납작하게 썬다. 목이버섯은 한입 크기로 뜯는다. 굴은 옅은 소금물에 살살 흔들어 씻은 후 체에 밭쳐 헹구고 물기를 뺀다.
- 2. 달군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다진 마늘과 고춧가루를 넣어 볶다가 청주, 양파, 애호박, 목이버섯, 대파를 넣고 볶는다.
- 3. 물을 붓고 끓기 시작하면 치킨파우더, 소금을 넣어 끓인다.
- 4. 굴, 후춧가루를 넣고 끓인다.
- 5. 생면은 끓는 물에 넣고 포장지에 적힌 시간 대로 삶아 그릇에 담고 04를 담는다.
음식정보
- 보관온도 : 0~5℃
- 보관기간 : 1일
- 보관법 :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며 냉장 보관 후 재섭취시 재가열하여 섭취해야 하며, 가급적 조리 후 바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영양성분 (1인분 기준) : 베타카로틴 1,115.41㎍, 니아신 4.82mg, 나트륨 354.82mg, 단백질 24.79g, 당질 84.89g, 레티놀 54.00㎍, 비타민 A 408.03㎍RE, 비타민 B1 0.46mg, 비타민 B2 0.46mg, 비타민 B6 0.44mg, 비타민 C 23.42mg, 비타민 E 21.61mg, 식이섬유 14.62g, 아연 93.19mg, 엽산 47.99㎍, 인 320.65mg, 지질 23.25g, 철분 9.12mg, 칼륨 600.43mg, 칼슘 162.80mg, 콜레스테롤 50.35mg, 회분 3.15g.[2]
이연복 굴짬뽕 만드는법[편집]
굴짬뽕 재료
굴 150g, 중국부추(호부추), 배추, 양파, 중화면, 청양고추, 파, 생강, 소금, 치킨스톡
굴짬뽕 레시피 1. 호부추의 파란 부분과 흰 부분을 나눠 잘라준다. 2. 큰 양파 1/8개, 배추 한 잎, 청양고추 한 개, 파(흰 부분) 1대를 썰어주시고 생강 1스푼 분량을 다져준다. 3. 중화면을 삶아준다. (삶아지면 찬물에 한 번 헹궈주시고 뜨거운 물에 살짝 데쳐준다.) 4. 달궈진 프라이팬에 식용유 2스푼, 파, 생강, 청양고추를 넣고 먼저 볶아준다. 5. 호부추의 파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채소와 간장 1/3 스푼을 넣고 강불에 볶아준다. 6. 물 600mL, 소금 한 자밤, 치킨스톡 분말 1스푼을 넣고 끓여준다. 7. 굴 150g과 호부추 파란부분을 넣고 끓여준다. 8. 면을 그릇에 남아주시고, 굴짬뽕 국물을 위에 부어준다.[3]
관련 음식[편집]
해물짬뽕[편집]
해물짬뽕(Spicy Seafood Noodle Soup)은 새우, 주꾸미, 오징어, 홍합 따위의 해산물을 푸짐하게 넣고 끓인 짬뽕을 말한다. 또한, 짬뽕의 한 종류로 닭 육수에 해산물과 야채를 넣어 매콤하게 끓인 뒤 국수와 함께 먹는 중국식 요리이다. 짬뽕은 중국어로 '차오마몐(炒码面)'이라 하며, 짬뽕이라는 말은 일본어인 '잔폰(ちゃんぽん)'에서 유래한 것이다. 본래 짬뽕 한 종류로만 존재하다 시간이 흐르면서 해물짬뽕, 굴짬뽕, 나가사키 짬뽕, 짬뽕밥 등으로 다양해졌다. 해물짬뽕은 삼선짬뽕이라고도 하며 '삼선(三鲜)'은 땅과 하늘, 바다의 귀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다는 뜻이다. 각각 송이버섯이나 목로버섯, 해삼 혹은 전복, 그리고 꿩을 가리킨다. 그러나, 실제 중국집에서는 오징어와 새우, 말린 해삼 등 해산물을 재료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제철의 질 좋은 해산물을 넣어 좀 더 다양한 종류의 해물짬뽕을 만들기도 한다.
말린 해삼을 물에 불려놓은 다음, 새우는 머리와 꼬리, 내장을 제거하여 준비하거나 통으로 씻어 준비한다. 오징어와 불린 해삼은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양파는 채 썰고, 고추, 대파, 양배추는 어슷하게 썰어 놓는다. 팬에 야채와 고춧가루를 넣어 볶다가, 오징어와 새우, 해삼을 넣어 살짝 볶는다. 닭 육수에 물을 섞어 붓고 육수를 우린다. 고추기름과 후추를 넣어 한소끔 끓인다. 모자란 간은 소금으로 맞춘다. 생면은 삶기 전에 한 번 씻어낸다. 끓는 물에 씻은 생면을 넣어 익을 때까지 휘젓는다. 물이 끓으면 찬물을 한 컵 넣어준다. 다 익은 면은 건져내 찬물에 헹군다. 그릇에 삶은 국수를 올리고 그 위에 짬뽕 국물을 얹는다. 해물짬뽕은 일반 짬뽕보다 신선하고 다양한 해물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주재료인 해산물에는 단백질이 풍부하면서도 지방 함량이 낮아 체중조절 시 도움을 준다. 또한 비타민과 무기질, DHA가 풍부하여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 예방은 물론 노인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짬뽕 자체는 짠맛이 강하여 지나치게 많이 먹을 경우 고혈압이나 위염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4]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짬뽕〉, 《두산백과》
- 〈굴짬뽕 만드는 법〉, 《음식백과》
- 〈해물짬뽕〉, 《두산백과》
- 네오나르, 〈이연복 굴짬뽕 만드는법〉, 《중식 셰프 황금레시피》, 2022-02-12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