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경
성도경은 글로벌 점유율 1위 슈퍼커패시터 생산 전문 업체인 비나텍㈜의 CEO이며 지식재산혁신기업협의회 부회장이다.
전북대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한 성도경 대표는 대우전자부품에 입사, 컴퓨터 등에 들어가는 에너지저장장치 일종인 탄탈럼 커패시터 생산과장, 영업팀장 등으로 일했다. 그는 독자적인 기술로 에너지저장장치 분야에 도전한다는 목표로 1999년 창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당시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베트남', '중국' 약자를 따서 '비나텍'(VINATECH)이란 사명을 지었다.[1]
성 대표는 비나텍을 창업한 이후 국무총리표창(무역진흥 공로), 산업자원부 장관 표창(나노기술 발전기여) 등을 수상했다.[2]
학력 사항[편집]
- 전주공고
- 전북대학교 전기공학과
- 경기대학교 산업공학 석·박사
스토리[편집]
성 대표가 창업할 당시 일본 마쓰시타에서 연구소장을 지낸 분을 만나 슈퍼커패시터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탄탈럼 커패시터는 이미 많은 업체들이 진출해 경쟁하는 분야였다. 반면 아직 초기 단계인 슈퍼커패시터 분야에 진입하면 전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
슈퍼커패시터는 이차전지와 비교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적다. 반면 순간적으로 큰 에너지를 낼 수 있고 수명 역시 반영구적이라는 강점이 있다. 성 대표는 "이차전지가 물병이라고 하면 슈퍼커패시터는 접시로 비유할 수 있다. 물병에 있는 물은 천천히 나오지만, 접시에 담긴 물은 한꺼번에 모두 쏟아낼 수 있는 원리"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슈퍼커패시터 시장은 예상만큼 빠르게 열리지 않았다. 매년 R&D 비용만 들어가고 성과는 나오지 않았다. 심지어 금융위기(2008년) 땐 수십억원 손실을 보며 회사가 휘청이기도 했다. 성 대표는 "금융위기 당시 3개월 동안 임직원에 급여 절반만 지급하며 보릿고개를 겨우 넘길 수 있었다. '제조업이 이렇게 힘들구나'하는 것을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성 대표의 'R&D 뚝심'은 창업한 지 10년 정도 지나서야 빛을 발했다. 비나텍은 2010년 업계 최초로 3.0V급 슈퍼커패시터 양산에 성공한 데 이어, 미국 모하비사막에 건설 중인 '아이밴파 태양열발전소'에 들어갈 슈퍼커패시터를 60억원 규모로 수주했다. 이어 미국 블룸에너지와 연료전지용 슈퍼커패시터를 20억원 상당에 공급하기로 계약했다. 비나텍은 이렇듯 해외에서 불어온 수주 훈풍에 힘입어 2013년 코넥스 시장에 상장했다.
이후에도 슈퍼커패시터 적용 범위는 꾸준히 늘어났다. 우선 서버에 들어가는 데이터저장장치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백업을 위한 전원으로 슈퍼커패시터가 쓰이기 시작했다. 또한 자동차 에어백 분야로도 적용이 확대했다.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고 사고가 발생하면 에어백 폭발에 의한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순간 전력'이 필요하다. 현재 벤츠 완성차에 들어가는 에어백용 슈퍼커패시터를 전량 납품 중이다.
비나텍은 자동차, 서버 등 신시장이 열리면서 매출액이 2017년 233억원에서 이듬해 319억원, 2019년에는 428억원으로 늘어났다. 코로나19 충격에 대부분 산업이 침체했던 2020년과 지난해에도 각각 467억원과 490억원 매출액을 올리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비나텍은 2020년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했다.
성 대표는 2022년 가전 분야에서 굵직한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TV용 리모컨 배터리로 일차전지가 들어갔다. 이를 슈퍼커패시터로 바꾸면 리모컨 크기와 무게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현재 국내 유수 가전업체와 협력해 리모컨 배터리를 슈퍼커패시터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성 대표는 친환경 흐름을 타고 슈퍼커패시터 수요 역시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수소자동차와 트램(노면전차), 의료기기, 드론 등 적용 범위 역시 확대할 것으로 봤다. 이를 위해 1000억원 가량을 들여 현재 완주테크노밸리2단지에 5만 8000㎡(약 1만 7600평) 규모로 추가 사업장을 구축 중이다.
아울러 성 대표는 신수종사업으로 수소연료전지를 낙점했다. 그는 "업계에서 유일하게 지지체(소재)에서 촉매, 막전극접합체(MEA), 분리판까지 수소연료전지 생산을 위한 토털솔루션을 갖췄다"며 "슈퍼커패시터에 수소연료전지를 더해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1]
주요 활동[편집]
비나텍㈜[편집]
1999년 설립된 비나텍은 2010년 선보인 세계 최초의 3V급 슈퍼커패시터(다량의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순간적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 중형(1000F 이하) 슈퍼커패시터 분야에서 글로벌 점유율 1위에 오른 강소 기업이다. 코넥스 대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으로 군림하다가 2020년 9월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했다.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수소연료전지 스택(Stack)의 핵심 부품인 막전극접합체(MEA)·촉매·지지체도 비나텍의 미래 먹거리다. 매출액(2020년 기준 467억원)의 87%를 수출로 벌어 들였다.[3]
특허[편집]
비나텍은 지식재산권(IP) 분쟁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려던 것이 세계 점유율 1위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창업 초기에 가장 두려워한 게 IP 갈등이었다. 성대표는 IP 분쟁이 발생하면 회사가 감당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피할 길은 유일무이한 제품을 만드는 것. 미친 듯이 연구개발(R&D)에 집중했다. 그 결과물이 에너지 저장 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중형 슈퍼커패시터다. 지금도 차별화된 기술력을 유지하고자 R&D에 끊임없이 재투자한다. 160여 건의 특허는 비나텍의 강력한 무기다.[3]
- 특허권 - 전기이중층 캐패시터(2006)
- 특허권 - 하이브리드 전지(2006)
- 특허권 - 표면실장형 슈퍼커패시터(2012)
- 특허권 - 칩 타입의 슈퍼 커패시터의 테스트 방법(2012)
- ISO9001 - Super capacitor의 설계,개발,제조 및 부가서비스
- ISO14001 - Super capacitor의 설계,개발,제조 및 부가서비스
- TS16949 - Super capacitor의 설계 및 제조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1.0 1.1 강경래 기자, 〈(CEO열전)성도경 비나텍 대표 "친환경 에너지로 2030년 1조"〉, 《이데일리》, 2022-05-16
- ↑ 이종호 기자, 〈비나텍㈜ 성도경 대표이사 “2026년 매출 1조원 달성”〉, 《전북일보》, 2021-06-20
- ↑ 3.0 3.1 전준범 기자, 〈유일무이한 제품 만드니, 세계 1위 따라옵디다”〉, 《조선비즈》, 2021-09-01
참고자료[편집]
- 비나텍㈜ 공식 홈페이지 - http://www.vinatech.com/
- 〈비나텍〉, 《나무위키》
- 〈VINATech소개〉, 《비나텍》
- 〈비나텍〉, 《네이버 지식백과》
- 월간인물, 〈비나텍㈜ 성도경 대표 - 시장 선점을 위한 도전 이어가는 ‘슈퍼커패시터’ 세계 1위 기업〉, 《네이버 블로그》, 2020-06-01
- 이슈메이커, 〈(CEO) 비나텍㈜ 성도경 대표〉, 《티스토리》, 2020-07-01
- 강경래 기자, 〈(CEO열전)성도경 비나텍 대표 "친환경 에너지로 2030년 1조"〉, 《이데일리》, 2022-05-16
- 이종호 기자, 〈비나텍㈜ 성도경 대표이사 “2026년 매출 1조원 달성”〉, 《전북일보》, 2021-06-20
- 전준범 기자, 〈유일무이한 제품 만드니, 세계 1위 따라옵디다”〉, 《조선비즈》, 2021-09-01
- 〈비나텍(주) 2022년 기업정보〉, 《사람인》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