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전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eejia1222 (토론 | 기여)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엘지전자㈜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엘지전자㈜'''(LG)]] | + | [[파일:엘지전자㈜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엘지전자㈜'''(LG Electronics)]] |
− | [[파일:엘지전자㈜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엘지전자㈜'''(LG)]] | + | [[파일:엘지전자㈜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엘지전자㈜'''(LG Electronics)]] |
− | |||
− | |||
+ | '''엘지전자㈜'''<!--엘지전자, LG전자-->(LG Electronics) 또는 간략히 '''LG'''(엘지)는 1958년에 '''[[구인회]]'''가 창업한 한국의 전자제품 제조 회사이다. 창업 당시 회사명은 '금성'(金星, Gold Star)이었고, 1995년 엘지전자㈜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5년에 일부 회사가 분리되었을 당시 전자 부문은 '''[[엘지그룹]]'''(LG Group)에 남아 휴대전화, 냉장고, 세탁기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대표는 '''[[권봉석]]'''이다. | ||
+ | {{:자동차 배너}} | ||
== 개요 == | == 개요 == | ||
− | 전자제품, 모바일 통신기기 및 가전제품 분야의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전 세계 | + | 전자제품, 모바일 통신기기 및 가전제품 분야의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전 세계 백사십여 개 사업장에서 비즈니스를 전개해 2019년 매출액 62조 3,062억 원을 기록했다. 엘지전자㈜는 생활가전(H&A), 홈 엔터테인먼트(HE), 이동통신(MC),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VS), 비즈니스 솔루션(BS)의 다섯 개 사업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TV, 세탁기, 냉장고, 휴대폰, 자동차 부품 등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엘지그룹의 로고는 영어 L자와 G자를 합성한 것으로서 신라의 유물인 ‘얼굴 무늬 수막새’를 본떠서 만들어졌다. 심벌마크는 글로벌한 사고방식, 미래지향적 비전, 젊음, 사람, 그리고 기술이다. 원 안에 배치된 L과 G는 사람이 엘지전자㈜의 기업이념 중심에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 엘지그룹 창업자인 구인회는 1942년 일제 강점기에 거액의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했다. 전체 직원은 3만 7,000 명이다. 2015년 별도 매출은 28조 원이고, 연결 매출은 56조 원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다.<ref>, 〈[https://namu.wiki/w/LG%EC%A0%84%EC%9E%90#s-2.2 LG전자]〉, 《나무위키》</ref> |
− | |||
== 연혁 == | == 연혁 == | ||
− | + | {{다단2| | |
* 2017년 07월 : 상업용 로봇 사업 본격 개시 | * 2017년 07월 : 상업용 로봇 사업 본격 개시 | ||
− | * 2016년 08월 : GM | + | * 2016년 08월 : [[제너럴모터스]](GM) 전기자동차 [[쉐보레 볼트 EV]]용 부품 양산 시작 |
* 2015년 10월 : 세계 최초 트윈워시 세탁기 출시 | * 2015년 10월 : 세계 최초 트윈워시 세탁기 출시 | ||
− | * 2014년 12월 : 메르세데스 | + | * 2014년 12월 : [[메르세데스-벤츠]]와 '미래 자동차' 핵심 부품 개발 협력 |
− | * 2013년 07월 : 독자개발 RCS | + | * 2013년 07월 : 독자개발 리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RCS) 세계 첫 상용화 |
− | * 2012년 11월 : 세계 최대 84형 UD 시네마 3D 스마트TV 출시 | + | * 2012년 11월 : 세계 최대 84형 UD 시네마 3D [[스마트TV]] 출시 |
* 2011년 02월 : LTE 표준 핵심 특허 보유 세계 1위 | * 2011년 02월 : LTE 표준 핵심 특허 보유 세계 1위 | ||
− | * 2010년 : G20 Seoul Summit 전기자동차 개발 참여 | + | * 2010년 : '서울 G20 정상회의(G20 Seoul Summit)' [[전기자동차]] 개발 참여 |
− | + | * 2009년 02월 : [[LCD]] TV 공급률 2위, 세계 최초 LTE 단말 무선 전송 시연 | |
− | |||
− | |||
− | * 2009년 02월 : | ||
* 2008년 : 세계 최초 ‘3G LTE’ 무선 칩 개발, 세계 최초 블루레이 네트워크 저장장치 출시, 세계 최초 핸드폰용 블루투스 헤드셋 출시 | * 2008년 : 세계 최초 ‘3G LTE’ 무선 칩 개발, 세계 최초 블루레이 네트워크 저장장치 출시, 세계 최초 핸드폰용 블루투스 헤드셋 출시 | ||
* 2007년 12월 : 가전사업, 영업이익률 세계 최고 달성, 미국 내 드럼세탁기 시장점유율 첫 1위 | * 2007년 12월 : 가전사업, 영업이익률 세계 최고 달성, 미국 내 드럼세탁기 시장점유율 첫 1위 | ||
* 2006년 06월 : 러시아 모스크바, 폴란드 브로츠와프와 므와바에 생산공장 준공, 디자인 경영 선포 | * 2006년 06월 : 러시아 모스크바, 폴란드 브로츠와프와 므와바에 생산공장 준공, 디자인 경영 선포 | ||
* 2004년 07월 : 차세대 디지털 TV 전송기술, 국제 표준으로 채택 | * 2004년 07월 : 차세대 디지털 TV 전송기술, 국제 표준으로 채택 | ||
− | + | * 2003년 10월 : [[CDMA]] 단말기 세계 1위 달성, 한국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과 자동차용 멀티미디어(AVN) 양산 | |
− | |||
− | |||
− | * 2003년 10월 : CDMA 단말기 세계 1위 달성, 한국 OEM AVN | ||
* 2002년 04월 : 지주회사 출범으로 기업 분할, 사업구조 진화 | * 2002년 04월 : 지주회사 출범으로 기업 분할, 사업구조 진화 | ||
− | * 2001년 07월 : 세계 최초 리니어 압축기 상용화 성공, 한국 | + | * 2001년 07월 : 세계 최초 리니어 압축기 상용화 성공, 한국 주문자상표부착생산과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및 텔레매틱스(Telematics) 개발 |
* 2000년 04월 : 에어컨 세계 1위 | * 2000년 04월 : 에어컨 세계 1위 | ||
− | * 1997년 07월 : 디지털 경영, | + | * 1997년 07월 : 디지털 경영, 디지털엘지(Digital LG) 선포, 국내 최초 완전평면 모니터 개발 |
− | * 1996년 05월 : 국내 기업 최초, 전 세계 60개국 대상 | + | * 1996년 05월 : 국내 기업 최초, 전 세계 60개국 대상 '글로벌 광고' 실시 |
− | * 1995년 01월 : | + | * 1995년 01월 : 엘지전자㈜로 사명 변경 및 그룹 내 회사명 엘지로 통합 |
− | + | | | |
− | + | * 1994년 04월 : 국내기업 최초 '환경선언문' 발표 | |
− | + | * 1990년 01월 : 신경영 및 총합 생산성 관리(TPC) 운동 전개 | |
− | * 1994년 04월 : 국내기업 최초 | ||
− | * 1990년 01월 : 신경영 | ||
* 1989년 02월 : LSR(Life Soft Research) 연구소 설립 | * 1989년 02월 : LSR(Life Soft Research) 연구소 설립 | ||
− | * 1989년 01월 : | + | * 1989년 01월 : 신경영과 총합 생산성 관리 운동 전개, 노사 분규, 사상 최대 위기 극복, 노경화 합체 제 구축 |
− | |||
− | |||
− | |||
* 1987년 11월 : 국내 기업 최초 유럽 현지 생산공장, 서독 현지 공장 ‘GSE’ 준공 | * 1987년 11월 : 국내 기업 최초 유럽 현지 생산공장, 서독 현지 공장 ‘GSE’ 준공 | ||
* 1985년 09월 : 국내 최초, 최대의 제품시험연구소 설립 | * 1985년 09월 : 국내 최초, 최대의 제품시험연구소 설립 | ||
53번째 줄: | 41번째 줄: | ||
* 1982년 10월 : 국내 기업 최초 해외 생산기지, 헌츠빌 GSAI 컬러 TV 공장 준공 | * 1982년 10월 : 국내 기업 최초 해외 생산기지, 헌츠빌 GSAI 컬러 TV 공장 준공 | ||
* 1981년 03월 : 가전 업계 최초 ‘소비자 상담실’ 설치 | * 1981년 03월 : 가전 업계 최초 ‘소비자 상담실’ 설치 | ||
− | |||
− | |||
− | |||
* 1979년 09월 : 세계 최초의 컴퓨터 컬러 TV ‘CNP-804’ 개발 | * 1979년 09월 : 세계 최초의 컴퓨터 컬러 TV ‘CNP-804’ 개발 | ||
* 1978년 12월 : 전자업계 최초, 수출 1억 달러 돌파 | * 1978년 12월 : 전자업계 최초, 수출 1억 달러 돌파 | ||
* 1977년 08월 : 컬러 TV ‘CT-808’ 개발 생산 | * 1977년 08월 : 컬러 TV ‘CT-808’ 개발 생산 | ||
* 1975년 12월 : 국내 민간기업 최초 중앙연구소 설립 | * 1975년 12월 : 국내 민간기업 최초 중앙연구소 설립 | ||
− | |||
− | |||
− | |||
* 1969년 05월 : 국내 최초 세탁기 ‘WP-181’ 개발 | * 1969년 05월 : 국내 최초 세탁기 ‘WP-181’ 개발 | ||
* 1968년 03월 : 국내 최초 에어컨 ‘GA-111’ 생산 | * 1968년 03월 : 국내 최초 에어컨 ‘GA-111’ 생산 | ||
69번째 줄: | 51번째 줄: | ||
* 1961년 07월 : 국내 최초 자동전화기 금성 1호 ‘GS-1’ | * 1961년 07월 : 국내 최초 자동전화기 금성 1호 ‘GS-1’ | ||
* 1959년 11월 : 국산 라디오 ‘A-501’ 개발 | * 1959년 11월 : 국산 라디오 ‘A-501’ 개발 | ||
− | * 1958년 10월 : 금성사 설립, 한국전자산업의 서막 엘지전자㈜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lge.co.kr/lgekor/company/main.do | + | * 1958년 10월 : 금성사 설립, 한국전자산업의 서막<ref name="홈페이지">엘지전자㈜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lge.co.kr/lgekor/company/main.do</ref> |
− | + | }} | |
− | |||
==주요 사업== | ==주요 사업== | ||
− | === | + | ===생활가전=== |
− | + | [[파일:키친어플라이언스.png|썸네일|400픽셀|'''키친 어플라이언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세계 일등 가전 브랜드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초프리미엄 스마트 가전으로 시장을 선도해가는 생활가전(H&A,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사업본부는 총 네 개의 세부 분야로 냉장고/빌트인/인덕션/식기세척기 등이 있는 키친어플라이언스, 트윈워시/건조기/스타일러/무선청소기/로봇청소기 등이 있는 리빙어플라이언스, 상업용 에어컨/난방솔루션 칠러, 공조기(AHU), 지에이치피(GHP)/공기청정기 등이 있는 에어솔루션, 컴프레셔&모터 등이 있는 부품 솔루션로 나누어져 있다.<ref name="홈피"> 〈[http://meet.lg.com/about/affiliate/RetrieveAffiliateLgeHead.rmi 계열사 소개]〉, 《엘지커리어스》</ref> 기존 생활가전뿐만 아니라, 스마트 홈과 로봇 등 미래 산업에서도 고객 연구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기술, 프리미엄 디자인을 결합한 시장 선도형 제품들을 선보이며 ‘글로벌 토털 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초프리미엄 가전 통합 브랜드 '엘지 시그니처(LG SIGNATURE)'는 물론, 독자기술인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와 노크 두 번만으로 냉장고 안을 손쉽게 볼 수 있는 ‘노크온 매직스페이스 냉장고’, 세계 최초로 상단 드럼세탁기와 하단 미니세탁기를 결합한 '트윈워시', 항상 새 옷처럼 의류를 관리해주고 바지 칼 주름 기능까지 탑재된 똑똑한 의류 관리기 ‘스타일러’, 스마트 인버터 기술로 맛있고 건강한 조리를 가능하게 해 주는 ‘광파오븐’, 선이 없어 편리한 청소를 가능하게 해주는 ‘코드 제로 청소기’, 정수와 냉수는 물론 온수에도 직수 타입을 적용한 '퓨리케어 슬림 정수기’ 등으로 엘지전자㈜ 가전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삶을 보다 윤택하고 편리하게 만드는 데 힘쓰고 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과 같은 미래기술을 융복합하여 말을 알아듣는 가전, 스스로 진화하는 가전,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이 되는 가전 등으로 고객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고자 한다. 또한, 세계 최고 에어컨 브랜드의 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초절전 인버터 절전 기술, 듀얼 맞춤 냉방, 감성 디자인, 건강을 생각하는 퍼펙트 공기 청정 등 고정관념을 깨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가정용 공기 관리 기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그리고 독보적인 엘지전자㈜의 에어 솔루션인 ‘퓨리케어 공기청정기’, 제습기, 프리미엄 가습기 등은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어 준다. 나아가 시스템 냉난방 공조 솔루션을 제공, 초대형 빌딩, 산업시설에 이르는 다양한 환경에서 고객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총합 공조 솔루션 및 통합 에너지 제어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ref name ="홈페이지"></ref> | |
− | |||
+ | 이러한 제품들을 통해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생활가전 사업본부는 엘지전자㈜의 실적을 이끌어 일분기 매출액이 역대 분기 중 최대치인 육조 사천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위생과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를 적극적으로 공략했던 스팀 가전과 함께 일분기에는 `사계절 가전`으로 탈바꿈한 에어컨이 실적 성장을 이끌 전망이다. 이 밖에도 엘지전자㈜ 생활가전사업본부는 각 소비자의 가정에 ` 엘지가전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에 강점을 보이던 제품군에 인공지능 플랫폼인 `엘지 씽큐(ThinQ)`를 확대 적용하였고 신제품 엘지 통돌이 세탁기도 통돌이 세탁기 처음으로 인공지능 기능을 적용하였다.<ref> 박재영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2/149811/ 날개 단 LG 가전, 1분기 최고치 찍는다]〉, 《매일경제》, 2021-02-15</ref> 이러한 신제품은 모두 사물인터넷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추가로 스마트홈 앱을 만들고, 구글 및 아마존과 오픈소스 플랫폼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엘지전자㈜ 생활가전 사업본부는 향후 프리미엄 제품과 [[B2B]](비투비) 매출을 확대하고, 렌털과 케어 솔루션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장기적으로 에스에이치디(HSD, high-single digit) 수익성 지속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ref>다이어리, 〈[https://m.blog.naver.com/shakey7/221720943838 LG전자 기업 분석 (H&A / HE / MC / VS / BS / LG이노텍 / 생활가전 / IoT / OLED TV / 스마트폰 / 5G / 텔레매틱스 / 디스플레이 / 렌탈)]〉, 《네이버 블로그》, 2019-11-28</ref> 또한 엘지전자㈜는 성과주의에 따라 해당 연도 사업본부의 매출액 목표 달성도, 영업이익 목표 달성도 등의 기본 지표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내의 경쟁상황 관련 목표 달성 여부 등을 가감해 사업부 단위의 성과급 지급률을 정하고 있다. 2020년에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생활가전 사업본부의 성과급 지급률은 냉장고/빌트인/인덕션/식기세척기 등을 담당하는 키친어플라이언스 사업부와 트윈워시/건조기/스타일러/무선청소기/로봇청소기 등을 담당하는 리빙 어플라이언스 사업부 각각 칠백오십 퍼센트, 상업용 에어컨/난방솔루션칠러, 공조기(AHU), 지에이치피(GHP)/공기청정기 등을 담당하는 에어솔루션 사업부 육백 퍼센트 등으로 정해졌다.<ref> 뉴스1,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216/105448110/1 역대 최대 실적 LG전자…생활가전 성과급 750%]〉, 《동아일보》, 2021-02-16</ref> | ||
+ | * '''공기청정기''' :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한국을 강타해 큰 주목을 받았다. 미세먼지가 심해지는 상황에서 사용자들의 관심이 급증했고, 국내 헬스케어 생활가전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엘지전자㈜는 공기청정기를 시작으로 창밖에 빨래를 널지 않아도 되는 건조기, 옷에 묻은 미세먼지를 털어줄 의류 관리기 등 미세먼지가 국내 가전 시장의 판도를 바꾸어 놓았다. 이에 엘지전자㈜ 헬스케어 생활가전 매출 비중이 2017년에 약 5%에서 2019년에는 10% 수준으로 커졌으며, 2020년도에도 꾸준히 상승했다. 미세먼지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렵고 황사 시즌도 반복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 등 관련 제품은 필수 가전으로 부상했다.<ref name="분석"></ref> | ||
− | + | * '''엘지 스타일러 슬림'''(LG Styler Slim) : 엘지전자㈜의 엘지 오브제컬렉션(LG Objet Collection) 스타일러의 후속작 모델이다. 기존의 스타일러는 도어 모서리에 직각 모양의 플랫 디자인을 적용하여 가구와 함께 빌트인으로 설차하면서 공간과의 일체감이 특징이었다. 이 제품은 엘지 오브제컬렉션 스타일러의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왔으며, 한 번에 최대 네 벌을 관리할 수 있는 정도로 크기를 줄여 제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 또한, 전면 도어에는 고급스러운 무광 색상인 미스트 그린과 미스트 베이지를 적용하여 원하는 분위기에 맞추어 집안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도 있다. 물을 100℃로 끓여 만드는 트루스팀(TrueSteam)은 탈취와 살균에 효과적이며, 독자 기술인 무빙행어는 옷을 1분에 최대 200회 털어주어 옷에 묻은 미세먼지를 골고루 제거해줄 수 있다.<ref>〈[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3048474a LG전자, 신제품 '오브제컬렉션 스타일러 슬림’ 추가 출시]〉, 《한국경제》, 2021-03-04</ref> | |
− | |||
+ | ===홈 엔터테인먼트=== | ||
+ | [[파일:TV.png|썸네일|400픽셀|'''TV''']] | ||
+ | 홈 엔터테인먼트(HE, Home Entertainment) 사업본부는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을 목표로 가지고 세 가지의 세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TV 사업인 [[올레드]](OLED)와 [[나노셀]] TV, 오디오 사업인 사운드바/포터블스피커/무선헤드셋, 마지막으로 피부케어를 중심으로 하는 홈뷰티 사업이 있다. 특히, 기존 TV와는 다르게 스스로 빛을 내는 패널이 만드는 무한대 명암비, 생생한 색감의 최고의 화질과 얇은 화면 등을 갖추고 있는‘올레드 TV’를 필두로, 1나노미터의 미세입자를 패널에 적용한 섬세한 색상 제어인 [[나노셀 기술]]을 적용한 ‘슈퍼 울트라HD TV’ 등 차세대 TV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21:9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엘지 그램’ 등 다양한 제품들로 미래 기술에 대한 기대와 가치를 현실화해 홈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의 위상을 펼치고 있다. 또한 기존 사운드바 등 오디오 사업에서의 축적된 역량을 기반으로 포터블스피커/무선헤드셋 등 퍼스널 오디오 영역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더불어 새로운 분야인 홈뷰티 사업에서도 프라엘 브랜드를 통해 뷰티기기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가져오고 있다.<ref name ="홈페이지"></ref> 이런 다양한 혁신 제품을 통해, 홈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이끌어 가고 있으며 더불어 웹 운영체제(Web OS) [[스마트TV]] 플랫폼은 고객들이 직관적으로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TV 서비스를 준비했으며 또한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솔루션과 감각적인 디자인과 편리한 기능을 갖춘 제품 개발을 바탕으로 새로운 고객 경험을 선도하고 있다.<ref name ="홈피"></ref> 코로나 19 등의 영향으로 건강, 안전, 위생에 대한 관심들이 높아지면서 엘지전자㈜ 홈 엔터테이먼트 사업은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 2조 3,175억 원, 2조 3,143억 원을 기록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7.9% 증가했다. 이러한 기록은 프리미엄 시장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면서 올레드(OLED), 나노셀 TV 등 프리미엄 제품 매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분기 글로벌 TV 출하량은 6,015만 대로, 분기별 출하량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ref>이성진 기자,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11/18/2020111800098.html LG전자, 프리미엄 시장 '고공행진'… 북미·유럽 매출 급증]〉, 《뉴데일리경제》, 2020-11-28</ref> | ||
− | + | * '''엘지홈브루'''(LG Home Brew) : 엘지전자㈜가 개발한 100만 원대 상당의 캡슐형 수제 맥주 제조기이다. 엘지전자㈜는 기존의 모델 대비 내부 디자인을 단순화하는 등 원가절감을 통하여 가격을 낮췄다. 하지만, 외관 디자인과 차별화된 성능과 기능은 동일하게 적용하여 기존 제품의 고급스러운 느낌과 맛있는 맥주 맛을 그대로 살렸다. 2019년에 처음 선보였으며, 누구나 손쉽게 나만의 맥주를 만들 수 있는 세계 최초 캡슐형 수제 맥주 제조기이다. 제품에 캡슐형 맥주 원료 패키지와 물을 넣고 간단히 다이얼 조작하여 발효부터 숙성 및 보관까지 복잡하고 어려운 맥주 제조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페일 에일(Pale Ale), 인디아 페일에일(India Pale Ale), 흑맥주(Stout), 밀맥주(Wheat), 필스너(Pilsner) 등 인기 맥주 5종을 취향에 따라 직접 제조할 수도 있다.<ref name="분석"></ref> | |
− | |||
− | |||
+ | ===이동통신=== | ||
+ | [[파일:모바일.png|썸네일|400픽셀|'''모바일''']] | ||
− | + | 혁신적인 기술과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이동통신(MC, Mobile Communications) 사업본부는 전 세계 [[5G]] 프리미엄 스마트폰 및 보급형 스마트폰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폰, 웨어러블, 태블릿 등 폭넓은 제품군을 갖추고 혁신을 기반으로 한 최고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엘지전자㈜ 이동통신 사업본부는 매년 선보이는 신제품마다 세계 주요 IT 행사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함과 동시에 세계 유수의 IT 관련 언론사 및 기관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두며 모바일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특히, 플래그십 모델인 '엘지 G6'에는 세계 최초로 5.7인치 QHD 디스플레이 플러스 대화면과 18:9 화면비를 적용한 올레드 풀비전(OLED FullVision)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혁신과 기술력을 선보다. 또한, '엘지 V30'에는 하이파이 쿼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DAC), 시네 비디오와 같은 독자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속 강화해 나가며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엘지전자㈜가 출시한 엘지 V30S 씽큐에 적용한 인공지능 카메라, 큐렌즈 등 사용자 중심의 유용하고 편리한 엘지전자㈜만의 인공지능 기술을 지속해서 발전시키고 활용영역을 확장해 나갈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분야의 리더십도 공고히 하고 있다. 더불어 세계 최초 넥밴드 형태의 블루투스 이어폰인 엘지 톤플러스 시리즈는 감성적인 디자인과 뛰어난 프리미엄 사운드를 구현함으로써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함께 아닌 웨어러블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엘지전자㈜ 이동통신 사업본부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태블릿 등 폭넓은 제품군을 갖추고 혁신을 기반으로 세계 1위의 LTE 특허 리더십, 소비자 중심의 디자인, 앞선 디스플레이 기술력, 감성 혁신 기반의 사용자 경험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모바일을 뛰어넘는 즐거움을 제공하고, 협력사들과 동반 성장할 수 있는 모바일 생태계를 구축해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ref name ="홈페이지"></ref> 엘지전자㈜는 2021년 일월에 이동통신 사업본부의 스마트폰 부문 매각을 공식화한 가운데 러시아 국부펀드인 러시아직접투자기금(Russian Direct Investment Fund, RDIF)이 새로운 인수 후보로 떠올랐다. 1980년대 후반 ‘골드스타’ 브랜드를 시작으로 러시아와 인연을 맺은 엘지전자㈜는 1990년 한러 수교 이후 모스크바 지사를 설립했다. 그 이후 2006년 구월 한국 전자 기업 최초로 모스크바에서 약 86㎞ 떨어진 소도시 루자에 러시아 현지 생산 공장을 설립했다. 이러한 철저한 현지화 전략 덕분에 러시아 내에서 엘지전자㈜의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만큼, 우회 인수를 통해 그에 따른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비친 것으로 보인다.<ref>석유선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215160355828 (단독) LG폰 인수 큰손으로 ‘러시아 국부펀드’ 부상...이달 방한해 LG전자와 미팅]〉, 《아주경제》, 2021-02-16</ref> | |
− | |||
− | |||
− | |||
+ | * '''엘지벨벳'''(LG Velvet) : 엘지전자㈜가 이동통신 3사와 자급제 채널을 통하여 출시한 물방울 카메라, 3D 아크 디자인 등 완성도 높은 디자인을 구현한 제품이다. 물방울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 3개와 플래시가 마치 물방울이 떨어지는 듯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디자인이다. 6.8형 대화면임에도 너비가 74.1mm에 불과하고, 여기에 전면 디스플레이 좌우 끝을 완만하게 구부린 3D 아크 디자인을 적용했다. 후면 커버도 동일한 각도로 구부려 하단에서 보면 가로로 긴 타원형 모양이다. 타원형이기 때문에 손과 밀착되는 접촉면이 넓어져 착 감기는 손맛을 제공한다. 특히, 6.8형 20.5:9 화면비의 시네마 풀비전(FullVision)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스테레오 스피커와 인공지능 사운드를 지원해 영상 시청 시에는 몰입감을 극대화했다.<ref name="분석"></ref> | ||
− | === | + |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
− | + | [[파일:SMART.png|썸네일|400픽셀|'''스마트 솔루션''']] | |
+ | 전기, 전자 분야의 첨단 기술력과 품질 중심 경영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및 차세대 전기자동차 시장의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VS, Vehicle component Solutions) 사업본부는 '차량 전기화를 위한 혁신 파트너(Innovation Partner for Vehicle Electrification)'라는 비전 아래 글로벌 일류 자동차 부품 회사라는 목표를 가지고 두 가지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컨넥티브(Infotainment Connectivity), 인텔리전트 드라이빙(Intelligent Driving), 차량용 소프트웨어(Automotive Software)를 개발하는 스마트 사업 영역과 친환경 차량용 작동부(Active Part)/아이피지엠(IPGM)/전력변환장치(Inverter)/[[온보드차저]](OBC) 등을 개발하는 그린 사업 영역으로 구분된다. 엘지전자㈜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사업본부는 두개의 영역에서 총 네 가지의 전략인 리얼 스마트(Real Smart), 어웨이즈 커넥티드(Always Connected), 인텔리전트 드라이빙, 올 일렉트로닉(All Electric)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및 차세대 전기자동차 솔루션을 개발해 유수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리얼 스마트(Real Smart)를 실현하는 자동차용 멀티미디어(AVN) 통합 모듈, [[LCD]] 클러스터, 중앙정보 디스플레이(CID), 전방표시장치(HUD)는 운전자 중심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제공해 고객들의 높은 신뢰를 확보하고 있고어웨이즈 컨덕티드를 위한 텔레매틱스(Telematics), 차량사물통신(V2X), 차량 보안, 무선 충전기, 스마트 안테나와 인텔리전트 드라이빙을 추구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센서 통합형 차량용 램프의 앞선 기술력으로 시장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또한, ‘올 일렉트로닉(All Electric)’을 추구하는 전기자동차 핵심 부품인 구동 모터, 인버터, 컨버터, 배터리팩, 차내 충전기, 전동 컴프레서 등을 개발, 공급하면서 지속 가능한 미래 시장에서의 글로벌 일류자동차 부품 회사 달성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ref name ="홈페이지"></ref> | ||
+ | * '''엘지 클로이 서브봇'''(LG CLOi ServeBot) : 엘지전자㈜의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이다. 2020년 7월에 출시하여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했으며, 서랍형 및 선반형 총 2종이다. 처음으로 국산 상용서비스 로봇이 국내 병원에 도입된 엘지 클로이 서브봇 1호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대학교병원 대한외래에 공급되었다. 병원에서 혈액 검체, 처방약, 수액, 진단 시약, 소모품 등과 같이 수시로 운반해야 하는 다양한 물품을 배송하는 데 활용된다. 또한, 엘지전자㈜는 씨제이푸드빌(CJ Foodville)이 운영하는 제일제면소, 빕스, 계절밥상, 더플레이스 등 다양한 매장에서 선반형 서브봇을 순차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ref name="분석"></ref> | ||
− | === | + | ===비즈니스 솔루션=== |
− | + | [[파일:통합 솔루션.png|썸네일|400픽셀|'''통합 솔루션''']] | |
+ | 2008년에 재출범 후, 화려하게 부활한 B2B 사업조직인 비즈니스 솔루션(BS, Business Solutions) 사업본부는 '최적의 맞춤형 통합솔류션을 제공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전 세계 고객에게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파트너로 가정, 빌딩, 호텔, 복합단지 등의 분야에서 맞춤형 통합솔루션을 제공함으로 기대를 뛰어넘는 맞춤형 제품과 솔루션으로 고객의 성공과 미래를 함께 하고자 노력한다. 총 다섯 개의 사업영역으로 제품, 시스템, 서비스 융합으로 고객군별 최적의 맞춤형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과 노트북, 모니터/의료용 기기,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IT 사업과 태양광 패널을 다루고 있는 에너지사업, 그리고 에너지/디스플레이 소재를 다루는 씨이엠(CEM)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ref name ="홈피"></ref> 특히, 시장을 선도하는 ‘올레드 사이니지’, 세계 최고 수준의 베젤 경쟁력을 가진 ‘비디오 월’ 등 독창적인 디스플레이 제품을 기반으로 고객의 공간을 새롭게 창조하고 있으며 ‘고효율 태양광 모듈’,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와 ‘에너지 관리 솔루션(EMS, Energy Management Solution)’으로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고객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14년 처음 출시된 후 한국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그램은 2019년 세계에서 제일 가벼운 십칠 인치랩탑으로 기네스 인증은 물론 미국 유력 소비자 전문지인 '컨슈머 리포트'에서 십칠 인치 부문 베스트 빅 랩탑(Best Big Laptop), 십삼 인치 부문 베스트 배터리 랩탑(Best Battery Laptop), 십칠 인치 부문 베스트 랩탑 오브(Best Laptop of) 2019로 선정되는 등 엘지전자㈜만의 제품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으로 받고 있다. 또한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는 두바이에 세계 최대 올레드(OLED) 사이니지를 설치하여 기네스북에 등재되었으며 압도적인 화질과 물결무늬 디자인 구현으로 제품 이상의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실내/외 어떤 환경 속에서도 탁월한 재현력과 생생한 화질을 보여주며 글로벌 엘지 엘이디(LED) 디스플레이의 우수성을 보여주고 있다.<ref name ="홈페이지"></ref> | ||
+ | 2019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 이어 올해 코로나 19 등 악재 속에서도 성장을 지속하며 회사의 '차세대 캐시카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를 얻었다. 2021년 상반기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의 영업이익은 315억 원을 기록해 전체 엘지전자㈜의 영업이익 가운데 19.6% 달하는 비중을 차지했으며 2018년 15.1% 수준이었으나 4.5%포인트가량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매출 비중 역시 꾸준히 높아져 상반기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는 매출 3조 162억 원을 기록해 전체 매출의 10.9%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로 인해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ID), 태양광 모듈 사업들의 경우 영업 차질이 발생했지만, 대조적으로 올해 노트북, 모니터, 태블릿 등 IT제품 수요는 급증하면서 2018년 9.2%, 2019년 9.8%의 비중을 차지한 데 이어 2021년에는 엘지전자㈜ 전체의 10% 비중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엘지전자㈜는 2008년부터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라는 명칭으로 B2B 사업조직을 별도 운영해왔지만 글로벌 기업들이 이미 B2B 시장을 선점하고 있어 성장가능성은 높지만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으로 어려움이 많았다.엘지전자㈜는 2012년 각 사업본부에서 제품별로 B2B 비즈니스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하에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를 해체하고 홈 엔터테인먼트 사업본부로 이관했다. 그러다 엘지전자㈜는 2018년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를 재신설하였고 기존 홈 엔터테이먼트 사업본부 산하에 있던 IT 사업부와 소재 및 생산기술원 산하 CEM 사업부, 솔라연구소 등을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로 이관했다. 이에 힘입어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는 2019년에 매출 6조 964억 원, 영업이익 4,859억 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며 전체 다섯 개 사업 부문 가운데 9.3%로 일위를 기록한 생활가전(H&A)사업본부에 이어 영업이익률 2위라는 성공적인 결과를 입증시켰다.<ref>김은 기자,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10211226105560103825&svccode=04 LG전자 BS사업본부, 화려한 부활…차세대 '캐시카우' 부상]〉, 《더벨》, 2020-10-22</ref> | ||
− | == | + | == 종합분석 == |
− | === | + | === 강점 === |
− | + | 엘지전자㈜는 백색가전 수익성 글로벌 일 위를 달성한 바 있으며, 글로벌 백색가전 시장에서 월풀에 이어 글로벌 이 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생활가전 사업의 초프리미엄 제품군 엘지 시그니처를 앞세워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확보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평가된다. 스마트폰을 제외한 다른 시장에서 엘지전자㈜의 제품은 ‘프리미엄’의 타이틀을 확실히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 분야에만 종속되어 있는 것이 아닌 넓은 범주를 포괄할 수 있는 광범위한 제품군이 있으며, 엘지전자㈜ 스마트폰 공장을 베트남에 설치하고 그곳에 인력을 배치하면서 고성능의 제품들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에 선보일 것이라는 강점 또한 가지고 있다.<ref name="분석">〈[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829 LG전자㈜ 분석리포트]〉, 《캐치》</ref> | |
+ | === 약점 === | ||
+ | 이동통신 사업본부는 2015년 이분기부터 이십일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이동통신 사업본부 매각을 공식화를 발표했다. 다만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었음에도 손실 폭을 줄인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고 제조업자 개발생산(ODM)을 확대하면서 인건비가 줄어든 것이 영업손실 감소에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상반기에는 코로나 19 때문에 국내외 영업에 차질을 빚었지만, 하반기에는 스마트폰 시장이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엘지전자㈜는 프리미엄폰 '벨벳'을 출시했고 해외에서 V60 씽큐와 주저가 스마트폰 K61과 K41S-51S, 듀얼 스크린, 티더블유에스(TWS) 이어폰 등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했지만, 타사의 제품들과 달리 스마트폰의 이미지가 소비자들에게 '기본기는 갖추었지만 특별한 메리트를 가지고 있지 않다'라고 인식되면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했다.<ref name="분석"></ref> | ||
− | + | === 기회 === | |
− | + |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등이 떠오르고 있다. 이에 엘지전자㈜ 역시 관련 사업 육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LED 헤드램프 주력기업 제트케이더블유(ZKW)를 인수하면서 협업을 통해 다양한 기술 적용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단순한 헤드램프를 넘어 자율주행에 필요한 지능형 헤드램프를 지향하며 자동차 전장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또한 로보스타를 인수하면서 서비스 로봇부터 산업용 로봇까지 전 제품군에 포트폴리오를 확보했다.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인 '엘지 클로이 서브봇' 이종을 정식 출시, 판매를 시작했다. 더불어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해 공석이 된 화웨이의 자리를 엘지전자㈜가 꿰찰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는 ‘탈미국’을 선언하고 부품과 운영체제(OS)의 자국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 내에서의 영향력은 분쟁 이전과 그다지 다르지 않은 정도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미국 소프트웨어와 부품을 배제한 채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성공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화웨이는 2020년 스마트폰 목표 출하량을 삼억 대로 상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라면 달성되기 힘들어 보인다. 또한, 그 부족분은 [[삼성전자㈜]](Samsung)와 [[애플]](Apple)이라는 이강을 제외한 제삼자의 이익으로 돌아가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ref name="분석"></ref><ref>최덕수 기자, 〈[https://news.appstory.co.kr/plan12666 이미지 쇄신이 관건, LG전자 SWOT 분석]〉, 《앱스토리》, 2020-01-03</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협 === | ||
+ | 스마트폰 보급형 시장에서는 화웨이, 오포, 비보 등 중국 스마트폰 삼대 기업이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보한 가운데 엘지전자㈜의 글로벌시장에서의 입지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화웨이의 내수 시장 집중으로, 중국 내의 화웨이 외 다른 제조사들은 중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빠른 속도로 하락하고 있으며 화웨이가 사상 최대의 점유율을 기록한 때에 샤오미의 스마트폰 출고량은 작년 동기 대비 삼십팔 퍼센트가 급락했다. 비보도 심칠 퍼센트, 오포도 이십 퍼센트가 감소했다. 자연스레 이는 화웨이 외의 다른 중국 제조사들의 반강제적 글로벌 시장 집중 현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일본, 인도, 동남아 등의 지역으로 이들이 역량을 집중하면서, 이것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파이를 늘려야만 하는 엘지전자㈜에는 큰 위협으로 다가오는 중이다. 생활가전 사업과 홈 엔터테인먼트 사업에서도 삼성전자㈜와 [[샤오미]](Xiaomi)가 국내외로 엘지전자㈜의 뒤를 바짝 쫓고 있으며, 자동차 사업 분야에서는 삼성전자㈜가 [[하만]](Harman)을 인수하며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ref name="분석"></ref> | ||
+ | ==계열사== | ||
===한국영업본부=== | ===한국영업본부=== | ||
− | + | 한국 영업본부는 네 개 사업본부 중 세 개 사업본부(생활 가전/홈 엔터테인먼트/이동통신)에서 생산한 제품의 국내 영업/마케팅을 총괄하는 본부이며 네 개의 업무 영역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B2B 판매로 기업 대 기업 간 거래 채널을 담당하는 업무로, 다양한 기업 및 사업자 고객을 담당하는 업무이다. B2B 시장은 급격히 떠오르고 있는 시장으로 기술과 품질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대규모 거래가 이뤄지는 시장이다. 이러한 시장을 제품/고객별로 분류하여 직접 영업/마케팅을 진행하거나 유통채널을 관리하는 등 성과 창출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두 번째로 B2C(비투씨) 판매는 기업 대 고객 간 거래 채널을 담당하는 업무로 우리가 흔히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베스트샵, 하이마트 등과 같은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영업/마케팅 활동을 진행한다. 이러한 채널들은 엘지전자㈜ 제품만을 취급하는 전매 채널, 여러 브랜드를 혼합해 유통하는 혼매 채널, 온라인 쇼핑몰, 홈쇼핑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채널들의 지점별/상권별 특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채널 관리 및 영업활동을 진행한다. 세 번째로 모바일 판매는 앞의 이동통신 사업본부에서 생산하는 모든 제품의 국내 판매 채널을 담당하는 업무로 유플러스, [[에스케이텔레콤㈜]](SKT), [[㈜케이티]](KT)와 같은 통신사업자로부터 소비자가 흔히 볼 수 있는 휴대폰 대리점들에 이르기까지, 엘지전자㈜ 모바일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판매 채널 관리 활동을 진행한다. 네 번째로 마케팅은 엘지전자㈜ 제품의 가치를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판매 활동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마케팅 믹스(4P) 전략 구축부터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여 판매 활동을 지원하고, 시장에서의 수요와 트랜드를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영업본부의 판매& 마케팅 활동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전 범위적 지원을 수행한다. 한국 영업본부의 주 근무지는 서울이나 지역 영업/마케팅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 전국 각 지역 지점에서 근무하게 되며 근무지 선정은 구성원의 의견을 고려하여 충분한 배치 면담을 통해 결정된다.<ref name ="홈피"></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최고기술책임자 부문=== | ||
+ | 최고기술책임자(CTO) 부문은 엘지전자㈜ 각 사업영역의 선행 연구 개발을 하고 미래 사업의 시드(Seed) 기술을 제공하는 조직으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강화를 위한 [[정보기술]](ICT) 관련 미래기술 및 고성장 신사업 인큐베이션에 그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 인공지능, 로봇, 5G 및 6G 등 엘지전자㈜의 차세대 기술 준비를 위한 미래기술센터, 씽큐(ThinQ) 플랫폼에 기반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및 데이터 및 서비스 가치 혁신을 통한 디지털 신규 사업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디엑스티(DXT)센터, 센서/광학/광소자/소재/분석 등에서 차별화된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소재 기술센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기술 및 역량 확보를 위한 소프트웨어센터, 스마트 모빌리티/에너지/전기자동차 등 B2B 사업에 기여하고 자동차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자율주행]] 관련 선행 연구를 진행하는 에이엔비(A&B) 센터, 시스템 반도체로 엘지전자㈜ 사업에 기여하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센터 등이 있다. 최고기술책임자 부문의 주요 근무지는 서울이며 서초 연구개발(R&D) 캠퍼스와 엘지 사이언스파크에서 근무하고 있다.<ref name ="홈피"></ref> | ||
+ | ===최고재무책임자 부문=== | ||
+ | 최고재무책임자(CFO) 부문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최적의 재정 글로벌 체제를 구축 하고자 잠재적 경영리스크 관리 및 경영성과 창출 극대화를 위하여 사업 운영 전반에 대해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시각과 자세를 견지하며 솔선수범을 통한 윤리적이고 건전한 조직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사업에 대한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효율적인 자원 투자계획을 점검 및 수립하고, 위험 관리(Risk Management)를 통해 사업 및 재무 구조에 영향을 주는 제반 리스크 요인을 선행 관리하고 있다. 최적의 원가 구조(Cost Structure)를 구현하고 재무구조의 건전/안전성/유동성을 확보하여 경영정보 가시성을 제공하여 경영성과를 극대화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최고재무책임자 부문은 맡은 주요 조직에 따라 서울, 인천, 평택, 창원, 구미, 청주로 다양하게 근무하고 있다.<ref name ="홈피"></ref> | ||
===생산기술원=== | ===생산기술원=== | ||
− | + | [[파일:공법장비개발.png|썸네일|400픽셀|'''공법 및 장비 개발''']] | |
− | |||
+ | 생산기술원은 엘지 그룹의 개발/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 공법/장비 개발 및 사업화, 핵심 생산 요소기술 선행 개발 및 내재화, 고품격 외관 구현 기술 개발, 차별화 금형 신기술 개발, 제조 지능화 및 스마트팩토리 구축 가속화에 앞장서고 있다. 크게 세 가지로 공정장비, 자동화 장비, 모듈 장비, 검사 장비를 다루는 공법/장비 개발 분야가 있고 소재 응용, 씨엠에프(CMF), 신기술 개발, 금형을 다루는 제품품격/금형 기술 분야, 마지막으로 개발/제조 혁신, 생산 요소 기술을 다루는 개발/제조 혁신 생산요소 기술 분야가 있다. 생산기술원의 주 근무지는 평택 엘지 디지털파크이며, 생산기술 지원 역할에 따라 서울 마곡사이언스파크, 인천 캠퍼스, 창원 사업장 등 엘지전자㈜ 전 사업장에 기반을 두고 전국에 있다.<ref name ="홈피"></ref> | ||
− | === | + | ===고객만족 경영센터=== |
− | + |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경영센터는 기본에 충실한 서비스와 전사 고객 체감품질 개선 활동을 바탕으로.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고객의 제품 사용 가치를 높여 경영 성과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전사 품질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고객 관점의 고객 체감품질 개선 활동을 주도하고, 앞서가는 감각과 안정적인 인프라 기반의 서비스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국가별/제품별 특화 서비스 개발, 영업 지원 활동 등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고객만족 경영센터의 주요 근무지는 가산사업장이며, 서비스지점을 기반을 두고 전국에 있다.<ref name ="홈피"></ref> | |
+ | == 최근 현황== | ||
+ | ;디지털 전환과 사업 | ||
+ | 2020년, 엘지전자㈜의 계열사인 사업 부문은 2019년도보다 손실 및 적자를 기록했다. 생활가전(H&A) 부문의 제18기 매출은 한국 및 북미, 유럽, 아시아 등 해외 시장에서의 매출 성장세에 힘입어 2019년 대비 11.1% 신장한 21조 5,155억 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프리미엄 제품 및 신성장 제품 판매 호조와 지속적인 원가 구조 개선 활동으로 2019년 대비 29.2% 증가한 1조 9,961억 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한, 홈 엔터테인먼트(HE) 부문에서의 제18기 매출은 글로벌 수요 정체 및 업체 간 경쟁 심화로 인해 2019년 대비 1.0% 감소한 16조 1,517억 원을 기록했으며, 2019년 자사의 TV 세계시장점유율은 16.3%로 0.1%P 하락했다. 영업이익 또한 35.0% 감소한 9,800억 원을 기록했다. 이동통신(MC) 부문 매출은 스마트폰 시장 침체에 따른 프리미엄 판매부진 및 보급형 시장 경쟁 심화로 24.2% 감소한 5조 9,667 억 원을 기록했고, 단말 시장 전체 2019년 세계시장점유율은 1.3%로 전년 대비 0.4%P 감소했다. 또한, 영업이익은 사업구조개선 및 생산지 효율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매출 감소의 영향으로 1조 98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엘지전자㈜의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VS) 부문도 적자를 면치 못했다. 인포테인먼트 사업에서의 신규 제품 양산 및 제트케이더블유(ZKW) 실적 반영으로 27.5% 신장한 5조 4,654억 원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신규 제품 프로젝트 양산 안정화 지연에 따른 비용 투입으로 다소 악화한 1,949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에 엘지전자㈜는 디지털 전환 중심의 성장과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 디지털 전환 중심의 성장과 변화를 통하여 혁신을 이루고,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초연결 시대에 디지털 전환은 엘지전자㈜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이끌어갈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꼽혔다. 엘지전자㈜는 다양한 제품에 콘텐츠와 서비스를 추가하여 커넥티드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시장 구축과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또한, 모든 비즈니스 역량을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객에 대해 더욱 치열하게 고민하고 혁신을 통해 고객가치를 실현하는 것과 어떠한 환경에서도 지켜나가야 할 본질적인 경쟁력이자 장기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엘지전자㈜는 3대 지속가능경영 지향점인 지능형 라이프스타일 촉진, 탄소 중립 및 순환 경제 실현, 더 나은 사회 구현 등을 통하여 이해관계자에게 더욱 나은 삶의 가치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ref name="분석"></ref> | ||
+ | ;시각장애인을 위한 가전제품 | ||
+ | 2021년 3월 4일, 엘지전자㈜는 원바디 세탁건조기 트롬 워시타워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특화된 음성 매뉴얼을 도입했다. 이 매뉴얼은 시각장애인을 배려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품을 만지면서 도어를 여는 방향과 조작부 및 버튼 위치 등을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또한, 전원 버튼이나 세탁 및 건조 선택 버튼을 누르는 등 제품의 작동 상황별 소리도 함께 안내한다. 음성 매뉴얼은 서울특별시와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에서 공동 운영하는 시각장애인 음성서비스에 적용되어 있어 서울시 소비재 정보마당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및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엘지전자㈜는 국내 가전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매뉴얼 제작 협약을 맺기도 했다. 엘지전자㈜는 시각장애인이 제품 조작부를 읽을 수 있도록 점자로 만든 스티커도 제공한다. 트롬 워시타워의 조작부 전면 패널에 점자 스티커를 붙이면 전원, 세탁 및 건조 코스, 옵션 등 버튼 위치를 사용자가 점자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은 신청하는 사용자들에게 이 스티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엘지전자㈜는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과 트롬 워시타워를 시작으로 물걸레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M9 씽큐 및 디오스 식기세척기 스팀 등 엘지전자㈜ 가전제품 전반으로 음성 매뉴얼과 점자 스티커 등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엘지전자㈜ 생활가전 사업본부장 류재철 부사장은 "엘지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을 겪지 않도록 개발 단계부터 접근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말했다.<ref>박정훈 기자,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21792 LG전자, 사회적 약자 가전 접근성 강화로 'ESG 실천']〉, 《이코노믹리뷰》, 2021-03-04</ref> | ||
− | + | ;매출 실적 | |
− | + | 2020년 12월, 엘지전자㈜는 마그나(Magna)와의 합병 계획을 발표하면서 2022년을 손익분기점 달성 시점으로 잡았다. 엘지전자㈜ 전체 매출 중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사업 부문의 매출 비중은 차량용 램프 전문 기업 제트케이더블유(ZKW) 인수와 수주 증가 등으로 인해 2016년 4.9%에서 2020년 9월 기준 8.7%로 늘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5년 연속 적자로 이러한 적자 폭도 점차 커져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사업부문의 영업손실은 2016년에 767억 원에서 2020년 9월 기준 약 누적 3,654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로 2016년 –2.9%에서 2020년 3분기 –9.4%로 하락했다. 한국신용평가 측은 코로나 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부진, 신규 거래기반 확보를 위한 저가 수주 등을 실적 악화의 원인으로 꼽으며 이처럼 저조한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 실적 때문에 일각에서는 엘지전자㈜와 마그나의 손익분기점 목표가 지켜지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엘지전자㈜ 측은 친환경차 세계 시장 규모가 2025년 5,660만 대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마그나의 기술력과 완성차 고객사 네트워크를 고려할 때 2022년 손익분기점 달성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ref>김성훈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105175419439 LG전자 VS사업, 5년 연속 적자인데…LG마그나, 2년내 BEP 달성?]〉, 《아주경제》, 2021-01-06</ref> | |
− | |||
+ | ==제휴== | ||
+ | ;자동차 부품 센터 | ||
+ | 2020년 10월 7일, 엘지전자㈜ [[베트남]] 법인은 다낭시 투자진흥공사와 자동차 부품 연구 및 개발 센터 설립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엘지전자㈜는 베트남 북부 하이퐁에 자동차부품 생산공장이 있으며, 수도 하노이에는 연구 및 개발 조직이 있다. 하노이 개발센터는 약 300명 규모이다. 2020년 7월 29일에는 응웬 쑤언 푹(Nguy n Xu n Ph c) 베트남 총리와 가진 간담회에서 베트남에 새로운 연구 및 개발 센터를 설립할 계획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낭(Da Nang)은 베트남 중부 지역 중심 도시이며, 한국 정부에서 설립을 지원한 IT 관련 기술대학이 있다. 또한,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고 가장 많이 찾는 베트남 관광지 중 한 곳이다. 엘지전자㈜의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은 내비게이션과 텔레매틱스 등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와 모터 및 인버터 등 전기자동차용 구동 부품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2020년 상반기의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 매출은 2조 2,315억 원이다. 엘지전자㈜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 정승민 사업 본부장은 "전장 사업 분야 연구 및 개발 센터에 대한 새로운 스토리를 다낭에 만들고 싶고, 다낭시는 관광 산업뿐만 아니라 정보통신 분야 및 산업 부품 개발 분야에도 큰 발전을 이룬 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낭시 후인 티 리엔 프엉(Huynh Thi Lien Phuong) 투자진흥원장은 "엘지전자㈜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은 시장 연구와 투자를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우수한 투자기업이며, 정보기술 및 첨단산업 부문에 대한 투자유치를 우선하는 다낭시의 사회경제발전 마스터플랜과도 부합한다."라고 환영했다.<ref>박명기 기자, 〈[http://www.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5237 LG전자, 베트남 다낭에 ‘자동차부품 R&D센터’ 세운다]〉, 《아세안익스프레스》, 2020-10-08</ref> | ||
− | + | ;헬스케어 솔루션 | |
− | + | 2020년 6월 16일, 엘지전자㈜는 병원향 솔루션 발굴 및 사업 확대를 위해 의료 IT 서비스 기업인 이지케어텍(ez Caretech)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사업 현황 및 팬데믹 상황을 계기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에서 서로의 비전을 공유했다. 또한, 모바일 헬스케어와 웨어러블과 클라우드 병원정보시스템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해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가상화 기반 엣지 컴퓨팅 기술의 헬스케어 분야 적용과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병원 내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국내외 대형병원을 대상으로 신기술의 적용을 위한 공동 사업을 기획하는 데 합의했다. 향후, 엘지전자㈜와 이지케어텍은 의료분야에 특화된 하드웨어 개발, 양사 보유 솔루션의 연계 및 최신 기술을 적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나아가 해외영업망도 공유할 계획이다. 이지케어텍의 헬스케어 IT 분야 높은 전문성과 엘지전자㈜의 글로벌 기술력, 영업력의 결합을 통해 국내외 시장 확대, 신규 사업 발굴 등 다각적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지케어텍 위원량 대표이사는 "업무협약을 통하여 글로벌 헬스케어 IT 리더로 도약하는 시발점이며, 협력을 통하여 새로운 상생 모델을 제시하겠다"라고 말했다.<ref>정현정 기자, 〈[https://www.etnews.com/20200617000189 이지케어텍, LG전자와 헬스케어 협업 MOU 체결]〉, 《전자신문》, 2020-06-17</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각주}} | {{각주}}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 엘지전자㈜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lge.co.kr/lgekor/company/main.do | ||
* 〈[https://namu.wiki/w/LG%EC%A0%84%EC%9E%90#s-2.2 LG전자]〉, 《나무위키》 | * 〈[https://namu.wiki/w/LG%EC%A0%84%EC%9E%90#s-2.2 LG전자]〉, 《나무위키》 | ||
− | * | + | * 〈[http://meet.lg.com/about/affiliate/RetrieveAffiliateLgeHead.rmi 계열사 소개]〉, 《엘지커리어스》 |
− | + | * 다이어리, 〈[https://m.blog.naver.com/shakey7/221720943838 LG전자 기업 분석 (H&A / HE / MC / VS / BS / LG이노텍 / 생활가전 / IoT / OLED TV / 스마트폰 / 5G / 텔레매틱스 / 디스플레이 / 렌탈)]〉, 《네이버 블로그》, 2019-11-28 | |
− | * 다이어리, 〈[https://m.blog.naver.com/shakey7/221720943838 LG전자 기업 분석 (H&A / HE / MC / VS / BS / LG이노텍 / 생활가전 / IoT / OLED TV / 스마트폰 / 5G / 텔레매틱스 / 디스플레이 / 렌탈)]〉, | + | * 뉴스1,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216/105448110/1 역대 최대 실적 LG전자…생활가전 성과급 750%]〉, 《동아일보》, 2021-02-16 |
− | * 뉴스1,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216/105448110/1]〉, 《동아일보》, 2021-02-16 | ||
* 박재영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2/149811/ 날개 단 LG가전, 1분기 최고치 찍는다]〉, 《매일경제》, 2021-02-15 | * 박재영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2/149811/ 날개 단 LG가전, 1분기 최고치 찍는다]〉, 《매일경제》, 2021-02-15 | ||
* 이성진 기자,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11/18/2020111800098.html LG전자, 프리미엄 시장 '고공행진'… 북미·유럽 매출 급증]〉, 《뉴데일리경제》, 2020-11-28 | * 이성진 기자,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11/18/2020111800098.html LG전자, 프리미엄 시장 '고공행진'… 북미·유럽 매출 급증]〉, 《뉴데일리경제》, 2020-11-28 | ||
− | * 석유선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215160355828 | + | * 석유선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215160355828 (단독) LG폰 인수 큰손으로 ‘러시아 국부펀드’ 부상...이달 방한해 LG전자와 미팅]〉, 《아주경제》, 2021-02-16 |
*김성훈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105175419439 LG전자 VS사업, 5년 연속 적자인데…LG마그나, 2년내 BEP 달성?]〉, 《아주경제》, 2021-01-06 | *김성훈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210105175419439 LG전자 VS사업, 5년 연속 적자인데…LG마그나, 2년내 BEP 달성?]〉, 《아주경제》, 2021-01-06 | ||
*김은 기자,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10211226105560103825&svccode=04 LG전자 BS사업본부, 화려한 부활…차세대 '캐시카우' 부상]〉, 《더벨》, 2020-10-22 | *김은 기자,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10211226105560103825&svccode=04 LG전자 BS사업본부, 화려한 부활…차세대 '캐시카우' 부상]〉, 《더벨》, 2020-10-22 | ||
*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829 LG전자㈜ 분석리포트]〉, 《캐치》 | *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829 LG전자㈜ 분석리포트]〉, 《캐치》 | ||
* 최덕수 기자, 〈[https://news.appstory.co.kr/plan12666 이미지 쇄신이 관건, LG전자 SWOT 분석]〉, 《앱스토리》, 2020-01-03 | * 최덕수 기자, 〈[https://news.appstory.co.kr/plan12666 이미지 쇄신이 관건, LG전자 SWOT 분석]〉, 《앱스토리》, 2020-01-03 | ||
+ | * 박정훈 기자,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21792 LG전자, 사회적 약자 가전 접근성 강화로 'ESG 실천']〉, 《이코노믹리뷰》, 2021-03-04 | ||
+ | *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3048474a LG전자, 신제품 '오브제컬렉션 스타일러 슬림’ 추가 출시]〉, 《한국경제》, 2021-03-04 | ||
+ | * 박명기 기자, 〈[http://www.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5237 LG전자, 베트남 다낭에 ‘자동차부품 R&D센터’ 세운다]〉, 《아세안익스프레스》, 2020-10-08 | ||
+ | * 정현정 기자, 〈[https://www.etnews.com/20200617000189 이지케어텍, LG전자와 헬스케어 협업 MOU 체결]〉, 《전자신문》, 2020-06-17 | ||
+ | * 녹시네, 〈[https://noxiene.com/%ec%a0%9c%ec%8a%b5%ea%b8%b0-%ec%b6%94%ec%b2%9c/ 제습기 추천 TOP 5 2023 + 원룸, 가정용 제습기]〉, 《noxiene.com》, 2023-02-27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283번째 줄: | 167번째 줄: | ||
* [[㈜엘지씨엔에스]](LG CNS) | * [[㈜엘지씨엔에스]](LG CNS) | ||
* [[큐보이스]] | * [[큐보이스]] | ||
− | * [[ | + | * [[전기자동차]] |
− | * [[인공지능]] | + | * [[인공지능]](AI) |
+ | * [[빅데이터]] | ||
{{자동차 부품 회사|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 회사|검토 필요}} | ||
{{대기업|검토 필요}} | {{대기업|검토 필요}} |
2023년 4월 5일 (수) 16:04 기준 최신판
엘지전자㈜(LG Electronics) 또는 간략히 LG(엘지)는 1958년에 구인회가 창업한 한국의 전자제품 제조 회사이다. 창업 당시 회사명은 '금성'(金星, Gold Star)이었고, 1995년 엘지전자㈜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5년에 일부 회사가 분리되었을 당시 전자 부문은 엘지그룹(LG Group)에 남아 휴대전화, 냉장고, 세탁기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대표는 권봉석이다.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
목차
개요[편집]
전자제품, 모바일 통신기기 및 가전제품 분야의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전 세계 백사십여 개 사업장에서 비즈니스를 전개해 2019년 매출액 62조 3,062억 원을 기록했다. 엘지전자㈜는 생활가전(H&A), 홈 엔터테인먼트(HE), 이동통신(MC),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VS), 비즈니스 솔루션(BS)의 다섯 개 사업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TV, 세탁기, 냉장고, 휴대폰, 자동차 부품 등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엘지그룹의 로고는 영어 L자와 G자를 합성한 것으로서 신라의 유물인 ‘얼굴 무늬 수막새’를 본떠서 만들어졌다. 심벌마크는 글로벌한 사고방식, 미래지향적 비전, 젊음, 사람, 그리고 기술이다. 원 안에 배치된 L과 G는 사람이 엘지전자㈜의 기업이념 중심에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 엘지그룹 창업자인 구인회는 1942년 일제 강점기에 거액의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했다. 전체 직원은 3만 7,000 명이다. 2015년 별도 매출은 28조 원이고, 연결 매출은 56조 원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다.[1]
연혁[편집]
- 2017년 07월 : 상업용 로봇 사업 본격 개시
- 2016년 08월 : 제너럴모터스(GM) 전기자동차 쉐보레 볼트 EV용 부품 양산 시작
- 2015년 10월 : 세계 최초 트윈워시 세탁기 출시
- 2014년 12월 : 메르세데스-벤츠와 '미래 자동차' 핵심 부품 개발 협력
- 2013년 07월 : 독자개발 리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RCS) 세계 첫 상용화
- 2012년 11월 : 세계 최대 84형 UD 시네마 3D 스마트TV 출시
- 2011년 02월 : LTE 표준 핵심 특허 보유 세계 1위
- 2010년 : '서울 G20 정상회의(G20 Seoul Summit)' 전기자동차 개발 참여
- 2009년 02월 : LCD TV 공급률 2위, 세계 최초 LTE 단말 무선 전송 시연
- 2008년 : 세계 최초 ‘3G LTE’ 무선 칩 개발, 세계 최초 블루레이 네트워크 저장장치 출시, 세계 최초 핸드폰용 블루투스 헤드셋 출시
- 2007년 12월 : 가전사업, 영업이익률 세계 최고 달성, 미국 내 드럼세탁기 시장점유율 첫 1위
- 2006년 06월 : 러시아 모스크바, 폴란드 브로츠와프와 므와바에 생산공장 준공, 디자인 경영 선포
- 2004년 07월 : 차세대 디지털 TV 전송기술, 국제 표준으로 채택
- 2003년 10월 : CDMA 단말기 세계 1위 달성, 한국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과 자동차용 멀티미디어(AVN) 양산
- 2002년 04월 : 지주회사 출범으로 기업 분할, 사업구조 진화
- 2001년 07월 : 세계 최초 리니어 압축기 상용화 성공, 한국 주문자상표부착생산과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및 텔레매틱스(Telematics) 개발
- 2000년 04월 : 에어컨 세계 1위
- 1997년 07월 : 디지털 경영, 디지털엘지(Digital LG) 선포, 국내 최초 완전평면 모니터 개발
- 1996년 05월 : 국내 기업 최초, 전 세계 60개국 대상 '글로벌 광고' 실시
- 1995년 01월 : 엘지전자㈜로 사명 변경 및 그룹 내 회사명 엘지로 통합
- 1994년 04월 : 국내기업 최초 '환경선언문' 발표
- 1990년 01월 : 신경영 및 총합 생산성 관리(TPC) 운동 전개
- 1989년 02월 : LSR(Life Soft Research) 연구소 설립
- 1989년 01월 : 신경영과 총합 생산성 관리 운동 전개, 노사 분규, 사상 최대 위기 극복, 노경화 합체 제 구축
- 1987년 11월 : 국내 기업 최초 유럽 현지 생산공장, 서독 현지 공장 ‘GSE’ 준공
- 1985년 09월 : 국내 최초, 최대의 제품시험연구소 설립
- 1984년 12월 : 매출 1조 원 돌파
- 1983년 10월 : 국산 1호 대형컴퓨터 ‘GS DPS-8/52’ 생산
- 1982년 10월 : 국내 기업 최초 해외 생산기지, 헌츠빌 GSAI 컬러 TV 공장 준공
- 1981년 03월 : 가전 업계 최초 ‘소비자 상담실’ 설치
- 1979년 09월 : 세계 최초의 컴퓨터 컬러 TV ‘CNP-804’ 개발
- 1978년 12월 : 전자업계 최초, 수출 1억 달러 돌파
- 1977년 08월 : 컬러 TV ‘CT-808’ 개발 생산
- 1975년 12월 : 국내 민간기업 최초 중앙연구소 설립
- 1969년 05월 : 국내 최초 세탁기 ‘WP-181’ 개발
- 1968년 03월 : 국내 최초 에어컨 ‘GA-111’ 생산
- 1966년 08월 : 국내 최초 흑백 TV ‘VD-191’ 생산
- 1965년 04월 : 국내 최초 냉장고 개발 ‘GR-120’
- 1961년 07월 : 국내 최초 자동전화기 금성 1호 ‘GS-1’
- 1959년 11월 : 국산 라디오 ‘A-501’ 개발
- 1958년 10월 : 금성사 설립, 한국전자산업의 서막[2]
주요 사업[편집]
생활가전[편집]
세계 일등 가전 브랜드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초프리미엄 스마트 가전으로 시장을 선도해가는 생활가전(H&A,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사업본부는 총 네 개의 세부 분야로 냉장고/빌트인/인덕션/식기세척기 등이 있는 키친어플라이언스, 트윈워시/건조기/스타일러/무선청소기/로봇청소기 등이 있는 리빙어플라이언스, 상업용 에어컨/난방솔루션 칠러, 공조기(AHU), 지에이치피(GHP)/공기청정기 등이 있는 에어솔루션, 컴프레셔&모터 등이 있는 부품 솔루션로 나누어져 있다.[3] 기존 생활가전뿐만 아니라, 스마트 홈과 로봇 등 미래 산업에서도 고객 연구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기술, 프리미엄 디자인을 결합한 시장 선도형 제품들을 선보이며 ‘글로벌 토털 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초프리미엄 가전 통합 브랜드 '엘지 시그니처(LG SIGNATURE)'는 물론, 독자기술인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와 노크 두 번만으로 냉장고 안을 손쉽게 볼 수 있는 ‘노크온 매직스페이스 냉장고’, 세계 최초로 상단 드럼세탁기와 하단 미니세탁기를 결합한 '트윈워시', 항상 새 옷처럼 의류를 관리해주고 바지 칼 주름 기능까지 탑재된 똑똑한 의류 관리기 ‘스타일러’, 스마트 인버터 기술로 맛있고 건강한 조리를 가능하게 해 주는 ‘광파오븐’, 선이 없어 편리한 청소를 가능하게 해주는 ‘코드 제로 청소기’, 정수와 냉수는 물론 온수에도 직수 타입을 적용한 '퓨리케어 슬림 정수기’ 등으로 엘지전자㈜ 가전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삶을 보다 윤택하고 편리하게 만드는 데 힘쓰고 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과 같은 미래기술을 융복합하여 말을 알아듣는 가전, 스스로 진화하는 가전,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이 되는 가전 등으로 고객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고자 한다. 또한, 세계 최고 에어컨 브랜드의 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초절전 인버터 절전 기술, 듀얼 맞춤 냉방, 감성 디자인, 건강을 생각하는 퍼펙트 공기 청정 등 고정관념을 깨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가정용 공기 관리 기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그리고 독보적인 엘지전자㈜의 에어 솔루션인 ‘퓨리케어 공기청정기’, 제습기, 프리미엄 가습기 등은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어 준다. 나아가 시스템 냉난방 공조 솔루션을 제공, 초대형 빌딩, 산업시설에 이르는 다양한 환경에서 고객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총합 공조 솔루션 및 통합 에너지 제어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2]
이러한 제품들을 통해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생활가전 사업본부는 엘지전자㈜의 실적을 이끌어 일분기 매출액이 역대 분기 중 최대치인 육조 사천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위생과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를 적극적으로 공략했던 스팀 가전과 함께 일분기에는 `사계절 가전`으로 탈바꿈한 에어컨이 실적 성장을 이끌 전망이다. 이 밖에도 엘지전자㈜ 생활가전사업본부는 각 소비자의 가정에 ` 엘지가전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에 강점을 보이던 제품군에 인공지능 플랫폼인 `엘지 씽큐(ThinQ)`를 확대 적용하였고 신제품 엘지 통돌이 세탁기도 통돌이 세탁기 처음으로 인공지능 기능을 적용하였다.[4] 이러한 신제품은 모두 사물인터넷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추가로 스마트홈 앱을 만들고, 구글 및 아마존과 오픈소스 플랫폼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엘지전자㈜ 생활가전 사업본부는 향후 프리미엄 제품과 B2B(비투비) 매출을 확대하고, 렌털과 케어 솔루션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장기적으로 에스에이치디(HSD, high-single digit) 수익성 지속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5] 또한 엘지전자㈜는 성과주의에 따라 해당 연도 사업본부의 매출액 목표 달성도, 영업이익 목표 달성도 등의 기본 지표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내의 경쟁상황 관련 목표 달성 여부 등을 가감해 사업부 단위의 성과급 지급률을 정하고 있다. 2020년에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생활가전 사업본부의 성과급 지급률은 냉장고/빌트인/인덕션/식기세척기 등을 담당하는 키친어플라이언스 사업부와 트윈워시/건조기/스타일러/무선청소기/로봇청소기 등을 담당하는 리빙 어플라이언스 사업부 각각 칠백오십 퍼센트, 상업용 에어컨/난방솔루션칠러, 공조기(AHU), 지에이치피(GHP)/공기청정기 등을 담당하는 에어솔루션 사업부 육백 퍼센트 등으로 정해졌다.[6]
- 공기청정기 :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한국을 강타해 큰 주목을 받았다. 미세먼지가 심해지는 상황에서 사용자들의 관심이 급증했고, 국내 헬스케어 생활가전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엘지전자㈜는 공기청정기를 시작으로 창밖에 빨래를 널지 않아도 되는 건조기, 옷에 묻은 미세먼지를 털어줄 의류 관리기 등 미세먼지가 국내 가전 시장의 판도를 바꾸어 놓았다. 이에 엘지전자㈜ 헬스케어 생활가전 매출 비중이 2017년에 약 5%에서 2019년에는 10% 수준으로 커졌으며, 2020년도에도 꾸준히 상승했다. 미세먼지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렵고 황사 시즌도 반복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 등 관련 제품은 필수 가전으로 부상했다.[7]
- 엘지 스타일러 슬림(LG Styler Slim) : 엘지전자㈜의 엘지 오브제컬렉션(LG Objet Collection) 스타일러의 후속작 모델이다. 기존의 스타일러는 도어 모서리에 직각 모양의 플랫 디자인을 적용하여 가구와 함께 빌트인으로 설차하면서 공간과의 일체감이 특징이었다. 이 제품은 엘지 오브제컬렉션 스타일러의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왔으며, 한 번에 최대 네 벌을 관리할 수 있는 정도로 크기를 줄여 제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 또한, 전면 도어에는 고급스러운 무광 색상인 미스트 그린과 미스트 베이지를 적용하여 원하는 분위기에 맞추어 집안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도 있다. 물을 100℃로 끓여 만드는 트루스팀(TrueSteam)은 탈취와 살균에 효과적이며, 독자 기술인 무빙행어는 옷을 1분에 최대 200회 털어주어 옷에 묻은 미세먼지를 골고루 제거해줄 수 있다.[8]
홈 엔터테인먼트[편집]
홈 엔터테인먼트(HE, Home Entertainment) 사업본부는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을 목표로 가지고 세 가지의 세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TV 사업인 올레드(OLED)와 나노셀 TV, 오디오 사업인 사운드바/포터블스피커/무선헤드셋, 마지막으로 피부케어를 중심으로 하는 홈뷰티 사업이 있다. 특히, 기존 TV와는 다르게 스스로 빛을 내는 패널이 만드는 무한대 명암비, 생생한 색감의 최고의 화질과 얇은 화면 등을 갖추고 있는‘올레드 TV’를 필두로, 1나노미터의 미세입자를 패널에 적용한 섬세한 색상 제어인 나노셀 기술을 적용한 ‘슈퍼 울트라HD TV’ 등 차세대 TV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21:9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엘지 그램’ 등 다양한 제품들로 미래 기술에 대한 기대와 가치를 현실화해 홈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의 위상을 펼치고 있다. 또한 기존 사운드바 등 오디오 사업에서의 축적된 역량을 기반으로 포터블스피커/무선헤드셋 등 퍼스널 오디오 영역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더불어 새로운 분야인 홈뷰티 사업에서도 프라엘 브랜드를 통해 뷰티기기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가져오고 있다.[2] 이런 다양한 혁신 제품을 통해, 홈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이끌어 가고 있으며 더불어 웹 운영체제(Web OS) 스마트TV 플랫폼은 고객들이 직관적으로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TV 서비스를 준비했으며 또한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솔루션과 감각적인 디자인과 편리한 기능을 갖춘 제품 개발을 바탕으로 새로운 고객 경험을 선도하고 있다.[3] 코로나 19 등의 영향으로 건강, 안전, 위생에 대한 관심들이 높아지면서 엘지전자㈜ 홈 엔터테이먼트 사업은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 2조 3,175억 원, 2조 3,143억 원을 기록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7.9% 증가했다. 이러한 기록은 프리미엄 시장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면서 올레드(OLED), 나노셀 TV 등 프리미엄 제품 매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분기 글로벌 TV 출하량은 6,015만 대로, 분기별 출하량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9]
- 엘지홈브루(LG Home Brew) : 엘지전자㈜가 개발한 100만 원대 상당의 캡슐형 수제 맥주 제조기이다. 엘지전자㈜는 기존의 모델 대비 내부 디자인을 단순화하는 등 원가절감을 통하여 가격을 낮췄다. 하지만, 외관 디자인과 차별화된 성능과 기능은 동일하게 적용하여 기존 제품의 고급스러운 느낌과 맛있는 맥주 맛을 그대로 살렸다. 2019년에 처음 선보였으며, 누구나 손쉽게 나만의 맥주를 만들 수 있는 세계 최초 캡슐형 수제 맥주 제조기이다. 제품에 캡슐형 맥주 원료 패키지와 물을 넣고 간단히 다이얼 조작하여 발효부터 숙성 및 보관까지 복잡하고 어려운 맥주 제조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페일 에일(Pale Ale), 인디아 페일에일(India Pale Ale), 흑맥주(Stout), 밀맥주(Wheat), 필스너(Pilsner) 등 인기 맥주 5종을 취향에 따라 직접 제조할 수도 있다.[7]
이동통신[편집]
혁신적인 기술과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이동통신(MC, Mobile Communications) 사업본부는 전 세계 5G 프리미엄 스마트폰 및 보급형 스마트폰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폰, 웨어러블, 태블릿 등 폭넓은 제품군을 갖추고 혁신을 기반으로 한 최고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엘지전자㈜ 이동통신 사업본부는 매년 선보이는 신제품마다 세계 주요 IT 행사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함과 동시에 세계 유수의 IT 관련 언론사 및 기관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두며 모바일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특히, 플래그십 모델인 '엘지 G6'에는 세계 최초로 5.7인치 QHD 디스플레이 플러스 대화면과 18:9 화면비를 적용한 올레드 풀비전(OLED FullVision)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혁신과 기술력을 선보다. 또한, '엘지 V30'에는 하이파이 쿼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DAC), 시네 비디오와 같은 독자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속 강화해 나가며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엘지전자㈜가 출시한 엘지 V30S 씽큐에 적용한 인공지능 카메라, 큐렌즈 등 사용자 중심의 유용하고 편리한 엘지전자㈜만의 인공지능 기술을 지속해서 발전시키고 활용영역을 확장해 나갈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분야의 리더십도 공고히 하고 있다. 더불어 세계 최초 넥밴드 형태의 블루투스 이어폰인 엘지 톤플러스 시리즈는 감성적인 디자인과 뛰어난 프리미엄 사운드를 구현함으로써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함께 아닌 웨어러블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엘지전자㈜ 이동통신 사업본부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태블릿 등 폭넓은 제품군을 갖추고 혁신을 기반으로 세계 1위의 LTE 특허 리더십, 소비자 중심의 디자인, 앞선 디스플레이 기술력, 감성 혁신 기반의 사용자 경험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모바일을 뛰어넘는 즐거움을 제공하고, 협력사들과 동반 성장할 수 있는 모바일 생태계를 구축해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2] 엘지전자㈜는 2021년 일월에 이동통신 사업본부의 스마트폰 부문 매각을 공식화한 가운데 러시아 국부펀드인 러시아직접투자기금(Russian Direct Investment Fund, RDIF)이 새로운 인수 후보로 떠올랐다. 1980년대 후반 ‘골드스타’ 브랜드를 시작으로 러시아와 인연을 맺은 엘지전자㈜는 1990년 한러 수교 이후 모스크바 지사를 설립했다. 그 이후 2006년 구월 한국 전자 기업 최초로 모스크바에서 약 86㎞ 떨어진 소도시 루자에 러시아 현지 생산 공장을 설립했다. 이러한 철저한 현지화 전략 덕분에 러시아 내에서 엘지전자㈜의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만큼, 우회 인수를 통해 그에 따른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비친 것으로 보인다.[10]
- 엘지벨벳(LG Velvet) : 엘지전자㈜가 이동통신 3사와 자급제 채널을 통하여 출시한 물방울 카메라, 3D 아크 디자인 등 완성도 높은 디자인을 구현한 제품이다. 물방울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 3개와 플래시가 마치 물방울이 떨어지는 듯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디자인이다. 6.8형 대화면임에도 너비가 74.1mm에 불과하고, 여기에 전면 디스플레이 좌우 끝을 완만하게 구부린 3D 아크 디자인을 적용했다. 후면 커버도 동일한 각도로 구부려 하단에서 보면 가로로 긴 타원형 모양이다. 타원형이기 때문에 손과 밀착되는 접촉면이 넓어져 착 감기는 손맛을 제공한다. 특히, 6.8형 20.5:9 화면비의 시네마 풀비전(FullVision)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스테레오 스피커와 인공지능 사운드를 지원해 영상 시청 시에는 몰입감을 극대화했다.[7]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편집]
전기, 전자 분야의 첨단 기술력과 품질 중심 경영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및 차세대 전기자동차 시장의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VS, Vehicle component Solutions) 사업본부는 '차량 전기화를 위한 혁신 파트너(Innovation Partner for Vehicle Electrification)'라는 비전 아래 글로벌 일류 자동차 부품 회사라는 목표를 가지고 두 가지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컨넥티브(Infotainment Connectivity), 인텔리전트 드라이빙(Intelligent Driving), 차량용 소프트웨어(Automotive Software)를 개발하는 스마트 사업 영역과 친환경 차량용 작동부(Active Part)/아이피지엠(IPGM)/전력변환장치(Inverter)/온보드차저(OBC) 등을 개발하는 그린 사업 영역으로 구분된다. 엘지전자㈜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사업본부는 두개의 영역에서 총 네 가지의 전략인 리얼 스마트(Real Smart), 어웨이즈 커넥티드(Always Connected), 인텔리전트 드라이빙, 올 일렉트로닉(All Electric)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및 차세대 전기자동차 솔루션을 개발해 유수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리얼 스마트(Real Smart)를 실현하는 자동차용 멀티미디어(AVN) 통합 모듈, LCD 클러스터, 중앙정보 디스플레이(CID), 전방표시장치(HUD)는 운전자 중심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제공해 고객들의 높은 신뢰를 확보하고 있고어웨이즈 컨덕티드를 위한 텔레매틱스(Telematics), 차량사물통신(V2X), 차량 보안, 무선 충전기, 스마트 안테나와 인텔리전트 드라이빙을 추구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센서 통합형 차량용 램프의 앞선 기술력으로 시장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또한, ‘올 일렉트로닉(All Electric)’을 추구하는 전기자동차 핵심 부품인 구동 모터, 인버터, 컨버터, 배터리팩, 차내 충전기, 전동 컴프레서 등을 개발, 공급하면서 지속 가능한 미래 시장에서의 글로벌 일류자동차 부품 회사 달성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2]
- 엘지 클로이 서브봇(LG CLOi ServeBot) : 엘지전자㈜의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이다. 2020년 7월에 출시하여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했으며, 서랍형 및 선반형 총 2종이다. 처음으로 국산 상용서비스 로봇이 국내 병원에 도입된 엘지 클로이 서브봇 1호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대학교병원 대한외래에 공급되었다. 병원에서 혈액 검체, 처방약, 수액, 진단 시약, 소모품 등과 같이 수시로 운반해야 하는 다양한 물품을 배송하는 데 활용된다. 또한, 엘지전자㈜는 씨제이푸드빌(CJ Foodville)이 운영하는 제일제면소, 빕스, 계절밥상, 더플레이스 등 다양한 매장에서 선반형 서브봇을 순차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7]
비즈니스 솔루션[편집]
2008년에 재출범 후, 화려하게 부활한 B2B 사업조직인 비즈니스 솔루션(BS, Business Solutions) 사업본부는 '최적의 맞춤형 통합솔류션을 제공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전 세계 고객에게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파트너로 가정, 빌딩, 호텔, 복합단지 등의 분야에서 맞춤형 통합솔루션을 제공함으로 기대를 뛰어넘는 맞춤형 제품과 솔루션으로 고객의 성공과 미래를 함께 하고자 노력한다. 총 다섯 개의 사업영역으로 제품, 시스템, 서비스 융합으로 고객군별 최적의 맞춤형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과 노트북, 모니터/의료용 기기,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IT 사업과 태양광 패널을 다루고 있는 에너지사업, 그리고 에너지/디스플레이 소재를 다루는 씨이엠(CEM)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3] 특히, 시장을 선도하는 ‘올레드 사이니지’, 세계 최고 수준의 베젤 경쟁력을 가진 ‘비디오 월’ 등 독창적인 디스플레이 제품을 기반으로 고객의 공간을 새롭게 창조하고 있으며 ‘고효율 태양광 모듈’,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와 ‘에너지 관리 솔루션(EMS, Energy Management Solution)’으로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고객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14년 처음 출시된 후 한국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그램은 2019년 세계에서 제일 가벼운 십칠 인치랩탑으로 기네스 인증은 물론 미국 유력 소비자 전문지인 '컨슈머 리포트'에서 십칠 인치 부문 베스트 빅 랩탑(Best Big Laptop), 십삼 인치 부문 베스트 배터리 랩탑(Best Battery Laptop), 십칠 인치 부문 베스트 랩탑 오브(Best Laptop of) 2019로 선정되는 등 엘지전자㈜만의 제품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으로 받고 있다. 또한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는 두바이에 세계 최대 올레드(OLED) 사이니지를 설치하여 기네스북에 등재되었으며 압도적인 화질과 물결무늬 디자인 구현으로 제품 이상의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실내/외 어떤 환경 속에서도 탁월한 재현력과 생생한 화질을 보여주며 글로벌 엘지 엘이디(LED) 디스플레이의 우수성을 보여주고 있다.[2]
2019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 이어 올해 코로나 19 등 악재 속에서도 성장을 지속하며 회사의 '차세대 캐시카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를 얻었다. 2021년 상반기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의 영업이익은 315억 원을 기록해 전체 엘지전자㈜의 영업이익 가운데 19.6% 달하는 비중을 차지했으며 2018년 15.1% 수준이었으나 4.5%포인트가량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매출 비중 역시 꾸준히 높아져 상반기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는 매출 3조 162억 원을 기록해 전체 매출의 10.9%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로 인해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ID), 태양광 모듈 사업들의 경우 영업 차질이 발생했지만, 대조적으로 올해 노트북, 모니터, 태블릿 등 IT제품 수요는 급증하면서 2018년 9.2%, 2019년 9.8%의 비중을 차지한 데 이어 2021년에는 엘지전자㈜ 전체의 10% 비중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엘지전자㈜는 2008년부터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라는 명칭으로 B2B 사업조직을 별도 운영해왔지만 글로벌 기업들이 이미 B2B 시장을 선점하고 있어 성장가능성은 높지만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으로 어려움이 많았다.엘지전자㈜는 2012년 각 사업본부에서 제품별로 B2B 비즈니스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하에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를 해체하고 홈 엔터테인먼트 사업본부로 이관했다. 그러다 엘지전자㈜는 2018년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를 재신설하였고 기존 홈 엔터테이먼트 사업본부 산하에 있던 IT 사업부와 소재 및 생산기술원 산하 CEM 사업부, 솔라연구소 등을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로 이관했다. 이에 힘입어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본부는 2019년에 매출 6조 964억 원, 영업이익 4,859억 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며 전체 다섯 개 사업 부문 가운데 9.3%로 일위를 기록한 생활가전(H&A)사업본부에 이어 영업이익률 2위라는 성공적인 결과를 입증시켰다.[11]
종합분석[편집]
강점[편집]
엘지전자㈜는 백색가전 수익성 글로벌 일 위를 달성한 바 있으며, 글로벌 백색가전 시장에서 월풀에 이어 글로벌 이 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생활가전 사업의 초프리미엄 제품군 엘지 시그니처를 앞세워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확보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평가된다. 스마트폰을 제외한 다른 시장에서 엘지전자㈜의 제품은 ‘프리미엄’의 타이틀을 확실히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 분야에만 종속되어 있는 것이 아닌 넓은 범주를 포괄할 수 있는 광범위한 제품군이 있으며, 엘지전자㈜ 스마트폰 공장을 베트남에 설치하고 그곳에 인력을 배치하면서 고성능의 제품들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에 선보일 것이라는 강점 또한 가지고 있다.[7]
약점[편집]
이동통신 사업본부는 2015년 이분기부터 이십일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이동통신 사업본부 매각을 공식화를 발표했다. 다만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었음에도 손실 폭을 줄인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고 제조업자 개발생산(ODM)을 확대하면서 인건비가 줄어든 것이 영업손실 감소에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상반기에는 코로나 19 때문에 국내외 영업에 차질을 빚었지만, 하반기에는 스마트폰 시장이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엘지전자㈜는 프리미엄폰 '벨벳'을 출시했고 해외에서 V60 씽큐와 주저가 스마트폰 K61과 K41S-51S, 듀얼 스크린, 티더블유에스(TWS) 이어폰 등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했지만, 타사의 제품들과 달리 스마트폰의 이미지가 소비자들에게 '기본기는 갖추었지만 특별한 메리트를 가지고 있지 않다'라고 인식되면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했다.[7]
기회[편집]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등이 떠오르고 있다. 이에 엘지전자㈜ 역시 관련 사업 육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LED 헤드램프 주력기업 제트케이더블유(ZKW)를 인수하면서 협업을 통해 다양한 기술 적용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단순한 헤드램프를 넘어 자율주행에 필요한 지능형 헤드램프를 지향하며 자동차 전장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또한 로보스타를 인수하면서 서비스 로봇부터 산업용 로봇까지 전 제품군에 포트폴리오를 확보했다.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인 '엘지 클로이 서브봇' 이종을 정식 출시, 판매를 시작했다. 더불어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해 공석이 된 화웨이의 자리를 엘지전자㈜가 꿰찰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는 ‘탈미국’을 선언하고 부품과 운영체제(OS)의 자국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 내에서의 영향력은 분쟁 이전과 그다지 다르지 않은 정도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미국 소프트웨어와 부품을 배제한 채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성공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화웨이는 2020년 스마트폰 목표 출하량을 삼억 대로 상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라면 달성되기 힘들어 보인다. 또한, 그 부족분은 삼성전자㈜(Samsung)와 애플(Apple)이라는 이강을 제외한 제삼자의 이익으로 돌아가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7][12]
위협[편집]
스마트폰 보급형 시장에서는 화웨이, 오포, 비보 등 중국 스마트폰 삼대 기업이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보한 가운데 엘지전자㈜의 글로벌시장에서의 입지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화웨이의 내수 시장 집중으로, 중국 내의 화웨이 외 다른 제조사들은 중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빠른 속도로 하락하고 있으며 화웨이가 사상 최대의 점유율을 기록한 때에 샤오미의 스마트폰 출고량은 작년 동기 대비 삼십팔 퍼센트가 급락했다. 비보도 심칠 퍼센트, 오포도 이십 퍼센트가 감소했다. 자연스레 이는 화웨이 외의 다른 중국 제조사들의 반강제적 글로벌 시장 집중 현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일본, 인도, 동남아 등의 지역으로 이들이 역량을 집중하면서, 이것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파이를 늘려야만 하는 엘지전자㈜에는 큰 위협으로 다가오는 중이다. 생활가전 사업과 홈 엔터테인먼트 사업에서도 삼성전자㈜와 샤오미(Xiaomi)가 국내외로 엘지전자㈜의 뒤를 바짝 쫓고 있으며, 자동차 사업 분야에서는 삼성전자㈜가 하만(Harman)을 인수하며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7]
계열사[편집]
한국영업본부[편집]
한국 영업본부는 네 개 사업본부 중 세 개 사업본부(생활 가전/홈 엔터테인먼트/이동통신)에서 생산한 제품의 국내 영업/마케팅을 총괄하는 본부이며 네 개의 업무 영역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B2B 판매로 기업 대 기업 간 거래 채널을 담당하는 업무로, 다양한 기업 및 사업자 고객을 담당하는 업무이다. B2B 시장은 급격히 떠오르고 있는 시장으로 기술과 품질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대규모 거래가 이뤄지는 시장이다. 이러한 시장을 제품/고객별로 분류하여 직접 영업/마케팅을 진행하거나 유통채널을 관리하는 등 성과 창출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두 번째로 B2C(비투씨) 판매는 기업 대 고객 간 거래 채널을 담당하는 업무로 우리가 흔히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베스트샵, 하이마트 등과 같은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영업/마케팅 활동을 진행한다. 이러한 채널들은 엘지전자㈜ 제품만을 취급하는 전매 채널, 여러 브랜드를 혼합해 유통하는 혼매 채널, 온라인 쇼핑몰, 홈쇼핑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채널들의 지점별/상권별 특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채널 관리 및 영업활동을 진행한다. 세 번째로 모바일 판매는 앞의 이동통신 사업본부에서 생산하는 모든 제품의 국내 판매 채널을 담당하는 업무로 유플러스, 에스케이텔레콤㈜(SKT), ㈜케이티(KT)와 같은 통신사업자로부터 소비자가 흔히 볼 수 있는 휴대폰 대리점들에 이르기까지, 엘지전자㈜ 모바일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판매 채널 관리 활동을 진행한다. 네 번째로 마케팅은 엘지전자㈜ 제품의 가치를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판매 활동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마케팅 믹스(4P) 전략 구축부터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여 판매 활동을 지원하고, 시장에서의 수요와 트랜드를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영업본부의 판매& 마케팅 활동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전 범위적 지원을 수행한다. 한국 영업본부의 주 근무지는 서울이나 지역 영업/마케팅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 전국 각 지역 지점에서 근무하게 되며 근무지 선정은 구성원의 의견을 고려하여 충분한 배치 면담을 통해 결정된다.[3]
최고기술책임자 부문[편집]
최고기술책임자(CTO) 부문은 엘지전자㈜ 각 사업영역의 선행 연구 개발을 하고 미래 사업의 시드(Seed) 기술을 제공하는 조직으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강화를 위한 정보기술(ICT) 관련 미래기술 및 고성장 신사업 인큐베이션에 그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 인공지능, 로봇, 5G 및 6G 등 엘지전자㈜의 차세대 기술 준비를 위한 미래기술센터, 씽큐(ThinQ) 플랫폼에 기반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및 데이터 및 서비스 가치 혁신을 통한 디지털 신규 사업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디엑스티(DXT)센터, 센서/광학/광소자/소재/분석 등에서 차별화된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소재 기술센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기술 및 역량 확보를 위한 소프트웨어센터, 스마트 모빌리티/에너지/전기자동차 등 B2B 사업에 기여하고 자동차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자율주행 관련 선행 연구를 진행하는 에이엔비(A&B) 센터, 시스템 반도체로 엘지전자㈜ 사업에 기여하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센터 등이 있다. 최고기술책임자 부문의 주요 근무지는 서울이며 서초 연구개발(R&D) 캠퍼스와 엘지 사이언스파크에서 근무하고 있다.[3]
최고재무책임자 부문[편집]
최고재무책임자(CFO) 부문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최적의 재정 글로벌 체제를 구축 하고자 잠재적 경영리스크 관리 및 경영성과 창출 극대화를 위하여 사업 운영 전반에 대해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시각과 자세를 견지하며 솔선수범을 통한 윤리적이고 건전한 조직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사업에 대한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효율적인 자원 투자계획을 점검 및 수립하고, 위험 관리(Risk Management)를 통해 사업 및 재무 구조에 영향을 주는 제반 리스크 요인을 선행 관리하고 있다. 최적의 원가 구조(Cost Structure)를 구현하고 재무구조의 건전/안전성/유동성을 확보하여 경영정보 가시성을 제공하여 경영성과를 극대화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최고재무책임자 부문은 맡은 주요 조직에 따라 서울, 인천, 평택, 창원, 구미, 청주로 다양하게 근무하고 있다.[3]
생산기술원[편집]
생산기술원은 엘지 그룹의 개발/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 공법/장비 개발 및 사업화, 핵심 생산 요소기술 선행 개발 및 내재화, 고품격 외관 구현 기술 개발, 차별화 금형 신기술 개발, 제조 지능화 및 스마트팩토리 구축 가속화에 앞장서고 있다. 크게 세 가지로 공정장비, 자동화 장비, 모듈 장비, 검사 장비를 다루는 공법/장비 개발 분야가 있고 소재 응용, 씨엠에프(CMF), 신기술 개발, 금형을 다루는 제품품격/금형 기술 분야, 마지막으로 개발/제조 혁신, 생산 요소 기술을 다루는 개발/제조 혁신 생산요소 기술 분야가 있다. 생산기술원의 주 근무지는 평택 엘지 디지털파크이며, 생산기술 지원 역할에 따라 서울 마곡사이언스파크, 인천 캠퍼스, 창원 사업장 등 엘지전자㈜ 전 사업장에 기반을 두고 전국에 있다.[3]
고객만족 경영센터[편집]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경영센터는 기본에 충실한 서비스와 전사 고객 체감품질 개선 활동을 바탕으로.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고객의 제품 사용 가치를 높여 경영 성과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전사 품질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고객 관점의 고객 체감품질 개선 활동을 주도하고, 앞서가는 감각과 안정적인 인프라 기반의 서비스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국가별/제품별 특화 서비스 개발, 영업 지원 활동 등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고객만족 경영센터의 주요 근무지는 가산사업장이며, 서비스지점을 기반을 두고 전국에 있다.[3]
최근 현황[편집]
- 디지털 전환과 사업
2020년, 엘지전자㈜의 계열사인 사업 부문은 2019년도보다 손실 및 적자를 기록했다. 생활가전(H&A) 부문의 제18기 매출은 한국 및 북미, 유럽, 아시아 등 해외 시장에서의 매출 성장세에 힘입어 2019년 대비 11.1% 신장한 21조 5,155억 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프리미엄 제품 및 신성장 제품 판매 호조와 지속적인 원가 구조 개선 활동으로 2019년 대비 29.2% 증가한 1조 9,961억 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한, 홈 엔터테인먼트(HE) 부문에서의 제18기 매출은 글로벌 수요 정체 및 업체 간 경쟁 심화로 인해 2019년 대비 1.0% 감소한 16조 1,517억 원을 기록했으며, 2019년 자사의 TV 세계시장점유율은 16.3%로 0.1%P 하락했다. 영업이익 또한 35.0% 감소한 9,800억 원을 기록했다. 이동통신(MC) 부문 매출은 스마트폰 시장 침체에 따른 프리미엄 판매부진 및 보급형 시장 경쟁 심화로 24.2% 감소한 5조 9,667 억 원을 기록했고, 단말 시장 전체 2019년 세계시장점유율은 1.3%로 전년 대비 0.4%P 감소했다. 또한, 영업이익은 사업구조개선 및 생산지 효율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매출 감소의 영향으로 1조 98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엘지전자㈜의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VS) 부문도 적자를 면치 못했다. 인포테인먼트 사업에서의 신규 제품 양산 및 제트케이더블유(ZKW) 실적 반영으로 27.5% 신장한 5조 4,654억 원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신규 제품 프로젝트 양산 안정화 지연에 따른 비용 투입으로 다소 악화한 1,949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에 엘지전자㈜는 디지털 전환 중심의 성장과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 디지털 전환 중심의 성장과 변화를 통하여 혁신을 이루고,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초연결 시대에 디지털 전환은 엘지전자㈜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이끌어갈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꼽혔다. 엘지전자㈜는 다양한 제품에 콘텐츠와 서비스를 추가하여 커넥티드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시장 구축과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또한, 모든 비즈니스 역량을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객에 대해 더욱 치열하게 고민하고 혁신을 통해 고객가치를 실현하는 것과 어떠한 환경에서도 지켜나가야 할 본질적인 경쟁력이자 장기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엘지전자㈜는 3대 지속가능경영 지향점인 지능형 라이프스타일 촉진, 탄소 중립 및 순환 경제 실현, 더 나은 사회 구현 등을 통하여 이해관계자에게 더욱 나은 삶의 가치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7]
- 시각장애인을 위한 가전제품
2021년 3월 4일, 엘지전자㈜는 원바디 세탁건조기 트롬 워시타워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특화된 음성 매뉴얼을 도입했다. 이 매뉴얼은 시각장애인을 배려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품을 만지면서 도어를 여는 방향과 조작부 및 버튼 위치 등을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또한, 전원 버튼이나 세탁 및 건조 선택 버튼을 누르는 등 제품의 작동 상황별 소리도 함께 안내한다. 음성 매뉴얼은 서울특별시와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에서 공동 운영하는 시각장애인 음성서비스에 적용되어 있어 서울시 소비재 정보마당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및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엘지전자㈜는 국내 가전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매뉴얼 제작 협약을 맺기도 했다. 엘지전자㈜는 시각장애인이 제품 조작부를 읽을 수 있도록 점자로 만든 스티커도 제공한다. 트롬 워시타워의 조작부 전면 패널에 점자 스티커를 붙이면 전원, 세탁 및 건조 코스, 옵션 등 버튼 위치를 사용자가 점자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은 신청하는 사용자들에게 이 스티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엘지전자㈜는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과 트롬 워시타워를 시작으로 물걸레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M9 씽큐 및 디오스 식기세척기 스팀 등 엘지전자㈜ 가전제품 전반으로 음성 매뉴얼과 점자 스티커 등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엘지전자㈜ 생활가전 사업본부장 류재철 부사장은 "엘지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을 겪지 않도록 개발 단계부터 접근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말했다.[13]
- 매출 실적
2020년 12월, 엘지전자㈜는 마그나(Magna)와의 합병 계획을 발표하면서 2022년을 손익분기점 달성 시점으로 잡았다. 엘지전자㈜ 전체 매출 중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사업 부문의 매출 비중은 차량용 램프 전문 기업 제트케이더블유(ZKW) 인수와 수주 증가 등으로 인해 2016년 4.9%에서 2020년 9월 기준 8.7%로 늘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5년 연속 적자로 이러한 적자 폭도 점차 커져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사업부문의 영업손실은 2016년에 767억 원에서 2020년 9월 기준 약 누적 3,654억 원으로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로 2016년 –2.9%에서 2020년 3분기 –9.4%로 하락했다. 한국신용평가 측은 코로나 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부진, 신규 거래기반 확보를 위한 저가 수주 등을 실적 악화의 원인으로 꼽으며 이처럼 저조한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 실적 때문에 일각에서는 엘지전자㈜와 마그나의 손익분기점 목표가 지켜지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엘지전자㈜ 측은 친환경차 세계 시장 규모가 2025년 5,660만 대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마그나의 기술력과 완성차 고객사 네트워크를 고려할 때 2022년 손익분기점 달성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14]
제휴[편집]
- 자동차 부품 센터
2020년 10월 7일, 엘지전자㈜ 베트남 법인은 다낭시 투자진흥공사와 자동차 부품 연구 및 개발 센터 설립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엘지전자㈜는 베트남 북부 하이퐁에 자동차부품 생산공장이 있으며, 수도 하노이에는 연구 및 개발 조직이 있다. 하노이 개발센터는 약 300명 규모이다. 2020년 7월 29일에는 응웬 쑤언 푹(Nguy n Xu n Ph c) 베트남 총리와 가진 간담회에서 베트남에 새로운 연구 및 개발 센터를 설립할 계획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낭(Da Nang)은 베트남 중부 지역 중심 도시이며, 한국 정부에서 설립을 지원한 IT 관련 기술대학이 있다. 또한,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고 가장 많이 찾는 베트남 관광지 중 한 곳이다. 엘지전자㈜의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은 내비게이션과 텔레매틱스 등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와 모터 및 인버터 등 전기자동차용 구동 부품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2020년 상반기의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 매출은 2조 2,315억 원이다. 엘지전자㈜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 정승민 사업 본부장은 "전장 사업 분야 연구 및 개발 센터에 대한 새로운 스토리를 다낭에 만들고 싶고, 다낭시는 관광 산업뿐만 아니라 정보통신 분야 및 산업 부품 개발 분야에도 큰 발전을 이룬 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낭시 후인 티 리엔 프엉(Huynh Thi Lien Phuong) 투자진흥원장은 "엘지전자㈜ 차량 구성요소 솔루션 부문은 시장 연구와 투자를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우수한 투자기업이며, 정보기술 및 첨단산업 부문에 대한 투자유치를 우선하는 다낭시의 사회경제발전 마스터플랜과도 부합한다."라고 환영했다.[15]
- 헬스케어 솔루션
2020년 6월 16일, 엘지전자㈜는 병원향 솔루션 발굴 및 사업 확대를 위해 의료 IT 서비스 기업인 이지케어텍(ez Caretech)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사업 현황 및 팬데믹 상황을 계기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에서 서로의 비전을 공유했다. 또한, 모바일 헬스케어와 웨어러블과 클라우드 병원정보시스템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해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가상화 기반 엣지 컴퓨팅 기술의 헬스케어 분야 적용과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병원 내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국내외 대형병원을 대상으로 신기술의 적용을 위한 공동 사업을 기획하는 데 합의했다. 향후, 엘지전자㈜와 이지케어텍은 의료분야에 특화된 하드웨어 개발, 양사 보유 솔루션의 연계 및 최신 기술을 적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나아가 해외영업망도 공유할 계획이다. 이지케어텍의 헬스케어 IT 분야 높은 전문성과 엘지전자㈜의 글로벌 기술력, 영업력의 결합을 통해 국내외 시장 확대, 신규 사업 발굴 등 다각적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지케어텍 위원량 대표이사는 "업무협약을 통하여 글로벌 헬스케어 IT 리더로 도약하는 시발점이며, 협력을 통하여 새로운 상생 모델을 제시하겠다"라고 말했다.[16]
각주[편집]
- ↑ , 〈LG전자〉, 《나무위키》
- ↑ 2.0 2.1 2.2 2.3 2.4 2.5 엘지전자㈜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lge.co.kr/lgekor/company/main.do
- ↑ 3.0 3.1 3.2 3.3 3.4 3.5 3.6 3.7 〈계열사 소개〉, 《엘지커리어스》
- ↑ 박재영 기자, 〈날개 단 LG 가전, 1분기 최고치 찍는다〉, 《매일경제》, 2021-02-15
- ↑ 다이어리, 〈LG전자 기업 분석 (H&A / HE / MC / VS / BS / LG이노텍 / 생활가전 / IoT / OLED TV / 스마트폰 / 5G / 텔레매틱스 / 디스플레이 / 렌탈)〉, 《네이버 블로그》, 2019-11-28
- ↑ 뉴스1, 〈역대 최대 실적 LG전자…생활가전 성과급 750%〉, 《동아일보》, 2021-02-16
- ↑ 7.0 7.1 7.2 7.3 7.4 7.5 7.6 7.7 7.8 〈LG전자㈜ 분석리포트〉, 《캐치》
- ↑ 〈LG전자, 신제품 '오브제컬렉션 스타일러 슬림’ 추가 출시〉, 《한국경제》, 2021-03-04
- ↑ 이성진 기자, 〈LG전자, 프리미엄 시장 '고공행진'… 북미·유럽 매출 급증〉, 《뉴데일리경제》, 2020-11-28
- ↑ 석유선 기자, 〈(단독) LG폰 인수 큰손으로 ‘러시아 국부펀드’ 부상...이달 방한해 LG전자와 미팅〉, 《아주경제》, 2021-02-16
- ↑ 김은 기자, 〈LG전자 BS사업본부, 화려한 부활…차세대 '캐시카우' 부상〉, 《더벨》, 2020-10-22
- ↑ 최덕수 기자, 〈이미지 쇄신이 관건, LG전자 SWOT 분석〉, 《앱스토리》, 2020-01-03
- ↑ 박정훈 기자, 〈LG전자, 사회적 약자 가전 접근성 강화로 'ESG 실천'〉, 《이코노믹리뷰》, 2021-03-04
- ↑ 김성훈 기자, 〈LG전자 VS사업, 5년 연속 적자인데…LG마그나, 2년내 BEP 달성?〉, 《아주경제》, 2021-01-06
- ↑ 박명기 기자, 〈LG전자, 베트남 다낭에 ‘자동차부품 R&D센터’ 세운다〉, 《아세안익스프레스》, 2020-10-08
- ↑ 정현정 기자, 〈이지케어텍, LG전자와 헬스케어 협업 MOU 체결〉, 《전자신문》, 2020-06-17
참고자료[편집]
- 엘지전자㈜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lge.co.kr/lgekor/company/main.do
- 〈LG전자〉, 《나무위키》
- 〈계열사 소개〉, 《엘지커리어스》
- 다이어리, 〈LG전자 기업 분석 (H&A / HE / MC / VS / BS / LG이노텍 / 생활가전 / IoT / OLED TV / 스마트폰 / 5G / 텔레매틱스 / 디스플레이 / 렌탈)〉, 《네이버 블로그》, 2019-11-28
- 뉴스1, 〈역대 최대 실적 LG전자…생활가전 성과급 750%〉, 《동아일보》, 2021-02-16
- 박재영 기자, 〈날개 단 LG가전, 1분기 최고치 찍는다〉, 《매일경제》, 2021-02-15
- 이성진 기자, 〈LG전자, 프리미엄 시장 '고공행진'… 북미·유럽 매출 급증〉, 《뉴데일리경제》, 2020-11-28
- 석유선 기자, 〈(단독) LG폰 인수 큰손으로 ‘러시아 국부펀드’ 부상...이달 방한해 LG전자와 미팅〉, 《아주경제》, 2021-02-16
- 김성훈 기자, 〈LG전자 VS사업, 5년 연속 적자인데…LG마그나, 2년내 BEP 달성?〉, 《아주경제》, 2021-01-06
- 김은 기자, 〈LG전자 BS사업본부, 화려한 부활…차세대 '캐시카우' 부상〉, 《더벨》, 2020-10-22
- 〈LG전자㈜ 분석리포트〉, 《캐치》
- 최덕수 기자, 〈이미지 쇄신이 관건, LG전자 SWOT 분석〉, 《앱스토리》, 2020-01-03
- 박정훈 기자, 〈LG전자, 사회적 약자 가전 접근성 강화로 'ESG 실천'〉, 《이코노믹리뷰》, 2021-03-04
- 〈LG전자, 신제품 '오브제컬렉션 스타일러 슬림’ 추가 출시〉, 《한국경제》, 2021-03-04
- 박명기 기자, 〈LG전자, 베트남 다낭에 ‘자동차부품 R&D센터’ 세운다〉, 《아세안익스프레스》, 2020-10-08
- 정현정 기자, 〈이지케어텍, LG전자와 헬스케어 협업 MOU 체결〉, 《전자신문》, 2020-06-17
- 녹시네, 〈제습기 추천 TOP 5 2023 + 원룸, 가정용 제습기〉, 《noxiene.com》, 2023-02-27
같이 보기[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