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그랩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그랩(Grab)
그랩(Grab)

그랩(Grab)은 차량 공유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동남아시아의 우버(Uber)라고도 불린다. 대표는 앤서니 탄(Anthony Tan, 陳炳耀)이다.

개요[편집]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 재학 중이던 말레이시아 출신 앤서니 탄이 자신을 보기 위해 말레이시아를 찾아온 친구가 택시에 대해 불만을 털어놓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결국 2012년에 마이 택시(MyTeksi)라는 콜택시 앱을 만들었는데, 한국의 카카오택시의 2015년 출시보다 3년 정도 빨리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초반에는 기사들의 거부감이 많아 직접 기사들을 찾아다녔다고 한다. 2013년 필리핀에는 그랩 택시(GrabTaxi)라는 이름을 달고 말레이시아 밖으로 진출했다. 이후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지에도 진출하면서 한동안 말레이시아에서는 마이 택시, 나머지 서비스 국가에서는 그랩 택시로, 두 개의 브랜드가 공존하는 형태였다. 평범한 콜택시 앱이 우버와 비슷하게 된 건 2014년 그랩 카(GrabCar)라는 서비스를 개시하면서부터이다. 이후 오토바이를 타고 갈 수 있는 그랩 바이크(Grab Bike) 소형 화물 배달 서비스인 그랩익스프레스(GrabExpress)를 개시하였다. 아무튼 각자 따로 분리되어 있던 마이 택시, 그랩 택시가 2016년 그랩이란 새 브랜드로 통합되면서 지금은 그냥 그랩으로 불린다. 또한, 말레이시아에서 시작한 앱이지만 현재는 본사가 싱가포르에 있어 싱가포르산 앱으로 간주되고 있다. 소프트뱅크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는 등 향후 성장 가능성으로 주목받는 업체이다. 2018년 3월 26일 자로 그랩과 우버가 동남아에서 합병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우버가 동남아 시장에서 철수하기로 했다. 이로써 동남아 공유 차량 서비스 시장은 그랩과 인도네시아 기반인 고젝의 양강 구도가 되었다.[1]

등장배경[편집]

그랩의 창업자인 앤서니 탄(Anthony Tan) 대표는 2011년 하버드대 경영대학원에 다니던 중 그의 친구가 말레이시아 택시에 불만을 털어놓는 것을 들고 콜택시 애플리케이션을 구상했다. 앤서니 탄 대표의 증조부가 택시 운전사였다. 여성들이 택시를 타며 겪을 안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콜택시 앱 마이 택시로 2012년 6월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의 첫발을 디뎠다. 당시 가입된 택시 운전사 수는 40명 남짓. 낯선 사업 모델에 관심을 두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앤서니 탄 대표는 2017년 직원에게 보낸 5주년 기념 이메일에서 "2012년 사업을 시작할 때 선뜻 우리와 일하려는 사람이 많지 않았으며, 차량 회사와 운전사들에게 이 작은 스타트업이 경쟁자가 아닌 파트너인 이유를 설득시켜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운전사들을 직접 찾아다녔고 스마트폰 제조사 및 통신사와 협의해 택시 운전사들이 스마트폰 구매 비용을 보조받을 수 있게 만들었다. 결국, 승객의 안전과 운전사의 매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은 마이 택시가 입소문을 타면서 그는 2013년 필리핀을 시작으로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주변 국가로 서비스를 확장했다. 이때까지 말레이시아는 마이 택시로, 그 밖의 나라는 그랩 택시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2016년부터 지금의 그랩으로 통일했다.

2018년 8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운송 네트워크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한 그랩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8개국 225개 도시에서 승용차, 오토바이, 택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랩 앱 누적 다운로드 수가 1억 건을 돌파했고, 등록된 운전사 수는 700만1000명에 달한다. 그랩에 러브콜을 보내는 기업도 여럿이다. 소프트뱅크가 2014년 2억5000만 달러, 2016년 7억5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2017년에는 디디추싱과 소프트뱅크가 25억 달러를, 2018년에는 도요타가 10억 달러를 그랩에 투자했다. 한국 기업도 예외가 아니다.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이미 그랩에 투자했고, 네이버와 미래에셋이 이 대열에 합류했다. 하지만, 큰 성과는 2018년 3월 우버의 동남아 사업 부문 인수다. 우버와 그랩은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 동남아 8개국에서 승차 공유 시장을 놓고 6년간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운전사들에게는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수수료를 깎아주고, 승객들에겐 수시로 할인 행사를 열면서 혈전을 펼쳤다. 결국 시장점유율과 매출 모두 밀린 우버가 백기를 들었다. 우버는 동남아 사업 부문을 그랩에 넘겨준 대신 그랩의 지분 27.5%를 갖기로 했다. 또 우버의 대표가 그랩의 이사회에 합류했다. 후발 주자인 그랩이 골리앗 경쟁사인 우버를 동남아 시장에서 제압하면서 그랩은 동남아의 우버란 별칭을 더딜 수 있게 됐다.[2]

주요 인물[편집]

앤서니 탄(Anthony Tan) 대표
세바스찬 로어비그(Sebastian Roervig) 프로젝트 매니저

특징[편집]

그랩은 강력한 라이벌이 사라진 지금 그랩은 우버와 마찬가지로 승차 공유를 넘어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오토바이 택시인 그랩 바이크와 셔틀버스를 공유하는 그랩 셔틀, 카풀처럼 한 차량을 공유하는 그랩 셰어(share) 등으로 시장을 세분화하고 그랩의 인프라를 활용해 음식배달 그랩 푸드 우편배달 그랩익스프레스에도 나서고 있다. 그랩은 2017년 싱가포르에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그랩 페이를 출시해 핀테크 산업에도 발을 들였다. 그랩 페이는 온·오프라인 일반 매장에서 현금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올해 안에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이다.[2] 그랩은 운전사, 상인, 중개인, 배송 파트너, 신생 기업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여러 번의 수입 기회를 제공한다. 대출 상품과 보호 서비스를 통해 금융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사람을 재정적으로 포함시킬 것이며, 일상의 모든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사람들이 직면하는 일상적인 과제를 식별하여 해결함으로써 일상생활을 원활하게 만든다.[3]

그랩페이[편집]

그랩페이(Grab Pay)

그랩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그랩 페이(Grab Pay)는 모빌리티 서비스 이외에도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2016년 말에 처음 시작된 그랩 페이는 선불식 충전 서비스로 해당 앱 하나만 소지하고 있으면 별도로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지참할 필요 없이 바로바로 결제할 수 있다. 요금 결제는 사업장에 부착된 QR코드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결제가 이뤄지는 방식이다. 무엇보다 현금을 많이 들고 다니는 여행객들은 소매치기 및 분실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을 수밖에 없지만, 그랩 페이를 이용해 금액을 충전해두고 이동한다면, 더욱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다. 충전 절차도 복잡하지 않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점, 쇼핑몰, 그랩 택시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고, 결제 방식이 굉장히 간편하고 재미있기 때문에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4]

그랩푸드[편집]

그랩푸드(Grab Food)

그랩의 배달음식 오투오(O2O) 서비스 그랩 푸드(Grab Food)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근거리에 있는 배달 가능한 음식점을 추천해준다. 원하는 음식을 선택해 결제하면 사용자의 위치까지 음식을 배달해주는 서비스이다. 대중음식점의 이름 및 배달 시간을 포함하여 사용자 위치 근처에 인기 있는 식당까지 표시해주며, 중식, 할랄 음식, 한식, 태국식 등 다양한 종류의 메뉴들을 주문할 수 있고, 음료나 디저트도 주문할 수 있다. 한국에서 만날 수 있는 유명 배달음식 O2O 서비스 못지않은 수준을 갖고 있다. 눈에 띄는 특징은 현재 배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호텔에서 주문한 경우 로비에서 받게 되는데 미리 내려가서 기다릴 필요 없이 시간에 맞춰 내려가면 되기 때문에 굉장히 편리하다. 게다가 배달해주는 사람과 직접 의사소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배달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랩 푸드로 주문한 메뉴 역시 그랩 페이를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그랩 페이의 편리함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으며, 만약 동남아 혹은 싱가포르에 방문하는 여행객이라면 숙소에서 편하게 현지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그랩 푸드를 이용해보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 될 것이다.[4]

그랩 택시[편집]

그룹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미얀마(베타) 총 8개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나라가 작은 도시국가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전국 서비스는 아니고 이용할 수 있는 도시가 지정되어 있는 관계로 주의가 필요하지만, 한국인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 도시들은 거의 다 가능하다. 한국에서 실행하면 서비스 지역이 아니므로 우버를 사용하라는 메시지가 뜬다. 콜택시 앱으로 시작한 만큼 본사가 있는 싱가포르나 고향인 말레이시아에서는 많은 택시 기사들이 그랩을 이용하고 있어 일반 콜택시를 찾을 때도 애용된다. 휴대폰 번호와 이메일 주소만 있으면 간단히 가입할 수 있고, 우버와 달리 현금결제가 기본이라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록이 필수가 아니며, 오히려 우버가 그랩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뒤늦게 일부 국가 한정으로 현금 결제를 시작했을 정도이다. 이용 방법은 출발지와 도착지를 선택하면 요금이 나오고, 예약(BOOK) 버튼을 누르면 그 즉시 콜을 받을 운전자를 찾는다. 사전에 표시된 거리 요금대로 가므로 바가지 걱정이 없다는 게 장점이며, 택시 기사도 일찍 도착하는 게 유리한 시스템이므로 먼 길로 돌아가지도 않고, 요금에 관한 불만이 나올 일이 적다. 단, 택시의 경우에는 예상 요금 대가 표시되며, 택시기사가 미터기 금액을 보고 앱에 직접 금액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카카오택시가 도입한다고 하는 자동결제 방식이 이미 그랩에서는 이뤄지고 있어, 카드를 등록했다면 카드로 자동으로 빠져나가고 영수증을 이메일로 보내준다. 드라이버를 별점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전사적 자원 관리(ERP)라고 하는 도로 통행료 징수 체계가 있어, 요금에 이 통행료가 더 붙는다. 국가마다 다르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프로모션 용도로 할인쿠폰 코드를 나누어 주고 있다. 동남아 여행객이라면 미리 찾아보고 사용 가능한 쿠폰은 꼭 사용해야 한다.[1]

그랩 택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승객과 운송 차량 택시를 연결해주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한국의 카카오 택시가 있다. 혹은, 글로벌한 서비스인 우버 택시의 동남아 버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랩 택시는 말이 통하지 않아도 된다. 그랩 앱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한 후, 탑승이 이루어지므로 택시기사에게 굳이 어디로 가자라는 말을 할 필요가 없고, 탑승이 편하다. 전용 앱을 통해 간단하게 예약만 하면, 내가 있는 위치를 택시기사가 확인하고 찾아오기 때문에 택시를 잡으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다른 택시에 비해 좀 더 안전하다. 동남아 여행객을 대상으로 한 사기, 바가지요금이 종종 일어나는데, 그랩 택시는 모바일로 택시를 예약할 때, 목적지까지의 거리로 먼저 요금이 매겨지고,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바가지를 쓸 일이 없다. 그랩 어플의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그랩 어플 사용방법
  1. 전화번호를 통한 인증이 필요하니 한국에서 미리 인증을 받아두는 것이 좋다.
  2. 다낭 공항에 도착하고 현지 유심으로 교체, 환전까지 모두 마쳤다면 그랩 택시 어플을 통해 택시를 호출한다. (다낭 공항에서 택시기사들이 다가와 자기가 그랩 택시기사라며 말을 걸고는 하는데 사기의 위험이 있으니 조심하는 것이 좋다.) 그랩 택시는 일반 차량과 외형이 거의 유사하므로 어플을 통해 잡힌 택시의 차종과 차량번호를 확인 후 탑승한다.
  3. 그랩 어플이 '내 위치'를 설정하지 못할 경우, 지도에서 위치 선택을 누른 후 내가 있는 위치를 지도에 직접 선택한다. 목적지를 검색할 때, 검색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같은 방법으로 지도에서 직접 목적지를 선택하면 된다.[5]

그랩 바이크[편집]

2018년 3월, 시장조사 업체 피치 북이 평가한 그랩의 기업 가치는 약 60억 달러다. 2016년 18억 달러 규모에서 2년 새 3배 이상 기업 가치가 뛰었다. 전문가들은 그랩의 성공 비결로 철저한 현지화를 꼽는다. 우버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동안 그랩은 동남아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면서 빠른 성장이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그랩의 현지화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랩바이크(GrabBike)는 말레이시아 토종 기업이란 점을 이용해 동남아시아 국가별로 천차만별인 고객들의 니즈와 시장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현금결제가 중요했다. 미리 등록된 신용카드로 요금이 자동 청구되는 우버와 달리, 그랩은 신용카드 보급률이 낮은 동남아의 특성을 고려해 카드와 현금결제가 모두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인도네시아와 태국에서는 악명 높은 교통 체증과 낮은 소득수준을 고려해 오토바이 공유 서비스인 그랩바이크를 도입했다. 필리핀은 지역별로 수많은 방언이 쓰인다는 점에 주목해 방언을 쓰는 고객도 콜택시 예약이 가능하도록 했다. 운전사 수도 그랩이 우버를 훨씬 앞질렀다.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이지혁 선임연구원은 "앱의 완성도는 우버가 그랩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지만, 운전사 수에서 큰 차이가나 고객에겐 그랩이 훨씬 편리하다"고 말했다.

각국의 규제 장벽에 대응하는 방식도 달랐다. 그랩은 기존 택시업계와 공존을 모색하거나 현지국가의 법규와 제도에 최대한 순응하면서 우버와 차별성을 보여주었다. 사업 진행 과정에서 말레이시아 대중교통위원회의 지원을 받았고 정부 부처와도 협력해 도시 내 택시 운전자 이미지를 개선하는 프로젝트를 펼치기도 했다. 가격 경쟁력도 우버에 앞섰다. 2015년 기준으로 그랩 택시의 수수료는 싱가포르에서 건당 0.2달러, 태국에서 건당 0.7달러에 불과했다. 후발 주자로 우버와 경쟁하기 위해 수수료를 낮게 책정한 것이다. 또한, 그랩은 제2의 우버로 불리는 기업들과 손잡았다. 중국의 디디추싱, 인도의 올라, 미국의 리프트 등 대표적인 승차 공유 업체들과 2016년 초반 우버 연합을 형성해 각 회사 고객들이 해외여행을 하면서 현지 해당 사업자의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실제 그랩은 우버가 중국에서 디디추싱과 혈투를 벌이는 사이 동남아 지역의 시장점유율을 절반 이상으로 끌어올렸다.[2]

활용[편집]

테크핀 아시아 2019[편집]

2019년 12월 5~6일,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터 체인파트너스와 전시컨벤션 센터 킨텍스는 양일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테크핀 아시아 2019 컨퍼런스&엑스포를 개최한다. 테크핀 아시아 콘퍼런스는 공유경제, 인공지능(AI), 오픈뱅킹, 블록체인 등 혁신기술 전반을 다루는 행사이다. 행사 주최 측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 융합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트렌드를 잘 활용하는 기업이 21세기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을 것이며,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IT와 금융산업의 혁신사례와 트렌드를 짚어보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테크핀 아시아 2019 콘퍼런스에서는 동남아 승차 공유 서비스 그랩의 세바스챤 로어비그 프로젝트 매니저가 공유경제 사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 무엇이 다를까"를 발표하며, 미국 IBM의 브라이언 에클레스 수석 애널리스트가 퀀텀 컴퓨팅 연구사례를 공유한다. 이 밖에도 월마트, 신한금융그룹, 케이뱅크 등 금융 및 유통 분야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선다. 테크핀 아시아 2019 콘퍼런스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참가 신청을 받는다. 전시장 내부 참관 희망자는 2019년 12월 4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등록하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6] 가기.png 테크핀 아시아 2019에 대해 자세히 보기

로드맵[편집]

  • 2012년 2분기 : 그랩 택시(Grab Taxi) 출시
  • 2014년 3분기 : 그랩 카(Grab Car) 출시
  • 2014년 4분기 : 그랩 바이크(Grab Bike) 출시
  • 2015년 3분기 : 그랩 익스프레스(Grab Express) 출시
  • 2015년 4분기 : 그랩 히치(Grab Hitch) 출시
  • 2016년 1분기 : 그랩 페이(Grab Pay) 출시
  • 2016년 2분기 : 그랩 푸드(Grab Food) 출시, 비즈니스용 그립(Grab for Business) 출시
  • 2016년 4분기 : 그랩 페이 크래딧 제공, 그랩 쉐어(Grab Share) 출시
  • 2017년 1분기 : 그랩 코치(Grab Coach) 출시, 그랩 셔틀(Grab Shuttle) 출시, 저스트 그랩(Just Grab) 출시
  • 2017년 2분기 : 쿠도(Kudo) 인수, 그랩 나우(Grab Now) 출시
  • 2017년 3분기 : P2P 자금이체 출시, 그랩 리월드(Grab Rewards) 출시
  • 2017년 4분기 : 가맹정 결제 시작
  • 2018년 3분기 : 그랩 프레시(Grab Fresh) 출시
  • 2018년 4분기 : 그랩 휠스(Grab Wheels) 출시
  • 2019년 1분기 : 비디오 출시
  • 2019년 2분기 : 호텔 출시, 티켓 출시
  • 2019년 3분기 : 클린 및 픽스(Clean & Fix) 시작

행사[편집]

테크핀 아시아 2019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그랩이 테크핀 아시아 2019 행사에 참가했습니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1.0 1.1 그랩〉, 《나무위키》
  2. 2.0 2.1 2.2 정채희 기자, 〈'그랩'은 어떻게 동남아 8개국을 제패했나〉, 《한국경제매거진》, 2018-08-15
  3. 그랩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grab.com
  4. 4.0 4.1 영현대 기자단 공식 사이트 - http://young.hyundai.com/magazine/life/detail.do?seq=17537#
  5. 언쓰, 〈동남아 여행의 주요 이동수단, 그랩(Grab) 택시 장점, 사용법, 주의사항〉, 《티스토리》, 2018-06-20
  6. 송화연 기자, 〈"기술과 금융이 한자리에"…테크핀 아시아, 내달 5일 개최〉, 《줌》, 2019-11-21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그랩 문서는 자동차 판매 회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