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세단뛰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세단뛰기육상 경기에서, 달음질하다가 한 발로 한 번 앙감질하고 다른 로 땅을 디디고 멀리 뛰어 두 발을 모아 땅에 떨어지는 멀리뛰기이다.[1]

개요[편집]

세단뛰기는 뛰기 경기의 하나이다. 발구름은 조주로(助走路) 및 사장(沙場)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묻혀 있는 발구름판에서 한다. 발구름판은 사장에 가까운 쪽 끝에서 적어도 13m 이상 떼어 놓는다. 경기회의 규모에 따라서는 13m보다 짧을 수도 있다.

경기자는 홉으로 발구름한 그 발로 최초의 착지를 하고, 스텝은 그 반대 발로 착지, 이어서 점프를 한다. 경기자가 '뛰기'를 하는 동안에 '사용하지 않는 발(sleeping leg)'이 지면에 닿으면 무효가 된다.

근대 경기로서의 기원은 아일랜드스코틀랜드의 경기이다. 홉-홉-점프, 스텝-스텝-점프, 홉-스텝-점프, 이와 같이 뛰는 방법이 점차 개량되어 19세기 말경부터 현재와 같이 홉-스텝-점프로 통일되었다. 현재 경기회 국제 공식 용어로서는 트리플 점프(triple jump)란 말을 쓴다.[2]

역사[편집]

기록에 의하면 옛날부터 켈트(kelt)인들의 축제(volksfestn) 등에서 행하여 왔으나 근대경기로서의 세단뛰기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발생했으며 도약방법은 현행 도약법의 홉을 2번 계속하는 홉-홉-점프라고 하는 한쪽 다리 뛰기 였다고 한다.

근대 육상경기로서의 최초기록은 1873년 기록이 있고, 1896년 현재 실시하고 있는 규칙이 정해질 때까지는 일정하지 않았는데, 1887년 홉-홉-점프의 아일랜드 방식으로 15m를 뛰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후 장기간의 논의 끝에 홉-스텝-점프로 통일이 되고 남자만 실시하던 것이 1985년부터 여자종목이 늘어나고 있으며 1992년에 한국에서도 여자종목을 실시하고 있다.[3]

기술[편집]

세단뛰기는 홉(hop), 스텝(step), 점프(jump)로 멀리뛰는 운동이며 도움닫기 스피드를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이 3단계를 알맞은 비율적로 연결시키고 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특징이 있다.

  • 홉(hop)
구름판을 구를 때 상체를 세우고 멀리뛰기보다 낮게 뛰며 두 팔은 앞 위쪽으로 흔들어 올리며 반대 다리무릎도 끌어올린다. 발구르기에 흔들어 낸 앞다리와 발구르기를 한 다리를 앞뒤로 교체하여 착지하는데, 착지시에는 몸무게가 발바닥 전체에 실리도록 한다.
  • 스텝(step)
세단뛰기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스텝이다. 스텝은 홉과 동시에 뒤에 있는 반대 다리를 무릎부터 앞으로 강하게 흔들어 내어 무릎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끌어올리며 두 을 앞뒤로 흔들어 몸의 균형을 유지한다.
  • 점프(jump)
점프는 반대 발로 발구른 멀리뛰기와 같으므로 될 수 있는 대로 높이 올라가 상체를 단숨에 일으키고 배를 내미는 듯이 하여 가위뛰기나 젖혀뛰기 자세로 착지한다. 이 점프는 잘 듣지 않는 쪽의 다리로 구르므로 몸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유의한다.[3]

규칙[편집]

멀리뛰기 규칙과 동일하다.

멀리뛰기의 최적 도약각은 20도 전후이지만, 세단뛰기의 홉 도약각은 15 ~ 18도가 효과적으로 한다. 또, W. 뱅크스의 도약각은 그보다도 더 낮은 13도라고 한다.
세단뛰기의 홉에서는 멀리뛰기와 같이 높이 뛰어오르면 홉의 착지 때 몸을 지탱할 수 없이 흔들린다. 따라서 홉의 도약에서는 다리의 뒤로 젖힘을 얕게 하여 재빨리 뛰어나가고 도약하는 것이 포인트 이며, 동시에 들어올리는 다리를 앞으로 적극적으로 리드하는 것도 중요하다.
앞에 기술한 도약(홉)의 포인트는 스피드를 실어 낮게 출발하기 위한 도약 동작이라 할 수 있다.[3]

8명이상의 경기자가 경기를 할 경우에는 각 경기자에게 3회의 시기를 허용하고, 이 중에서 성적이 가장 좋은 8명에게 다시 3회의 시기를 허용한다. 8위에서 같은 성적일 경우에는 동위의 경기자에게도 3회의 추가시기를 허용한다. 경기자가 8명 이하일 경우에는 각 경기자에게 6회의 시기를 허용한다. 경기가 개시되면 경기자는 연습을 위해 조주로를 사용할 수 없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무효시기로 한다.

  1. 경기자가 도움닫기건, 도약으로 옮겨진 뒤건 간에, 신체의 어느부분이 발구름선을 지나서 앞의 지면을 닿은 경우
  2. 발구름선 너머건, 앞이건 간에 발구름판의 양쪽 끝 밖에서 발구름한 경우
  3. 착지과정에서 도약후 착지구역에서 멀리 떨어진 것보다 발구름선에 더 가까운, 착지구역의 바깥쪽 지면에 닿은 경우
  4. 도약이 끝난 후 착지구역을 걸어서 되돌아온 경우
  5. 공중회전과 같은 형태를 취한 경우

모든 도약은 신체 또는 사지의 어느 부분이든, 그것이 닿은 사장의 가장 가까운 흔적부터 발구름선 또는 발구름선의 연장선까지를 계측한다. 계측은 발구름선 또는 발구름선의 연장선과 직각으로 계측한다.[4]

세계 기록[편집]

남자 세단뛰기 세계 기록
  • 선수: 조너선 에드워즈 (영국)
  • 기록: 18.29미터
  • 달성일: 1995년 8월 7일
  • 장소: 스웨덴 예테보리

조너선 에드워즈는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이 기록을 세웠으며, 현재까지도 남자 세단뛰기 세계 기록으로 유지되고 있다.

여자 세단뛰기 세계 기록
  • 선수: 율리마르 로하스 (베네수엘라)
  • 기록: 15.74미터
  • 달성일: 2022년 3월
  • 장소: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율리마르 로하스는 2022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이 기록을 세웠으며, 이는 현재까지 여자 세단뛰기 세계 기록으로 인정받고 있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세단뛰기〉, 《네이버 국어사전》
  2. 이동 세단뛰기〉, 《체육학 대사전》
  3. 이동: 3.0 3.1 3.2 세단뛰기의 역사와 경기 방법, 기술, 연습요령 등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한 자료입니다.〉, 《HAPPY 학술》, 2006-09-20
  4. 이동 (육상) 세단뛰기〉, 《HAPPY 학술》, 2009-01-13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세단뛰기 문서는 스포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