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약킹
카약킹(Kayaking)은 카약(Kayak)을 타고 패들을 이용해 물 위를 이동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단순한 레저 활동부터 익스트림 스포츠까지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으며, 강, 바다, 호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가능하다. 이누이트(에스키모)들이 사냥과 이동을 위해 사용했던 전통적인 교통수단에서 발전하여, 오늘날에는 스포츠, 탐험, 낚시, 레저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목차
[숨기기]개요[편집]
카야킹은 강과 바다에서 배를 타고 물살을 가르는 레포츠다. 때로는 잔잔한 수면에서, 때로는 아드레날린이 폭발하는 급류에서 물살에 몸을 맡기는 카야킹은 혼자만의 여유를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카야킹은 여유다. 배 위에 고요히 앉아 패들링을 하며 물살을 가르다보면 자연이 온전히 마음속으로 들어오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홀로, 또는 둘이서 배를 안전하게 조종해야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숙련 기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보통 초급자는 잔잔한 강과 호수에서 카야킹을 즐기고, 숙련자들은 급류나 바다에서 카야킹을 즐긴다. 특히 바다에서는 바다낚시를 동시에 즐길 수 있어 씨카약과 캠핑을 함께 하는 카야커들이 많아지는 추세다.[1]
안전한 카야킹을 위한 필수 TIP[편집]
행복한 삶을 위해 액티비티를 즐기지만 안전이 보장되지 않으면 무의미하다. 물에서 즐기는 카약도 마찬가지dlek. 위급한 상황에서 내 몸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카약에서의 탈출법은 카야킹 전 꼭 숙지해야 한다.
물에 빠졌을 때 탈출하는 방법[편집]
투어 중 카약이 뒤집어 지는 일은 종종 발생한다. 이때 배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최우선이다. 배에서 탈출해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웻 엑시트다. 숙련자라면 탈출하지 않고 배를 다시 뒤집을 수 있지만 이는 초보자에게 불가능한 일이다. 카약 초보자라면 웻 엑시트를 먼저 배워야 한다.
초보자들은 배가 뒤집혔을 때 당황한다. 이때 당황하지 않고 미리 배운 탈출법을 바로 적용하는 게 중요하다.
배가 뒤집혔을 때는 스프레이 스커트의 손잡이를 잡고 스커트를 벗겨낸다. 다음은 조정석을 밀어내며 엉덩이와 다리를 빼내고 수면 위로 올라온다. 당황하지만 않는다면 10초 내로 이뤄질 수 있는 과정이다.
카약에서 안전하게 빠져나왔다면 이제 다시 배에 올라타야 한다. 이때 필요한 기술이 어시스트 레스큐다. 초보자라면 가이드나 지인들과 함께 하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는 방법이다. T 레스큐 방식으로 구조하기 위해서는 구조하는 사람의 배가 위, 아래는 구조 받는 사람의 배를 T자 형태로 배치한다. 배를 뒤집어 물을 뺀다. 다시 배 2대를 평행하게 붙이고 구조자는 배의 콕핏과 데크라인을 붙잡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이때 두 배의 선수와 선미를 나란하게 만든다. 이후 물에 빠진 카야커가 스스로 배에 올라타면 된다. 올라탈 때는 한 발을 먼저 콕핏에 넣고 몸을 들어 나머지 발도 넣는다. 말처럼 쉽지는 않지만 초보자가 가장 쉽게 다시 배에 오르는 방식이다.
카야킹의 핵심, 밸런스[편집]
카약을 안전하게 타기 위해서는 균형이 가장 중요하다. 급류를 만나거나 파도를 만나면 좌우 균형이 깨지며 배가 흔들리고, 이때 다시 균형을 잡지 못하면 배가 뒤집힌다. 카약이 흔들리며 균형을 잃을 때 패들로 수면을 치며 균형을 맞추는 것을 브레이스(Brace)라고 한다. 배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 기울어지는 쪽 수면을 탁 치며 반동을 이용해 균형을 회복한다. 브레이스를 할 때 상체의 움직임도 중요하다. 배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 상체는 반대 반향으로 움직여 균형을 잡아야 한다.[1]
기술[편집]
- 기본 패들링(Paddling) 기술
패들링은 카약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거나 방향을 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술이다.
- 전진 스트로크 (Forward Stroke) - 앞으로 나아가기
- 패들의 한쪽 블레이드를 물속 깊이 넣는다.
- 몸을 회전하며 물을 밀어낸다.
- 반대쪽도 동일하게 반복한다.
- 몸 전체를 사용하여 패들링해야 피로를 줄일 수 있다.
- Tip: 초보자는 팔 힘만 쓰기보다 몸통 회전(Core Rotation) 을 활용해야 한다.
- 후진 스트로크 (Reverse Stroke) - 뒤로 가기
- 패들을 뒤쪽에서 물속에 넣는다.
- 몸을 회전하면서 물을 앞으로 밀어낸다.
- 양쪽을 번갈아가며 반복한다.
- Tip: 방향을 바꾸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 정지 및 제동 (Stopping & Braking)
- 패들을 뒤쪽에서 물속에 넣고 앞으로 밀어낸다.
- 급하게 멈추려면 여러 번 반복한다.
- Tip: 갑작스러운 장애물이나 충돌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 방향 전환 및 회전 기술
- 스위핑 스트로크 (Sweeping Stroke) - 방향 전환
- 패들을 카약 앞쪽 가까이에 깊숙이 넣는다.
- 반원 형태로 크게 물을 밀어낸다.
- 한쪽 방향으로 하면 그쪽으로 회전한다.
- Tip: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싶다면 왼쪽 패들로 크게 저어야 한다.
- 드로우 스트로크 (Draw Stroke) - 옆으로 이동
- 가고 싶은 방향(옆쪽)으로 패들을 수직으로 넣는다.
- 카약 방향을 유지하면서 패들을 몸 쪽으로 당긴다.
- 몇 번 반복하면 옆으로 미끄러지듯 이동할 수 있다.
- Tip: 좁은 공간에서 선회할 때 유용하다.
- 균형 유지 및 안전 기술
- 브레이싱 (Bracing) - 균형 유지하기
- 카약이 기울어질 때, 반대쪽 패들을 물에 부딪히듯 밀어 균형을 잡는다.
- 하이 브레이스(High Brace) → 팔을 높이 들어 강하게 지지
- 로우 브레이스(Low Brace) → 패들을 낮게 유지하며 지지
- Tip: 강한 파도나 급류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 에스키모 롤 (Eskimo Roll) - 전복 시 복구
- 카약이 뒤집히면 몸을 웅크려 중심을 유지한다.
- 패들을 물속에 두고 강하게 밀어 몸을 돌린다.
- 허리와 상체를 이용해 회전하며 몸을 일으킨다.
- Tip: 화이트워터 카약킹에서는 필수 기술이므로 반드시 연습해야 한다.
- 고급 카약킹 기술
- 에디 터닝 (Eddy Turn) - 급류에서 방향 바꾸기
- 강한 물살에서 벗어나기 위해 물이 고여 있는 에디(eddy, 소용돌이 구간) 로 진입한다.
- 패들을 이용해 중심을 잡으며 방향을 바꾼다.
- Tip: 급류 카약킹에서 장애물을 피할 때 유용하다.
- 페리 글라이드 (Ferry Glide) - 물살을 이용한 이동
- 물살의 흐름을 이용해 힘을 덜 들이고 이동하는 기술
- 패들을 일정한 각도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이동
- Tip: 강한 물살에서도 최소한의 힘으로 이동할 수 있다.
- 서핑 (Surfing) - 파도 타기
- 파도를 읽고 적절한 타이밍에 패들링을 한다.
- 파도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속도를 조절한다.
- Tip: 바다 카약킹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기술이다.
- 연습 방법
- 잔잔한 물에서 기본 패들링을 연습한다.
- 방향 전환과 균형 잡기 기술을 익힌다.
- 점점 물살이 센 곳으로 이동해 실전 감각을 익힌다.
- 급류에서 브레이싱과 에스키모 롤을 연습한다.
- 경험이 많은 사람과 함께 연습하며 안전을 유지한다.
카약킹은 단순한 물놀이가 아니라 다양한 기술이 필요한 스포츠이다. 기본 패들링부터 균형 유지, 고급 기술까지 익히면 더욱 안전하고 즐겁게 카약킹을 즐길 수 있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이동: 1.0 1.1 〈여름휴가를 가장 핫하게 즐기는 방법, 카약〉, Duam
참고자료[편집]
- 〈여름휴가를 가장 핫하게 즐기는 방법, 카약〉, Duam
같이 보기[편집]